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의 옛 마을들
배우리
1. 과천동(주암동, 과천동-하리)
① 과천동
과천동(果川洞)은 오랜 옛날부터 있던 지명은 아니다. 옛날엔 하나의 고을 이름으로서의 '과천현'이나 '과천군'은 있었지만, 동네 이름으로서의 '과천리'란 지명이나 '과천동'이라는 지명은 존재하지 않았다. 과천시에서 행정동을 설치할 때, 남태령(南泰嶺) 밑 일대에 하나의 행정동을 만들면서 '과천'이란 이름이 들어간 행정동이 태어난 것이다. 그러나, 행정동은 단지 행정 편의상 정한 이름으로서, 법정동처럼 하나의 '지명'으로서의 독립성을 갖춘다고 볼 수는 없다. 과천동은 옛날의 과천면 하리(下里) 일대와 우면산(牛眠山) 밑의 주암리(注岩里)를 아우르는 지역으로, 옛날 과천군이었을 때는 '군내면(郡內面)'에 속했던 곳이다. ※ 군내(郡內): '고을 안'이란 뜻으로, 전국에는 이러한 면(面) 이름이 무척 많은데, 대개 군청 근처의 지역일 때 이런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현재도 '군내면'이란 이름을 가진 곳이 경기도 포천시, 전남 진도군 등에 있다. 과천동은 남태령로의 서쪽 지역, 과천대로의 동쪽 지역에 해당하는데, 이 지역은 녹지 공간이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많은 곳이다. 과천대로 동쪽 '상하벌'이라는 너른 벌에는 옛길이 지나고 있는데, 과천시에서 이 도로명을 '상하벌길'이라 했다.
② 하동(하리동)
하리(下里) 일대도 조선시대에는 과천군 군내면(郡內面)의 지역으로, 지금은 '하동(下洞)' 또는 '하리동(下里洞)'으로 불린다. '하리'는 남태령 바로 밑에 있어서 붙여진 지명이다. 이 곳은 일제 때인 1914년 뒷골, 하락골, 안골, 한내, 삼거리(三巨里), 선바위, 광창을 병합하여 남태령 아래쪽 마을이란 뜻의 하리(下里)란 이름을 붙여 시흥군 과천면에 편입하였다.
③ 한내 [漢溪]
한내는 지금의 과천동(果川洞) 동사무소 북쪽, 즉 남태령(南泰嶺) 밑 골짜기 안으로 넓게 형성된 마을이다. 한자로는 한계(寒溪), 한내천(寒內川 ), 한천(寒川) 등으로 쓴다. ※ 한내: '큰 내'라는 뜻을 지닌다. 양재천(良才川)이 마을 앞으로 지나는데, 과천 여러 곳의 물이 모여 흐르는 내여서 과천 전 지역에서 가장 수량(水量)이 많은 큰 줄기이다. 비슷한 땅이름에 전국 각 곳에 '큰내', '너부내' 등이 있다. 관악산 동쪽 능선에서부터 골짜기를 타고 흘러내리는 물줄기가 마을 가운데를 지나는데, 이 물이 흘러드는 양재천 가까이 이르러서 그 남쪽의 다른 골짜기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을 합한다. 마을 북쪽의 다른 골짜기 안으로는 '무네미'라는 작은 마을이 있고, 남태령을 넘는 큰길을 따라 조금 오르면 남태령(南泰嶺)이라는, 고개이름과 똑같은 이름의 마을이 있다. 역시 군내면의 지역으로, 남태령 아래쪽이라 해서 하리(下里)라 하던 것을 과천이 시가 되면서 과천동으로 바뀌었다. 마을의 남동쪽으로는 선바위[立岩]라는 마을이 있고, 남서쪽으로는 삼거리(三巨里)라는 마을이 있다. 근처를 지나는 '선바위길'이라는 길이름이 옛 마을 이름을 잘 말해 주고 있다.
④ 삼거리
옛날부터 서울로 가는 중요 길목이었던 이 곳은 세 갈래 길이 있어서 '삼거리'란 이름이 붙었다. 그 길목의 마을 이름까지 똑같이 이 이름이다. 같은 뜻의 땅이름에 '세거리'가 있다. 과천 읍내(지금의 관문동)에서 남태령을 넘는 길이 이 곳을 지나면서 동쪽으로 들어가는 길이 갈래를 쳤다. 이 길은 옛날부터 우만이[牛眠]를 지나 말죽거리 쪽으로 가는 길이어서 삼남(三南)에서 서울로 가는 길손들이 이리 갈까? 저리 갈까? 하고 많이 생각하던 곳이다. 몹시 후미지고 고갯길도 몹시 험했던 남태령은 자주 산짐승들이 나오곤 해서 이 고개를 넘을 사람들은 대개 이 삼거리 마을에서 몇 명씩 모여 넘곤 했다. 또 더러는 마을 장정들이 길손들을 동행해 주고는 그들로부터 사례를 받고는 했다. 그렇던 세 갈래 길이 지금은 네 갈래 길(남태령 네거리)로 변했다. 남동쪽으로 양재천을 건너 과천 서울대공원 쪽으로 들어가는 큰길을 새로 냈기 때문이다. 네거리가 된 지금은 사방으로 열린 길이 모두 넓어서 옛날 길손들이 걸어서 넘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동사무소 근처엔 옛날 한양에서 넘어오던 길손들이 잠시 쉬어 가던 고목 한 그루가 남아 있었다. 근처에 '향나무길'이라는 길이름이 있다.
