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 (0)
2월 11일 이시카와 현 에누마 군 시오야 무라(현재 가가 시 시오야 초)에서 아버지 진시치, 어머니 스에 사이의 칠남으로 태어났다.
이름은 진이치.
의화단 사건
1902년
이 무렵 가족이 홋가이도 아쓰다로 이사.
영일동맹 조인
1903년
10월 마키구치 쓰네사부로 《인생지리학》 발간.
러일전쟁(1904~1905년)
1908년
아쓰타심상소학교에 입학.
1912년
아쓰타심상소학교에 졸업, 고등과로 입학, 급장으로 추천된다.
1914년
아쓰타심상소학교 고등과를 수석으로 졸업, 가업에 종사.
1915년
삿포로 쇼로쿠상점합자회사에 입사.
1917년
심상과 준훈도 검정고시에 합격해 교사 자격증을 취득
러시아 혁명(1905~1917년)
1918년
홋가이도 유바리 미야치심소학교 임시 교사로 채용.
심상소학교 본과정 훈도시험에 합격, 자격을 취득.
쌀파동 일어남
1919년
미야치심소학교 필두 훈도(주임 교사에 해당)가 됨.
본과정 교사 자격시험에 합격.
1920년 (20세)
미야치심소학교를 퇴직.
도쿄로 올라와 마키구치쓰네사부로와 만남.
4월 니시마치 심상소학교 임시 교사로 채용 된다.
7월 미카사심상소학교로 전근, 12월 교사가 된다.
1922년
구제고등학교 입학자격시험에 합격.
마카사심상소학교를 퇴직, 11월 앙니쉬타인 강연회에 마키구치 쓰네사부로와 참석.
우라타 쓰타와 결혼.
하라 다카시 총리 암살(1921년)
1923년
9월 아버지 전시차 별세.
도쿄 메구로에서 ‘시습학관’ (학습 학원)을 개설.
간토대지진
1924년
장녀 야스요 폐결핵으로 사망(향년 1세)
1925년
주오대학교 예과(구제대학 학부 전학년의 고등교육과정.
현재 대학교 1, 2년차에 해당)에 입학.
1926년
아내 쓰타 폐결핵으로 사망.
도다 자신도 감염됨.
1928년
1월 2일 이께다 다이사쿠 태어남.
주오 대학 예과 졸업, 본과 경제학부에 입학.
6월 마키구치 쓰네사부로의 확신을 접하고 니치렌 대성인의 불법을 신봉한다.
제1회 보통선거, 치안유지법 개정
1929년
시습학관, 모의시험 시작함.
〈창가교육학〉을 사재를 털어 출판할 것을 결심.
뉴욕 주식시장 대폭락(세계 대공항 시작됨)
1930년 (30세)
출판사 성문당(城文堂)을 설립하고 마키구치가 서문을 장식한 《추리식 지도산술》을 발간.
후에 백수십판으로 이어진다.
11월 18일 마키구치 쓰네사부로와 창가교육학회를 창립.
시습학관이 활동 · 이론 양면에 걸친 거점이 된다.
발행자 겸 인쇄자로 《창가교육학체계》 제1권(마키구치 쓰네사부로)을 처음으로 출판.
마하트마 간디 ‘소금 행진’
1931년
《창가교육학체계》 제2권 출판.
만주사변 발발
1932년
교육잡지 〈신교재집록〉(마키구치 쓰네사부로 감수)을 창간.
5·15 사건
1933년
《이과 지리 역사 삼과 지도》 와 야마다 다카마사와 공동으로 저술 한 《추리식 속방지도》를 비롯한 입시 참고서를 발간.
나가노 현 교사 적화 사건으로 대량 검거
1934년
성문당을 개칭해 일본소학관을 설립.
일본, 국제연맹을 탈퇴
1935년
잡지 〈신교재집록〉을 〈선교〉로 개제, 창가교육학회 기관지가 됨.
미노베 다쓰치의 천황 기관설, 공격을 받음.
1936년
〈신교〉를 〈교육개조〉로 개제.
장남 교히사가 태어남.
1937년
가을 무렵, 창가교육학회 발회식에 참석.
중일 전쟁 발발
1939년
12월 창가교육학회 제1회 총회에 마키구치 초대 회장과 함께 참석.
종교 단체법 공포
1940년 (40세)
도쿄 간다 니시키 초에 일본상수주식회사를 설립.
창가교육학본부를 이곳에 두었다.
소학생일본사에서 잡지 〈소학생 일본〉 창간.
이 무렵부터 다이토쇼보(大道書房)설립 등 사업 확대에 도모한다.
독일―이탈리아 · 일본 3국 동맹 조인
1941년
7월 창가교육학학회 기관지 〈가치창조〉를 발간
태평양 전쟁 발발
1942년
5월 기관지 〈가치창조〉 탄압으로 폐간.
