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변화하는 중국의 영유아 분유시장 | ||||||||||||||||||||||||||||||||||||||||||||||||||||||||||||||||||||||||||||||||||||||||||||||||||||||||||||||||
---|---|---|---|---|---|---|---|---|---|---|---|---|---|---|---|---|---|---|---|---|---|---|---|---|---|---|---|---|---|---|---|---|---|---|---|---|---|---|---|---|---|---|---|---|---|---|---|---|---|---|---|---|---|---|---|---|---|---|---|---|---|---|---|---|---|---|---|---|---|---|---|---|---|---|---|---|---|---|---|---|---|---|---|---|---|---|---|---|---|---|---|---|---|---|---|---|---|---|---|---|---|---|---|---|---|---|---|---|---|---|---|---|---|
게시일 | 2015-09-30 | 국가 | 중국 | 작성자 | 이맹맹(칭다오무역관) | ||||||||||||||||||||||||||||||||||||||||||||||||||||||||||||||||||||||||||||||||||||||||||||||||||||||||||||
--> -->
변화하는 중국의 영유아 분유시장 - 중국 브랜드 시장점유율 상승…외국 브랜드 시장점유율 하락 - - 마트 판매 부진…영유아용품 전문매장과 온라인 쇼핑몰 판매 증가 -
□ 중국 영유아용 분유시장의 규모
○ 2014년 중국의 영유아 분유시장 규모는 700억 위안에 달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14.67% 증가함.
2009~2014년 중국 영유아용 분유시장의 규모 통계 및 분석 자료원智研数据中心, KOTRA 칭다오 무역관
○ 2014년 중국의 영유아 분유산업의 소비량은 86만7800톤에 달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6.23% 증가함.
2009~2014년 중국 영유아 분유 산업의 소비량 통계 분석 (단위: 만 톤) 자료원: 智研数据中心, KOTRA 칭다오 무역관
□ ‘영유아 분유’를 구매하는 중국 소비자의 지역별 분포
○ 영유아 분유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주로 분포된 지역은 인구가 많은 지역(예: 광둥, 산둥, 허난)과 경제가 발달된 지역임. (예: 저장, 장쑤)
2015년 1분기 영유아 분유를 구매하는 소비자 지역별 분포도 자료원: i Research
○ 영유아 분유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분포된 도시는 1선 도시(베이징, 상하이, 광둥, 선전, 톈진)이고 그 다음 도시는 2선도시(후난 창사, 장쑤 쑤저우, 저장 닝보, 항저우)임.
2015년 1분기 영유아 분유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도시별 분포도 자료원: i Research
□ 중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상승, 외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하락.
○ 2014년 사상 최초 중국 분유 브랜드의 매출액은 외국의 분유 브랜드의 매출액을 넘어섰음. 중국 분유시장에서 중국 분유 브랜드와 외국 분유 브랜드의 시장점유 비중은 53:47임.
○ 2014년 중국 시장의 분유 브랜드 ‘TOP10’ 중 중국 브랜드와 외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 비중은 5:5임. - ‘분유 브랜드 TOP 10’에서 외국 브랜드가 차지한 점유율은 2013년 46%이며, 2014년 41%로 5% 하락했음. - ‘분유 브랜드 TOP 10’에서 중국 브랜드가 차지한 점유율은 2013년 28%이며, 2014년 30%로 2% 증가했음.
2014년 중국 분유시장의 브랜드 TOP 10
자료원: 法制周末
□ 마트를 통한 판매는 부진, 영유아용품 전문매장 &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판매 증가
○ 2009년부터 영유아용품 전문매장이 전통적인 판매경로였던 백화점과 마트에서 독립하는 추세임. 현재 중국의 소비자들은 더 전문적인 곳에서 영유아용 분유를 사는 것을 원하며, 영유아용품 전문매장을 통해 판매된 분유는 2010년 32%에서 2013년 42%로 급증하고 있음.
○ 2014년 중국 분유시장에서 판매된 분유의 45%가 영유아용품 전문매장을 통해 판매됐고, 27%가 백화점과 마트를 통해 판매됐으며, 28%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판매됐음.
자료원:中国食品报
○ 2014년 1~9월 중국의 영유아용 분유시장의 판매경로를 조사한 결과, 백화점과 마트를 통한 매출은 부진하고, 영유아용품 전문매장을 통한 매출은 증가하고 있음. 또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매출도 급증하고 있음.