⑤ 선바위[立岩 禪岩 仙岩]
삼거리에서 북동쪽으로 뻗은 길, 즉 서울 양재동 쪽으로 가는 길 첫머리에 있는 마을이 '선바위'인데, 한자로는 입암(立岩), 선암(禪岩), 선암(仙岩) 등으로 쓴다 산비탈에 바위가 서 있어서 마을이름이 선바위이다. 비슷한 땅이름에 '갓바위', '섯바위(석바위)' 등이 있다. 남쪽으로 넓은 들을 안고 있는 이 마을은 그 서쪽에 한내 마을을 두고 있고, 북동쪽으로 뻗은 길가에 하락골, 안골 등의 마을을 이웃하고 있다. 남쪽 들 건너쪽으로는 궁말, 벌말, 삼거리 등의 마을을 바라보고 있다. 양재천이 관악산과 청계산 자락 사이를 흐르는데, 이 선바위 근처에서 두 산자락이 가장 가까이 만난다. 서울 서초구 방면으로 가는 큰길이 있는데, 마을 이름을 따서 '선바위길'이라 했다. 과천선의 한 역인 '선바위역'이 이 곳에 있다. 관악산 자락의 이 선바위는 양재천을 건너 그 동쪽으로 1㎞도 안 되는 위치에 청계산 자락에 있는 광창마을을 두고 있다. 마을 동쪽에 과천시 하수종말처리장이 있다.
⑥ 하락골
선바위에서 길을 따라 북동쪽으로 500m쯤 간 지점에 있는 마을이 하락골로, 한자로는 하락동(河洛洞)으로 쓴다. ※ 하락동: 시흥군(지금의 시흥시)에서 나온 <통계연보>에 의하면 이 마을이 화락곡[和樂谷]으로 되어 있다. 우면산(牛眠山) 남쪽 기슭에 있는 이 마을은 남쪽 양재천과 들을 사이에 두고 건너쪽의 광창 마을과 마주하고 있다. 그리고, 마을 뒤쪽(북쪽) 골짜기 안으로는 뒷골이 있다. 하락골에서의 하락(河洛)은 양재천이 이 곳을 지나므로 물이 떨어져 흐른다는 뜻을 담은 듯하다.
⑦ 뒷골[後谷]
하락골 뒤쪽 우면산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로, 이름 그대로 '뒤쪽 마을'이란 뜻이다. 골짜기 이름도 그대로 '뒷골'이다. 이 이름은 마을 아래쪽(남쪽) 하락골과 그 옆의 선바위 마을을 기준하여 붙여진 땅이름이고, 한자 지명 후곡(後谷)은 그의 의역 표기이다. 비슷한 땅이름으로 전국 각 곳에 ''뒷말', '뒷실', '두실' 등이 있다. 골짜기를 타고 계속 오르면 우면산의 서쪽 능선을 넘어 서울 서초구 방배동(方背洞)에 이른다. ※ 방배동(方背洞)의 방배(方背)는 우면산을 등지고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지명이다. 지금의 이 방배동도 옛날에는 경기도 과천군 동면(東面) 또는 상북면(上北面) 지역이었다. 뒷골의 골짜기를 흐르는 물은 과천시 하천종말처리장 근처에서 양재천에 합류한다. 이 마을이 과천시 전체로 볼 때 가장 북쪽이다.
⑧ 안골[內谷]
'안쪽에 있는 마을'이란 뜻의 땅이름으로, 하락골에서 길을 따라 300m쯤 동쪽으로 간 지점에 있다. 관악산 기슭의 두 산자락이 마을을 삼태기처럼 둘러싸고 있어 마을이 산 안에 있는 듯이 보이는데, 한자로는 내곡(內谷)이라 한다. ※ 안골: 전국에는 '안골'이라는 이름의 마을이 무척 많다. 비슷한 땅이름에 '속골', '안골', '안말' 등이 있다. 마을 앞에 양재천이 있고, 그 내 건너쪽인 청계산 기슭에 과천경마장이 자리해 있다. 마을 동쪽 400m 지점쯤에 있는 '식유촌'이란 마을은 서울 우면동에 속하는 마을이다. 즉, 과천과 서울의 경계선이 과천의 안골과 서울의 식유촌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다.
⑨ 광창(光昌)
광창(光昌)이란 마을 이름의 유래에 관해서는 잘 확인되지는 않는다. 더러 한자식 글자풀이로 '햇빛이 잘 드는 마을', '빛 언덕' 등 몇 가지 설이 나와 있기는 하나 근거가 희박하다. 과천경마장 서쪽에 이 마을이 자리해 있는데, 마을이 꽤 크다. 들 가운데로 불쑥 나온 청계산 지맥 끝에 자리해 있어 과천동(果川洞)의 어느 마을에서나 이 마을이 잘 보인다. 마을 건너쪽(서쪽)에 선바위, 하락골, 안골 등의 마을이 있다. 마을 뒤쪽 등성이 너머로 청계산의 한 봉우리인 옥녀봉(玉女峰)이 바라다 보인다.
