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부천개혁교회에서 2024년 겨울사경회를 부천개혁성경신학교의 '종교개혁사' 강의를 병행하여 '종교개혁시대의 신학과 신앙 : 종교개혁 이야기' 주제로 1월 13일(토요일)-14일(주일)에 가지며 강의한 내용입니다. 강사는 고경태 목사님(주님의 교회, 조직신학 교수)입니다. 세 번째 시간인 3강은 '종교개혁 대략'입니다.
.................................................................................
종교개혁시대의 신학과 신앙
- 종교개혁 이야기 -
목 차
1. 우리가 생각하는 종교개혁 진영이란
2.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자들
3. 종교개혁 대략
4. 때가 찬 종교개혁
5. 루터의 종교개혁
6. 칼빈(Jhon Calvin, 1509-1564)의 종교개혁
7. 잉글랜드의 종교개혁
8.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9. 재세례파와 신령주의(신비주의)
10. 로마 카톨릭주의와 세르베투스주의(소시니안)
11. 도르트 총회(1618-1619: the Synod of Dordrecht (Dort) in 1618-1619)
12. 웨스트민스터 총회(1643-1649)
※ 주일설교
........................................................................................
- 겨울사경회 첫째 날 : 세 번째 시간 -
3강 종교개혁 대략
종교개혁은 1기와 2기로 나눈다. 1기는 루터와 칼빈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2기는 신앙고백서를 작성하는 시기를 다룬다. 1560년 프랑스신앙고백서를 시작으로 1648년 잉글랜드에서 “웨스트민스터 삼대표준문서”(신앙고백서 1647, 소교리문답 1647, 대교리문답)가 완성된 것까지 다룬다. 1648년은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된 해이기도 하다. 이 조약은 구교와 신교 간에 있은 30년 전쟁을 종결짓기 위해 독일, 프랑스 등 유럽 여러 나라가 독일 베스트팔렌 지방의 뮌스터와 오스나브뤼크에서 맺은 강화 조약으로, 구교와 신교가 함께 공존해 나갈 것에 있을 것을 체결한 것이기 때문에 그동안에 있어온 국가 간의 종교개혁은 끝난 시기가 되었다. 그런 까닭에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된 1648년까지를 종교개혁시대로 본다. 따라서 마틴 루터에 의해서 종교개혁이 시작된 1517년부터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된 1648년까지 기간을 종교개혁 시대로 분류한다. 좀 더 광의적으로는 1688년 명예혁명까지로 볼 수 있다.
마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존 칼빈을 중심으로 헨리 8세(잉글랜드 국교회 출현)와 재세례파(再洗禮派, 영 Anabaptism, 독 Täufer, 급진적 종교개혁) 그리고 필립 멜랑톤, 마틴 부써, 하인리히 불링거 등을 1세대 종교개혁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존 낙스와 앤드류 멜빌, 데오드레 베자, 프랑스 개혁교회(위그노), 네덜란드 칼빈파(개혁파) 등을 2세대 종교개혁으로 제시한다. 잉글랜드는 퓨리탄이 신성로마제국은 경건주의(Pietism)가 태동되었다. 필립 야콥 스페너(Philip Jacob Spener, 1635-1705), 요한 아론트(Johann Arndt, 1555-1621), 헤르만 프랑케(August Hermann Franke, 1663-1727), 니콜라스 루드비히 진젠돌프(Nikolaus Ludwig von Zinzendorf, 1700-1760 : 모라비아교회의 창설자, 보헤미안 형제단(Bohemian Brethren)) 등이 있다.
유럽에서 1684년 베스트팔렌 조약(Westfälischer Friede, 영 Peace of Westphalia), 잉글랜드에서 1688년 명예혁명(名譽革命, 영 Glorious Revolution)으로 종교와 국가 관계에서 종교의 동등성은 사라졌다. 더 이상 종교가 국가 및 사회 문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런 사이에 사회에서는 이신론(理神論, deism)을 근거한 계몽철학(啓蒙主義, 프 Lumières, philosophy of enlightenment)에 발흥했다.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 경험주의)과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 회의주의)에 의해서 철학이 발흥했다. 1776년 잉글랜드 식민지였던 아메리카가 독립을 선언했고, 1800년 프랑스에서는 프랑스혁명과 나폴레옹(Napoleon Bonaparte, 1769-1821)이 출현했다.
