준비해두면 도움되는 박하담금주





≪ 박하 무엇인가? ≫
향기가 좋아 각종 향료 및 음식에 향을 첨가하는 박하
▶ 담즙분비작용, 중추신경계통의 흥분작용, 자궁수축증가작용, 피부모세혈관확장작용, 땀샘분비촉진작용, 해열작용, 관상혈관확장작용, 소화선분비촉진작용, 위장윤동운동촉진작용, 진통작용, 이담작용, 억균작용, 소염작용, 방부작용, 풍열표증, 풍열감모, 두통, 인후종통, 관상혈관순환장애, 해열, 소염, 건위, 호흡기도의 점액분비증가, 종기, 인후염, 편도선염, 피부가려움증, 부스럼, 목구멍아픈데, 눈충혈제거심장부위통증, 위염, 소화장애, 기관지염, 소화불량, 설사, 치통, 복통, 감기를 다스리는 박하
박하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박하속은 전세계에 약 600종 이상이 자라고 있다. 그중에서 약 25종 이상이 재배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품종으로 폐퍼민트, 스피어민트, 애플 민트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1변종이 있다. 전국 각처의 개울가와 저지대의 습지에서 자란다. 또는 널리 심고 재배한다. 키는 약 60센티미터 가량이고 전체에 짧은 털이 덮여 있고 손으로 건드리면 속을 시원하게 하는 좋은 향기가 난다.
땅속 줄기로 번식되어 나가기 때문에 하나의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꽃은 연한 보랏빛이다. 7~10월에 꽃이 피며 열매는 9~11월에 맺는다. 생약명으로 박하(薄荷), 영생(英生), 번하채(蕃荷菜)라고도 한다. 잎과 줄기 모두를 약재로 사용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채취하여 햇볕 또는 그늘에서 말려놓았다가 잘 게 썰어서 2~4그램을 200cc의 물을 붓고 반으로 줄 때까지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내어 복용할 수 있다.
박하는 그 향기가 좋아 여러 가지 향료나 음식에 향을 첨가한다. '박하사탕'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번쯤은 먹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입안을 쏴하게 하면서 향기를 음미하는 맛이 독특하다. 박하의 주성분은 멘톨, 멘톤, 이소멘톤, 캄펜, 리모넨 등을 함유하고 있다.
박하의 효능은 해열, 소염, 건위, 담즙분비작용, 호흡기도의 점액분비증가, 모세혈관 확장작용, 중추신경계통의 흥분작용, 자궁수축증가작용, 종기를 낳게 한다. 소화불량, 인후염, 편도선염, 피부가려움증, 복통, 설사, 구토, 두통, 치통, 감기, 부스럼, 목구멍아픈데, 눈충혈제거에 사용한다. 맛은 맵고 서늘하다.
박하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 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 박하(薄荷) [본초]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박하(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nv.)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에서 심는다.
여름에 꽃이 필 때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서늘하다. 폐경, 심포경, 간경에 작용한다. 풍열(風熱)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며 발진을 순조롭게 하고 간기(肝氣)를 잘 통하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피부모세혈관확장작용, 땀샘분비촉진작용, 해열작용, 관상혈관확장작용, 소화선분비촉진작용, 위장윤동운동촉진작용, 진통작용, 이담작용, 억균작용, 소염작용, 방부작용 등이 밝혀졌다. 풍열표증(風熱表證), 풍열감모, 두통, 인후종통, 관상혈관순환장애, 심장부위통증, 위염, 소화장애, 기관지염 등에 쓴다. 소양증, 신경통, 후두염 등에 박하기름을 바르기도 한다. 하루 4~8그램을 달이거나 환을지어 또는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신선한 것을 짓찧어 즙을 내어 바른다. 박하를 달일때는 오래달이지 않는다. ]
집안에 공간 즉 텃밭, 울타리 주변, 마당가, 화단 및 화분 등에 심어놓으면 보기도 좋고 비상시에 박하를 이용하여 가정 상비약으로 사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엔 박하와 비슷하게 생긴 원예종인 민트류가 대량들어와서 우리의 화단을 점령하고 있다. 민트는 꿀풀과의 숙근초로 품종에 따라 향, 풍미, 잎의 색, 형태는 다양하다.