⑩ 무네미(무너미)
남태령 마을 동쪽 등성이 너머에 있는 아주 작은 마을이다. 골짜기 안 깊숙이 자리해 있어 큰길이나 고갯길에서 볼 때는 마을이 있는 것조차 알 수 없다. 전국에는 '무너미고개'가 무척 많은데, 이를 '물이 넘는 고개'의 뜻으로 해석하기도 하지만, 고개 위로 물이 넘을 수는 없으므로 억지풀이라 할 수 있다. 이 이름은 '산을 넘는 고개'의 뜻인 '모너미', 또는 '뫼너미'가 변했을 가능성이 있다. ※ 모너미(모넘이)>무너미 즉, 무너미 중에는 '뫼를 넘음'의 뜻인 '모너미'의 전음이 많다. 이 곳도 남태령 고갯길이나 한내마을 쪽에서 갈 때 작은 뫼 하나를 넘어야 가므로 역시 '뫼 넘음'의 뜻을 가졌던 이름이 아닌가 한다. 골짜기의 아래쪽(남쪽)으로 계속 내려가면 선바위, 즉 한자로 '입암(立岩)'이라 부르는 마을이 있다. 이 곳은 일제 때인 1914년 뒷골((後洞)), 하락골, 안골(內谷), 한내(寒溪, 寒內村, 寒內川), 삼거리(三巨里), 선바위(立岩. 禪岩), 광창(光昌)을 병합하여 남태령 아래쪽 마을이란 뜻의 하리(下里)란 이름을 붙여 시흥군 과천면에 편입하였는데, 과천이 시로 승격하면서 과천동(果川洞)으로 개칭되었다. ※ 과천길 삼거리: 옛날 길손들이 과천 읍내를 거쳐 이 곳에 이르러 남태령을 넘어 동재기나루, 즉 동작진(銅雀津)쪽으로 갈 것이냐, 말죽거리를 거쳐 두뭇개나루(豆毛浦 豆尾津)쪽으로 갈 것이냐 망설이던 세 갈래 길이 이 곳에 있었다.
⑪ 줄바위〔죽바위 注岩〕
줄바위 일대는 본래 과천군 동면(東面) 지역이다. 이 곳에 줄지어 선 바위들이 있어 줄바위 또는 죽바위라 부르고, 줄바위가 기둥처럼 보여 기둥바위의 뜻으로 주암(注岩)이라 하였다. ※ 『호구총수』에는 준암리(К巖里)로 표기되었다. 현재 과천시의 가장 북동쪽, 청계산 북쪽 기슭에 이 마을이 있었는데, 서울 서초구 양재동(良才洞) 경부고속도로의 만남의 광장과 이웃하고 있다. 마을 앞쪽으로 넓은 벌을 안고 있고, 그 벌 가운데로 양재천(良才川)이 흐르고 있다. 과천동쪽에서 양재(良才) 인터체인지로 가는 큰길을 곁에 두고 있는 이 마을은 거리상으로는 과천 읍내보다 말죽거리쪽이 훨씬 가까워 옛날부터 광주(廣州)쪽 생활권에 속해 왔다. 줄바위 마을 동쪽의 대한양곡도매시장은 과천 관할이 아니라 서울 양재동 관할이다. 마을 앞의 들 가운데를 지나는 양재천에는 우면교(牛眠橋)가 놓여 있는데, 그 다리를 건너면 바로 서울 우면동(牛眠洞)이다. 따라서 줄바위는 서울 양재동과 우면동 사이에 끼어 있는 마을이라 할 수 있다. 줄바위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뜸인 원주암(元注岩)은 주암리의 원 마을이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다.
⑫ 가운데말〔中村〕
'가운데말'은 줄바위 남쪽에 있는 마을로, 한자로는 '중촌(中村)'이라 한다. 줄바위와 그 남쪽 돌무께의 가운데(사이)에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가운데말'은 줄여서 '간뎃말'이라고 하는데, 이런 이름은 전국에 무척 많다. 과천 주암동의 가운데말은 크게 보면 줄바위 마을에 속한다고도 볼 수 있는데, 마을의 집들이 청계산 기슭과 그 작은 구릉을 따라 띄엄띄엄 떨어져 있다. 마을 중간에 세 갈래 길이 나 있다.
⑬ 돌무께〔石浦〕
'돌무께'는 가운데말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돌무께(돌뭇개)란 이름은 돌이 많아 붙은 이름이다. 석포(石浦)는 돌무께를 한자로 의역한 것으로, 여기서이 '포(浦)'는 단순히 장소를 뜻하는 '개(깨)'를 의역한 것일 뿐이다. ※ '다릿개', '장텃개' 등의 '개'도 '장소를 뜻한다. 근처에 '돌무개길'이 지난다. 마을 한편으로 작은 내는 지나는데, 양재천에 합류한다.
⑭ 삼부골〔三浦〕
'삼부골'은 돌무께 남서쪽 등성이 너머쪽에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은 산비탈에 이루어져 있다. 마을 이름은 원래 '산밭골'에서 나온 이름이 아닌가 한다. 심부골에서 '삼부'를 한자로 음역해서 삼포(三浦)라 했다. 마을이 크게 둘로 나뉘어 아래쪽의 것을 하삼포(下三浦)라 했는데, 대개는 '아래삼부골'로 불려 왔다. 위삼부골에서 약 500m 정도 북서쪽으로 떨어져 있었던 아래삼부골은 과천경마장이 들어서면서 없어졌다. 현재 삼부골의 바로 서쪽에는 과천경마장의 마사(馬舍)가 자리해 있다.