자료원: 乳业咨询网
○ 2018년 온라인 쇼핑몰은 중국 분유시장의 가장 큰 판매경로가 될 것으로 예상됨. 앞으로 분유시장의 49%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판매될 것이고, 40%가 영유아용품 전문 매장을 통해 판매될 것이며, 11%가 백화점과 마트를 통해 판매될 것으로 예상됨.
□ 영유아 분유의 수입 현황
○ 2015년 1~7월 중국에서 수입한 영유아 분유(HS Code 19011010)는 8만711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26.8% 증가했음. 수입 총액은 12억5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0.7% 증가했음.
○ 네덜란드, 뉴질랜드, 독일, 프랑스 등 5개 국가에서 수입한 영유아 분유의 수입액은 중국 시장에서 수입한 총액의 77.9%를 차지함. - 네덜란드에서 수입한 분유는 2만9783톤이며, 시장점유율은 34%로 전년 동기 대비 71.5% 증가함. - 아일랜드에서 수입한 분유는 1만4435톤이며, 시장점유율은 16.6%로 전년 동기 대비 54.9% 증가함. - 뉴질랜드에서 수입한 분유는 8157톤이며, 시장점유율은 9.4%로 전년 동기 대비 21.6% 증가함. - 독일에서 수입한 분유는 8152톤이며, 시장점유율은 9.4%로 전년 동기 대비 424.3% 증가함. - 프랑스에서 수입한 분유는 7336톤이며, 시장점유율은 8.4%로 전년 동기 대비 32.7% 하락함.
영유아 분유의 주요 수입국 및 점유율(2015년 1~7월) 자료원: 중국 해관
□ 영유아 분유의 수입제품 브랜드 및 가격
자료원: KOTRA 칭다오 무역관
□ 관세 및 증치세
○ 중국 해관은 2014년부터 중국 조제식 분유(HS Code 19011000, 기타 영유아 식품 포함)로부터 분리시켜, HS Code19011010로 분류함.
○ 현재 뉴질랜드, 칠레, 싱가포르, 코스타리카, 아이슬란드, 마카오에서 수입하는 영유아 분유(HS Code 19011010)에 대해 중국은 수입 시 관세를 ‘0’으로 했으며, 기타 국가에 대해서는 모두 5%의 관세를 지급하도록 했음.
○ 중국에 수출 시(검역 및 통관) 준비사항 1) 제품 계약서 2) Packing List(포장명세서) 3) 인보이스 4) B/L 5) 위생증 6) 원산지증명서 7) 자동수입허가증(중국 수입상 제출) 8) 수입 화물 통관단(통관 시 중국 검역국에서 제품 검사 후 발급) · 중국 분유 수입상이 미리 중국상검국에서 제품라벨 등록 및 수출입상 등록을 해야 함. 한국 분유 생산상이 미리 한국 농림축산식품부를 통해 중국 인증허가위원회에 생산상 및 제품 등록을 해야 함.
□ 전시회 정보
□ 시사점
○ 중국의 영유아용 분유시장에서 외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이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4년 외국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 하락했음. 카이두(凯度) 소비자지수 중국 지역 총경리 위지엔(虞坚)씨는 2013년 발생한 뉴질랜드의 유청단백질 파우더 리콜사건 이후 외국 브랜드는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었다고 말했음. - 뉴질랜드 유청 단백질 파우더 리콜사건: 뉴질랜드 FonterraCo-operativeGroup이 자사의 한 공장에서 생산된 유청 단백질 농축 파우더가 보툴리너스균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리콜을 실시한 바 있음. 하지만 뉴질랜드 농무부가 리콜 상품에 대한 검사 결과 보툴리너스균이 발견되지 않았고, 이 일로 FonterraCo-operativeGroup은 일부 뉴질랜드 기업 및 해외 기업들로부터 기소 당함.
○ 과거의 중국 영유아 분유산업은 우수제품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운영됐으나, 최근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중국의 유제품 회사는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현재 해외 기업 혹은 연구개발 기관과 함께 합작해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음.
○ 기존의 중국 소비자들은 대부분 브랜드의 인지도와 평판에 따라 분유를 구매했지만,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현재 중국 소비자들은 이성적인 사고를 갖고 분유의 성분을 보고 제품을 구매하고 있음.
○ 한국의 기업들은 중국의 영유아용품 전문 매장과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판매경로 확장에 주목해야 함. 자사의 판매대상 및 소비자군에 맞춰 여러 가지 방식의 판매경로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그 중 가장 경쟁력 있는 판매경로를 중심으로 개척해야 함.
자료원: 智研数据中心, 乳业咨询网, 中国食品报, 法制周末, I Research, 중국 해관 및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