정유의 성질에 따라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페니로열민트, 캣민트, 애플민트, 보울스민트, 오데콜론민트로 구분된다. 지중해 연안의 다년초이며 전 유럽에서 재배된다.
사용 부위
잎, 줄기, 꽃
용도
박하차, 요리, 미용, 아로마 포푸리
학명 : Mentha piperita
종별 : 꿀풀과 박하 속의 다년생
성분 : 멘톨, 플라보노이드, 렌, 탄닌, 로즈마린 산, 캄펜, 리모넨 등
박하의 효능 효과
박하는 과식 과음 등으로 위장의 상태가 나쁠 때 소화를 도와줍니다. 또한 복통이나 가슴, 복부 경련 등의 증상을 완화시켜줍니다.
박하는 진정 효과가 있으며, 정신적인 긴장을 완화시키고 염증을 가라 앉히고 심신을 편안하게 해줍니다. 무기력과 우울증을 개선하는 정신 안정 작용도있어, 신경증 등에도 이용되어 왔습니다.
이 외에도, 박하는 다음과 같은 효능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편두통과 그에 따른 장애를 달래줍니다.
마비 작용과 항균 작용이있어 충치나 치통 등의 통증을 완화시켜줍니다.
위의 신경 말단을 마비시켜, 멀미나 구토를 예방합니다.
복근을 풀어 트림이 나오기 쉽게합니다.
불면증을 해소하고 깊은 잠에 들게 해줍니다.
멀미하기 쉬운 사람은 박하차를 휴대하거나 향 (건조 허브를 파우치에 넣은 것)을 이용하면 좋습니다.
효능 효과 정리
진정, , 항균, 살균, 발한, 이뇨, 중추 신경계 (뇌)의 기능 항진, 위장 기능 조정
부작용
만병 통치약이라고도 할 수있는 뛰어난 약초이지만 너무 섭취하면 점막을 마르게 할 우려가 있어, 복통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지나친 섭취는 주의합니다
모유의 억제 작용이 있기 (모유의 배출이 나빠진다) 때문에 출산 후 주의가 필요합니다.
페퍼민트는 스피어민트와 워터 민트의 교배종입니다. (교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민트의 종류는 210 종류 이상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럽에 자생하며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장소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줄기는 , 높이 50 ~ 80㎝ 정도로 성장합니다. 7 ~ 8 월이되면, 잎쪽에 작은 보라 빛 또는 흰색 꽃을 피 웁니다. 개화 직전이 수확기입니다.
박하는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인도를 거쳐 유럽으로 전파된
풀입니다,
기록에 의하면 박하는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전 천원전부터
밭에서 작목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박하의 약명은 "박하"입니다.
7월에서 9월경에 꽃을 피우고 열매는 9월에 맺습니다.
약초로 사용되는 부위는 뿌리를 제외한 풀 전체이고
박하의 다른용도의 사용은 사탕이나 향수 혹은 치약등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됩니다.
박하의 효능 5가지
박하의 해독작용
박하는 꽃이 필 무렵 베어다 그늘에 말려서 약으로 사용을 하는데
박하는 몸에 땀을 나게 하는 효과로 몸속에 있는 독을 풀어주고
피로를 풀어주는 효능이 뛰어납니다.
소화촉진
박하는 몸에서 열이날때 열을 식혀주는 효과와 소화가 잘 안될 대
박하 달인물을 먹으면 소화가 잘되고 목이 붓고 아픈 경우에도
진정효과가 뛰어난 약초입니다.
피로회복
박하를 달인물을 복용해도 좋고 박하잎을 달인물을 목욕할 때
사용하면 피로가 풀리고 신경통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불면증 예방
박하는 머리와 눈을 맑게하고 가슴이 답답한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심신불안정으로 불면증에 시달리는 경우 박하차를 마시면 심신의 안정과
정신적 불안을 해소해서 불면증해소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폐건강
박하의 알싸한 향은 폐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박하는 침샘과 폐의 점액을 자극하여 폐가 건조되지 않게 하여 폐건강에 좋은
약초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