제2절: 중앙동(중앙동, 관문동)
정부 과천청사
① 중앙동
1982년 6월 10일 경기도 조례 제1256호에 의해 경기도 시흥군 과천면 문원리(文原里)의 일부를 갈라서 이 행정동을 만들었다. 과천의 가운데에 있는 지역인 데다가 정부제2종합청사가 위치해 있어 중앙동(中央洞)이라 했다. 현재 관문동(官門洞)과 합해서 하나의 행정동을 이루고 있다. 상당히 넓었던 옛날의 문원리 지역은 과천의 그 어느 지역보다 많은 주택과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인구가 많아져 문원동, 중앙동, 별양동, 원문동의 4개 행정동으로 나뉘어졌다. 중앙동은 옛날의 문원리 지역 중 지금의 중앙로(지하철 노선 위로 지나는 길)를 기준으로 하여 그 북쪽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 중앙동 동사무소내에는 정조가 화성군 태안읍에 있는 현융원(융릉:사도세자의 능)을 참배하러 갈 때 쉬던 객사인 온온사(穩穩舍)가 있다.
② 향교말[校洞]
과천 향교
관악산 바로 밑의 마을로, 마을 뒤에 향교가 있어 이 이름으로 불렸다. ※ 근처 사람들은 보통 '생겻말(생굣말)' 또는 '생겻골'로 불러 왔는데, 이는 '향교말' 또는 '향교골'이 구개음화(口蓋音化)한 것이다. 옛 과천현의 향교였던 과천향교(果川鄕校)는 뒤에 시흥 안산향교와 합치면서 시흥향교(始興鄕校)로 이름이 바뀐다. 옛날 '문원리(文原里)'의 '문원(文原)은 바로 이 향교로 인해서 생긴 이름이다. '교동(校洞)'이란 이름도 향교로 인해 생긴 것인데, 전국 각 곳에 이 '교동'이란 이름이 무척 많다. 이런 이름이 붙은 곳에는 대개 향교가 있다. 지금 이 일대에 '향교말길'이란 길이름들이 붙여져 있다. 이 마을에서 서쪽에 있는 낮은 산등성이인 '능어리'를 지나면 옛날의 '홍촌말'에 이르렀다. 마을 남쪽으로는 옛 과천길 한자락에 '새술막'이란 마을이 있었고, 이 새술막 서쪽에는 '두집메'라는 아주 작은 마을이 있었다.
③ 홍촌말[洪村]
향교말에서 '능어리'라고 하는 작은 등성이를 넘어 관악산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작은 냇가에 자리한 마을이 이 홍촌말이다. 이 마을은 남양홍씨 집안의 집성촌이었다. 마을 사람 대부분이 홍씨였고, 서로 가까운 친척들이었다. 홍촌(洪村)이란 지명은 '홍씨 마을'의 뜻이다. 그러나 나중에 정부제2종합청사 등이 들어서면서 마을이 완전히 없어졌다. 근처의 '홍촌말길'이나 '홍촌내길' 등의 이름이 이 곳에 홍촌말이 있었음을 알게 한다. 마을 앞으로 폭포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양재천의 상류가 흘렀는데, 이 내는 두집매 마을 앞을 지나 옛 과천 읍내 한가운데를 거쳐 하리(과천동)쪽으로 향했다. 이 마을 뒤쪽 산골짜기로 올라가면 관악산의 폭포 골짜기가 나온다. 이 골짜기는 옛날부터 수목이 많기로 유명했는데, 그 옆의 황골 골짜기와 함께 한국전쟁 때 원주민과 피란민 등이 나무를 마구 베어 팔아 크게 황폐해졌다. 지금은 땔감을 나무를 채취해서 마련하는 일이 드물므로 골짜기에 차츰 수목이 우거져 가고 있다.
③ 두집매[二家村]
홍촌말 바로 앞 큰길가(옛 과천길)에 한국전쟁 직후까지도 집이 3채 있었는데, 이름은 '두집매'였다. 지금의 정부과천청사 잔디마당 남쪽 부근에 있었던 마을이다. 원래 집이 2집밖에 없어 붙었던 지명이었지만, 집이 3채로 늘었어도 마을이름은 계속 '두집매'로 끈질기게 남아 있었다. ※ 이 마을은 독립적인 마을이라기보다 홍촌마을의 부속 마을로 볼 수도 있었다.
④ 새술막[外店]
향교말 아래쪽(남쪽) 큰길을 따라 마을이 길게 형성돼 있었는데, 마을이름이 '새술막'이었다. 지금 이 근처에 '새술막길'이 있다. 새술막은 새로 이루어진 술막(술집)의 뜻으로, 이 곳에 조선시대부터 술집들이 자리해 있었기 때문에 나온 이름이다. 이 곳의 술집들은 과것길 길손들을 상대로 영업을 해 온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땅이름에 '술막', '주막' 등이 있다. ※ 전국에는 큰길 곳곳에 술을 담가 나그네를 상대로 장사하며 이루어진 마을들이 적지 않은데, 이런 마을들 중에 술막 또는 새술막 같은 이름들이 붙은 것이 많다. 이러한 마을 이름들이 한자로 옮겨질 때는 주막(酒幕) 또는 신주막(新酒幕)이었다. 과천의 새술막은 따로 '밧점말'로도 불려 이를 한자로 '외점(外店)'이라고도 했다. 이는 관문동(옛날 과천읍내)쪽의 내점(內店)에 상대되는 지명이다. '밧점말'에서의 '밧'은 '밖'의 뜻이다.
⑤ 능어리
'이 '능어리'라는 이름은 마을 이름은 아니나, 옛날 문원리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던 낮은 산등성이로 과천 사람들에게 익히 알려진 곳이었다. 관악산의 한 산자락이 흘러내려 작은 산등성이를 이루었는데, 문원리 사람들이 이 근처의 어느 위치를 말할 때는 이 능어리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향교말에서 홍촌말로 가는 사람들이 이 등성이를 넘어다녔다. 능어리에는 작은 소나무들이 많았는데, 남쪽 자락의 양지바른 곳에는 연고 없는 많은 묘들이 있었다. '능어리'는 '늘어난 허리'의 뜻인 '는허리'가 변한 말로 보인다. ※ 개발되기 전에는 임자 없는 묘가 여기저기 많이 있었다. 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이 지금의 과천시 보건소와 과천시의회가 있는 곳이다.