미드웨이 해전
1943년
5월 창가교육학회 제6회 총회에 참석.
6월 신찰 문제로 대석사에 호출, 신찰을 받으라는 종문의 말에 마키구치와 도다는 완강히 거부한다.
7월 6일 불경죄와 치안유지법 위반 용의로 도쿄 시로카네 자택에서 체포.
마키구치 초대 회장도 시즈오카 시모다에서 체포된다.(체포된 사람 21명)
9월 경시청 내에서 구치소로 옮기는 도중 마키구치를 본 도다는 “선생님, 건강하십시오”라고 말한다.(이것으로 마키구치를 마지막으로 보게 된다)
제1회 학도병 출진
1944년
1월 1일 감옥에서 하루 1만번의 창제와 백문의 〈법화경〉을 읽기 시작.
3월경 사색 끝에 부처의 실체가 ‘생명’이라는 것을 각지한다.
11월 18일 마키구치 초대 회장, 도쿄 구치소 의무실에서 서거.
1945년 (45세)
7월 3일 도요타마형무소를 보석으로 출소.
조세이라고 개명.
전쟁 전에 도다가 경영한 17개 회사는 괴멸 상태.
10월 도쿄 니시칸다에 일본 정학관을 개설, 출판사업에 착수.
히로시마 · 나가사키에 원자폭탄 투하, 일본 무조건 항복.
제2차 세계 대전 종결, 국제연합 발족
1946년
〈법화경〉 강의를 시작.
전쟁 후 재출발을 맞이해 창가교육학회에서 창가학회로 개칭.
6월 기관지 〈가치창조〉 복간.
9월 이바라기 · 군마로, 재건 후 첫 지방 절복.
11월 마키구치 초대 회장의 3회기 법요 및 창가학회 제1회 본부 총회.
일본헌법 공포
1947년
8월 14일 가마타 좌담회에서 이께다 다이사쿠(당시 19세)와 처음으로 만남.
8월 24일 이께다 입회.
일본헌법 시행
1948년
소년잡지 〈모험 소년〉(후에 〈소년 일본〉이라 개제)을 일본정학관에서 창간.
베를린 봉쇄
1949년
1월 이께다 다이사쿠, 일본정학관에 입사.
〈다이바쿠렌게〉 창간호에 ‘생명론’을 발표.
도지, 경제안정에 관한 성명
1950년
11월 마키구치 초대회장 7회기 법요 및 창가학회 제5회 본부총회.
사업 부진이 창가학회에 영향을 미칠까 우려하여 창가학회 이사장직을 사임.
한국전쟁 발발
1951년 (51세)
4월 창가학회 기관지 〈세이코신문〉 창간.
묘오공이란 필명으로 소설〈인간혁명〉연재 개시.
5월 3일 창가학회 제2대 회장으로 취임.
이후 회원 지도에 전념한다.
75만 세대 절복을 선언.
7월 남자부 결성, 여자부 결성.
샌프란시스코 대일 강화조약 조인
1952년
1월, 이케다 다이사쿠, 가마타 지부 지부간사로 임명.
4월 창가학회 《니치렌 대성인 어서전집》 발행.
종지건립 7백년 기념제 행사에 참석.
‘가사하라 사건’ 일어남.
8월 창가학회가 종교법인으로 인정됨.
12월 《니치렌 대성인 어서 십대부 강의》 제1권 《입정안국론》 발간.
1953년
4월 이께다 다이사쿠 분쿄 지부장 대리로 임명.
1954년
3월 청년부 새로운 조직으로 편성,
이께다 다이사쿠 청년부 실장으로 취임.
일본 어선 다이고후쿠류마루(第五福龍丸) 피폭
1955년
3월 미노부파 일련종과 오타루 법론에 도다 참석 하에 이께다 다이사쿠가 학회 측 사회를 맡아 대승리를 한다.
학회의 문화부 멤버가 지방의회에 진출.
1956년
7월 참의원의원선거에서 전국구 2명 오사카지방구 1명을 포함 총 3명이 당선.
1957년
홋카이도 · 유바리에서 타노문제가 본격화 됨.
6월 학생부(대학부) 결성.
7월 3일 이께다 다이사쿠, 선거위반 용의로 오사카부경에 부당하게 체포됨(오사카 사건).
7월 17일 석방.(1962년 1월 25일 무죄판결).
7월 묘오공저 소설 〈인간혁명〉 발간.
9월 청년부 동일본체육대회에서 〈원수폭금지선언〉 발표.
12월 목표로 한 홍교 75만 세대를 돌파.
영국령 크리스마스섬에서 제1회 수소폭탄 실험
1958년 (58세)
3월 대석사 본문대강당 낙경 총등산 치휘.
3월 16일 〈광선유포 기념식전〉에 참석.
청년부에게 종교혁명의 후사를 의탁.
4월 2일 모든 원업을 성취하고 서거.
첫댓글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