⑥ 읍내[관문골]
과천이 옛날에 군(郡) 또는 현(縣)이었기 때문에 군 관아나 현 관아(官衙)가 있어 이 큰 마을은 군내(郡內)에서는 읍내, 외지인들에게 과천읍내로 불렸다. 과천면 시절에는 관문리(官門里)라는 이명(里名)을 갖고 있었다. 과천 관아의 문이 있었기에 달리 관문골(官門-)로도 불렸지만, 이는 타지 사람들이 주로 부른 이름이었다. 관악산으로 오르는 중요 길목인 이 곳은 남쪽으로 시원한 들을 바라보는 양지바른 지역인데다 양재천(良才川) 상류의 두 지류가 합하는 곳이어서 마을이 형성되기에 좋은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이 곳은 과천의 중심 마을이어서 옛날 이 과천 땅을 거치는 사람들이 예외 없이 들러야 하는 마을이었다. 그래서 마을 안에는 이 곳을 들르는 외지 손님을 상대해 영업을 하는 밥집 술집(주막) 여숙집 등이 많았다. ※ 지금은 관문동(官門洞)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이 곳에는 옛 고을의 중심 마을답게 은행나무 고목들이 남아 있다. 조선 22대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에 거둥할 때 쉬어 갔던 온온사 앞에는 수령 약 500년의 은행나무가 있다. 이 마을에서 새술막 쪽으로 가는 길에 옛 현감의 선정비나 송덕비 등이 세워져 있던 비선거리가 있었다. 이 곳의 비석들은 1972년 길을 넓히기 위해 과천초등학교 옆으로 모두 옮겨 놓았다가 현재는 중앙동 사무소 부지 안에 모두 모아 놓았다. 비선거리엔 작은 비각이 있었는데, 이 역시 길을 넓힐 때 헐려 버렸다. 이 마을의 큰길 가장자리로는 오래 된 나무들이 많았다. 그러나, 개발 과정에서 많은 나무들이 베어 없어졌다. 지금은 주공아파트 단지(9 10 11단지)가 들어서 있어 기와집이 많았던 옛 읍내 마을의 모습도 볼 수가 없다.
⑦ 점말[안점말 內店]
'점말'은 크게 보아서는 읍내(관문골)에 속하는 마을이다. 술집(주점)이 많아 '점말'로 불렸다. 읍내 근처에 점말이 둘 있어 읍내 가까이 있는 이 마을을 따로 안점말 즉 '내점(內店)'이라 했고, 새술막을 '밧점말' 즉 '외점(外店)'이라 했다. 비슷한 땅이름에 '점촌(店村)'이 있다. 읍의 관리들도 많고 외지 길손들이 머물다 가는 곳이어서 옛날부터 술을 파는 가게들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제3절: 갈현동(갈현동, 원문동)
과천 시청 근처
① 갈현동
갈현동(葛峴洞)은 과천시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동이다, 이 곳은 가루개 즉 갈현(葛峴)이라는 고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안양시 동안구의 관양동(冠陽洞)과 접해 있다. '가루개'라는 고개 밑 마을이어서 그 이름 역시 가루개 또는 갈고개인데, 갈현(葛峴)이란 한자 이름은 이 토박이 땅이름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 곳의 갈고개는 '갈오개'가 변했다가 다시 '가루개'가 되었으리라고 본다. 갈나무 또는 칡이 많거나, 고갯길이 갈리는 곳에 이런 이름이 잘 붙는다. ※ '고개'라는 말은 그 앞의 어느 음절이 있을 때 곧잘 오개 또는 개로 발음이 변하는 수가 많다. 예를 들어 서울의 배고개가 배오개(종로4가와 인의동에 걸쳐있던 마을)로 변한 것이라든지 애고개가 애오개(마포구 아현동)로 변한 것 등이 그 예이다. 갈고개>갈오개>가로개>가루개 여기서의 '갈'은 갈림(分支)을 뜻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관악산과 청계산을 잇는 지맥에 의해 물이 양쪽으로 나뉘어 흐르기 때문에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곳에 칡나무가 많아 이 이름이 나왔다는 설도 있다. 갈현동(葛峴洞)은 본래 과천군 군내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루개와 그 근처의 가일(加日), 찬우물(冷井), 벌말, 제비울, 옥탑골(玉塔谷), 자경골(自耕)을 합해 갈현리(葛峴里)라 해서 시흥군 과천면에 편입했다가 과천이 시(市)가 되면서 갈현동(葛峴洞)이 되었다.
② 가루개
'가루개'라는 고개 밑의 마을이어서 이 땅이름이 그대로 쓰였다. 이 'kfnro'가 바타이 되어 지금의 이름 갈현동이 나왔다.
③ 가일(佳日 加日)
'가일'은 이 이름은 가장자리 마을의 뜻이다. '가일'에서의 '가'는 '가장자리'를 뜻하고, 일은 '실'이 변한 말로 골짜기 마을임을 뜻한다. ※ 가실>가일. 전국에는 실이 변한 일이 들어간 마을이 무척 많다. ·가일〔佳谷〕:경북 안동군 풍천면 가곡리 ·새일〔新谷〕:경북 선산군 도개면 신곡리 ·두일〔斗谷〕:경기도 오산시 두곡동 갈현동 가루개 서쪽에 있는 이 가일마을은 들 가장자리에 있어 나온 이름인 것이 확실한데, 옛 문헌에 따라 嘉逸 佳日 佳日 加日 加一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 『국조옥운(國朝玉韻)』는 정조가 현륭원을 능행할 때, 이 곳의 지명이 직일리(直逸里)였는데 가일리(假逸里)로 고쳤다고 에 기록되어 있다.
④ 옥탑골〔玉塔谷〕
옵탑골은 가루개 남쪽 작은 동산 안에 있는 마을이다. 고려 때 옥(玉)으로 만든 탑이 있었다고 하나 고증할 길이 전혀 없다. 이 곳에 기름진 논이 있어 '옥답골'이던 것이 변한 말이라고 전해 오기도 한다.
⑤ 자경골〔自耕〕
옥탑골 남쪽에 있는 마을이 자경골이다. 작은 마을의 뜻인 '작은골'이 '자긍골'로 되었다가 변한 이름으로 보인다.
⑥ 샛말
가루개 남동쪽에 있는 마을로, 좁은 들 사이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샛말은 발음상 샘말로도 되어 자칫 샘마을〔井村 泉洞〕의 뜻으로 알기 쉽다. 막개(맑개) 근처에도 샛말이 있어 이와 혼동하기 쉽다.
⑦ 제비울
'제비울'은 샛말의 남쪽, 아주 작은 골짜기 안에 자리한 마을이다. 제비가 집을 많이 지어 제비울이었다고 하나 그럴 가능성이 적다. 이 제비울은 좁은 골짜기 마을, 또는 작은 마을의 뜻인 좁이울(접이울)의 변한 이름으로 보인다. 좁이울〉조비울〉저비울〉제비울 즉, 좁을 뿌리로 한 땅이름일 것으로 보인다. 좁은 지금은 좁다라는 말의 어근(語根)으로만 생각하기 쉬우나 옛날엔 작다는 뜻을 가졌었다. 요즘 말의 쪽박의 어원인 '족'이 '좁다'의 '좁'과 같은 것으로, 작다는 뜻이다.
⑧ 찬우물〔冷井〕
'찬우물'은 가루개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안에 찬 우물이 있어 이 이름으로 불렸다. 하자로는 '냉정(冷井)'이라고 쓴다. 이 우물 아래에 옛날 과것길 길손들이 많이 이용했던 또 다른 찬우물은 조선 정조 임금의 일화까지 간직하고 있다.
⑨ 다락터[樓基村]
홍촌말 남쪽에 있는 마을로, 언덕 모퉁이에 있어 '모팀말'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우촌(隅村)'이라고도 한다. 우촌(隅村)의 우(隅)는 '모퉁이'나 '산모루(산머리)'를 뜻하고 있다. 다락이 있어서 다락터라고 했다고 하나 그렇지 않다. 다락터는 원래 '산(山) 마을'의 뜻이다. 여기서의 달은 산(山)의 뜻이다. 다락터 마을 서쪽에 청계산의 한 자락인 작은 산이 있다. 비슷한 땅이름에 '다락골', '다라골', '닭터(닥터)' 등이 있다. ※ 전국 곳곳에서 흔히 보이는 다락골 다랫골 다래울 등도 모두 달(山)이 들어간 땅이름이다. 이 곳 다락골의 또 다른 이름인 '모팀말'은 산자락 모퉁이에 있어 붙은 이름으로, 비슷한 땅이름에 '모퉁말(모퉁이말)', '모탱이말' 등이 있다. 모퉁이말〉모투이말〉모튀말〉모팃말〉모팀말 현재 이 곳에는 수자원공사가 자리해 있고, 근처에 '모템말길'이라는, 반달 모양의 길이 지난다.
⑩ 구리안[九里內]
새술막 남쪽이면서 홍촌말 건너쪽(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골 안에 박혀 있는 마을이어서 이 이름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골'을 '굴'로 발음하기도 하는 이 지방 언어 습관에 따라 이러한 이름이 나오는데, 비슷한 땅이름에 '골안', '굴안'이 있다. '구리안'을 한자로 음의역한 것이 '구리내(九里內)'이나, '아홉 구(九)'의 뜻과는 아무 관계가 없고, '골(굴)'을 뜻하는 '구리'를 표기하는 과정에서 차음된 것이다. 이 마을은 '다락터'에 비해 상당히 큰 마을이었다. 마을 앞쪽에 '구리안들'이 있는데, 이 들의 남쪽 언덕에 공동묘지가 있었다.
⑪ 세골[細谷]
구리안 남쪽, 작은 골짜기 안 냇가에 자리한 마을이다. 골짜기가 가늘다는 뜻에서 이 이름이 붙여졌다. 마을 남쪽에 있던 작은 마을은 따로 '안세곡'으로 불려 왔다. 내 건너쪽에 갈현동의 '샛말'이 있고, 골짜기를 따라 계속 오르면 청계산의 작은 봉우리인 응봉(鷹峰:369m)에 이른다.
⑫ 원문동(元文洞)
문원동의 원마을이란 뜻으로 이 이름이 붙였으나, 옛 문원리의 원마을 지역은 이 일대가 아니고 향교말 일대였다. 지금의 주공아파트 2단지 일대이다. '원문동'이란 이름은 원래 없었던 이름으로 행정동명을 정하기 위해 만들어 낸 것이다.
⑬ 사기막골[砂器幕村]
구리안 동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이다. 사기점이 있어서 이 이름이 붙었다고 하나 확인할 길은 없다. 사기막 중에는 골짜기 안에 자리한 것이 무척 많은데, 이를 보면 사기가 골짜기란 말과 유관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사이'란 뜻의 옛말이 '샅' 또는 '삭'이므로, 골 사이란 뜻이 사기로 가지 않았나 하는 추측도 일어난다. 막은 땅이름에서 대개 마을을 뜻한다. 이 곳의 사기막골은 옛날 사기를 굽던 가마가 있는 마을(혹은 골짜기)의 뜻이라고 알려져 왔다.
제4절: 부림동
① 부림동(富林洞)
1982년 6월 10일 경기도 조례 제1256호에 의해 관문리(官門里) 일부를 갈라서 과천의 옛 이름을 따서 부림동(富林洞)이라고 하였다. 지금의 과천 중앙로의 동쪽 지역, 주공아파트 7-8-9단지 일대이다. 근처에 '부림길', '연봉재길' 등의 길이름이 있다. 부림(富林)은 고려 성종대에 과주군의 별칭으로 붙인 이름인데, 조선의 정조 임금이 이 곳에 들렀을 때 과천현의 관아에 손수 부림헌(富林軒)이란 현판을 써 주기도 했다.
② 상어들-상하벌
양재천 동쪽에 형성된 넓은 들이름으로, 특별한 마을은 없었다. 바로 그 동쪽이 온통 논벌이었는데, 지금은 큰 아파트단지(주공8단지 등)로 변모했다. 그 너른 논벌의 이름을 ''상하벌'이라 했는데, 그 한가운데로 막계천(莫溪川)이 지난다. 이 막계천의 한 부분이 과천저수지이다. 들이 넓어 '상아들'이나 '상하벌'이란 이름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벌판 끝머리쪽에 있는 마을이 과천동의 '벌말'이다.
제5절: 별양동
① 배랭이[배레이 別陽]
새술막 남동쪽 청계산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이다. '산비탈 마을'의 뜻으로 붙여진 지명으로 보인다. '배랭이'를 한자로 옮긴 것이 '별양동'이란 이름을 낳은 '별양(別陽)이다. ※ 땅이름에서 '별'은 대개 '벼랑(가파른 언덕)'을 뜻했다. 이 뜻이 들어간 땅이름을 한자로 옮길 때 '별(別)', '성(星)' 등의 한자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땅이름에 '베레이', '벼리', 베루', '벼루' 등이 있다. 일제 때 만들어진 지도를 보면 이 곳이 지금처럼 '별양(別陽)'이 아닌 '별(別旺)'으로 나온다. '별양'이나 '별왕' 모두 '벼랑'의 한자 취음이다. 지금 이 곳에 과천의 새 문화를 이끌어 가고 있는 과천문화원이 자리해 있다.
② 새터말
사기말과 배랭이 사이에 새로 된 마을이 '새터말'이다. 전국에는 새터 또는 새터말이란 이름의 마을이 무척 많다. 이 새터말은 한자로 옮겨질 때 대개 신기(新基)나 신대(新垈)가 된다. 새터말은 새로 이루어진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여지는데, 대개는 들 가운데에 이런 이름의 마을이 많다. 새[新]+터[基 垈]=새터[新基 新垈]
제6절: 문원동(막계동, 문원동)
① 문원동(文原洞)
한자 뜻 그대로 풀면 '문원(文原)'은 '글의 바탕'이란 의미가 된다. 옛날 과천면 시절(일제 때)의 문원리가 문원동으로 된 것인데, 사실, 문원리는 향교가 있는 '향교말'과 홍씨들이 많이 살았던 '홍촌', 과것길 길손들이 많이 묵어 갔던 길가의 마을 '새술막' 등을 일컫던 이름이었다. 과천면 시절에는 이 들 마을을 각각 문원리 1구, 2구, 3구 식으로 불렀다. 관악산 골짜기 입구에 옛날에 유학을 가르치던 향교가 있어 '문원'이란 이름이 나온 것으로, 옛날 과천군 시절에는 관문리(읍내) 다음으로 잘 알려진 곳이었다.
② 맑은내[맑내 막개 莫溪 淸溪]
청계산 골짜기의 마을로, 청계산 정상쪽에서 맑은 시내가 흘러내려 그 내의 이름이 '맑은내'인데, 이것이 한자로 된 것이 '막계천(莫溪川)'이다. 이 내를 전에는 '청계천(淸淸溪'이라고도 했으니, 역시 이 내의 원이름이 '맑은내'였음을 알게 한다. 이 내의 이름을 따라 마을이름도 똑같이 '막계(막개)가 되었다. '맑은내'는 줄어 '맑내(막내)'로도 불렸고, '맑개'로도 불렸다가 '맥개'로도 옮겨갔다. 모음조화 현상에 따른 발음 습관에 따라 '막개'가 '맥개'로도 된 것이다. 지금의 법정동명 막계동(莫溪洞)의 막계(莫溪)는 '맑개'를 한자로 취음한 것이고, 또 다른 이름 청계(淸溪)는 그것을 한자로 의역한 것이다. 마을 뒤의 산인 청계산(淸溪山)은 이 맑개(맑은내)의 의역 한자 청계(淸溪)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 곳에 과천 서울대공원이 들어서면서 마을이 없어졌고, 물줄기는 공원 동물들의 놀이터로 변함과 동시에 연못(저수지)과 직선으로 뻗은 인공 하천이 되어 옛 모습을 완전히 잃었다. 마을이 있던 곳은 공원의 동물원 매표소 일대이다. 몽리 면적 약 250정보의 과천저수지는 1956년에 막은 것으로, 원래 막계천(莫溪川) 하류 쪽의 농업관개용으로 만들었으나 지금은 공원 휴양지로 이용되고 있다. 1984년 5월 1일 준공한 과천 서울대공원엔 서울 창경원에 있던 동-식물이 모두 옮겨왔다.
③ 갱맹이[光明]
막계동에서 가장 큰 마을었는데, 여기에 과천 서울랜드가 들어서면서 없어졌다. 산골 깊숙한 곳이어서 논보다 밭이 많아 주민들은 주로 밭농사를 짓거나 땔나무를 채취해 서울 등지(검은들, 노들 등)에 파는 것으로 생계를 이어 왔다. 이러한 생계 수단은 이 갱맹이 일대뿐 아니라 청계산과 관악산 골짜기의 다른 마을들도 거의 비슷한 현상이었다. 이 마을의 조금 안쪽(동쪽)으로는 산골말이 있었다. 그 골짜기를 따라 계속 가면 청계산 줄기의 등성이를 넘어 서울 강남구의 원터 즉 원지동(院趾洞)에 이르게 된다.
④ 산골말[山谷里]
산골 깊숙이 있어서 이 이름이 붙었다. 크게 보아서는 갱맹이에 속하는 마을이라고도 하겠는데, 역시 과천 서울랜드가 들어서면서 없어졌다. 한자 이름 '산곡리(山谷里)'는'산골말'의 한자 표기이다. 비슷한 뜻의 땅이름에 '맷골(멧골)', '메실(뫼실)' 등이 있다. ⑤ 샛말[間村] 맑은내 마을의 안쪽(남동쪽)에 있던 마을인데, 역시 과천 서울대공원이 생기면서 없어졌다. 맑은내(맑개) 마을과 골짜기 가장 안쪽의 십리골 마을 사이에 이 마을이 있어 사이(間)의 마을이란 뜻에서 이 이름이 붙여졌다. 마을은 그리 크지 않았다 . ※ '샛말'이란 이름은 '샘말'로 음전되어 전국 각지에 '천촌(泉村)', '천리(泉里)' 등의 엉뚱한 마을 이름을 낳기도 했다.
⑥ 십리골
맑개(맑은내) 골짜기 가장 안쪽에 있던 마을로, 십리골이란 이름은 골짜기로 들어가는 옛날 하리(下里)의 선바위 쪽에서 이 곳까지 오는 데 약 십(10) 리가 된다는 뜻에서 붙여진 것이다. 십리골에서 골짜기를 따라 계속 오르면 청계산과 응봉을 잇는 능선의 안부(鞍部)를 만나는데, 그 너머쪽이 지금의 의왕시 청계동(淸溪洞)이다.
⑦ 벌말(坪村)
이름 그대로 벌판에 있는 마을이다. '상하벌(상아들)'이라는 너른 들이 양재천의 한 줄기인 막계천의 물을 젖줄기로 삼아 곡식을 살찌게 한 곳이다. 마을 앞으로 논 중심의 너른 들이 자리해 있어 이 이름이 붙었다. 역시 지금은 과천 서울대공원 주차장의 일부가 됐다. '벌말'과 비슷한 땅이름에 '들말', '평촌(坪村' 등이 있다. ※ 벌말: 전국에는 이러한 마을 이름이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 지금 안양쪽의 평촌(坪村)도 같은 뜻의 이름이다. 한때, 안양쪽 벌말에 있는 이 곳의 지하철역 이름이 '벌말역'이기도 했으나, 뒤에 '편촌역'으로 바꾸어 버렸다. 근처에 '궁말'이라고 불리는 곳이 있었다. 동쪽의 맑은내 건너쪽에 '사거리'란 마을이 있었고, 작은 등성이를 넘으면 골짜기 안으로 능안말이란 마을이 있었다.
⑧ 궁말[宮村]
과천 저수지 바로 아래쪽(북서쪽)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과천 서울대공원의 주차장 일부로 변했고, 마을 일부가 없어졌다. 원래 '굼말'이었던 것이 궁말로 변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이 일대가 낮은 구릉 지대여서 나온 이름이 아닌가 한다. 한자 지명 궁촌(宮村)은 궁말을 음의역한 것이다. 따라서, '궁(宮)'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⑨ 사거리
'사거리'는 벌말 북동쪽에 있던 마을로, 이름 그대로 길이 네 갈래로 되어 나온 이름이다. 작은 개울을 따라 길게 형성돼 있었던 마을로, 마을 가운데에 작은 네거리가 있어서 이런 이름으로 불렸다.
⑩ 능안말[陵內]
갱맹이 마을에서 작은 등성이 하나를 넘어 골짜기 안 산비탈에 형성됐던 마을로, 과천경마장이 들어서면서 없어졌다. 능(陵)의 안쪽 마을이란 뜻의 지명 같지만, 여기서의 능은 왕이나 왕비의 무덤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산등성이를 가리키고 있다. 근처의 갱맹이 마을이나 사거리 마을에서 볼 때 등성이 너머쪽이 되어 이 이름이 붙었을 것이다. 비슷한 땅이름에 '능골' '능말', '넘말' 등'이 있다. 마을이 있던 자리엔 현재 과천경마장의 마사(馬舍)가 들어서 있다.
전국 땅이름(네이버) 배우리 회장 집필 https://blog.naver.com/ureee/100181641636
210513 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