간략한 연보
1517년 10월 31일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의 종교개혁
1520년 스트라스부르크 종교개혁. 1529년 2월 21일에 미사를 폐지: Mattäus Zell, Wolfgang Capito, Caspar Hedio, and Martin Bucer
1521년 보름스 칙령(Wormser Edikt), 루터를 이단으로 선언함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서(Augsburg Confession), 멜랑톤(Philipp Melanchthon, 1497-1560), 슈말칼덴 동맹(Schmalkalden League), 슈말칼덴 동맹은 츠빙글리주의를 배제하고, 루터주의에 근거해서 공식적인 신학적 입장을 표명.
1531년 츠빙글리(Ulrich Zwingli, 1484-1531) 카펠 전투(Kappel Wars) 전사
1533년 만성절(All Saints Day) 니콜라스 콥(Nicolas Cop)의 파리대학 총장 연설
1534년 잉글랜드 종교개혁, 헨리8세의 수장령(Acts of Supremacy, 首長令)
1536년 파렐(Guillaume Farel, 1489-1565)로 제네바 종교개혁으로 선회
1536년 존 칼빈(John Calvin,1509-1564)의 <기독교강요> 초판 출판
1541년 레겐스부르크 회의(Diet of Regensburg)
1546년 루터 별세
1546-1547 슈말칼덴 전쟁(Schmalkaldic War). 카알 5세가 승리로 1548년 휴전했다. 1549년 스트라스부르크는 슈말칼덴 동맹에서 황제의 지배로 들어가면서, 마틴 부써는 추방되었고, 잉글랜드 크랜머의 초대로 이주했다.
1547년 잉글랜드 헨리8세 사망, 프랑스 왕 프랑소아 1세 사망.
1553-1558년 메리, 피의 여왕(Bloody Mary)
1558-1603년, 엘리자베스 여왕
1603-1625년, 제임스 1세(1566-1625)
1625-1649년, 찰스 1세
Commonwealth 시대(1649-1668)
<칼빈 대략>
1536년 기욤 파렐의 인도로 제네바 사역 시작
1538년 제네바 추방, 스트라스부르크로 이주(마틴 부써의 초대)
1541년 제네바 초청으로 복귀
1553년 세르베투스 화형 – 소시니안(세르베투스주의, Servetus-ism) – 유니테리언으로 유지되고 있음
1555년 제네바아카데미 설립, 테오도르 베자(Theodore Beza, 1519-1605)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Peace of Augsburg) 체결: 루터파 프로테스탄트 교회가 인정되고, “영주민은 영주의 종교를 따른다”(Cujus regio, ejus religio)는 원칙이 결정되었다.
1559년 “프랑스신앙고백서”(Gallic Confession of Faith, French Confession of Faith)
1560년 존 낙스(John Knox, 1514~1572)의 “스코틀랜드신앙고백서” 작성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1546년 조지 위셔트(George Wishart, 1513-1546) 순교, 존 낙스 갤리선 노예
16세기 무렵에 롤라드 파의 가르침과 존 후스의 개혁사상이 스코틀랜드에 들어오게 되었고, 또한 윌리엄 틴데일의 신약성경이 글라스고 지방에 유포되면서 개혁자들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었다. 성경을 전하는 사람이 있으면 즉시 개신교라는 혐의를 받게 되었다. 스코틀랜드 의회는 성경읽기를 금지하는 법률이 통과했고, 윌리엄 틴데일이 번역한 신약성경을 금서로 지정했다.
14살 때 낙스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의 첫 순교자 패트릭 해밀턴(Patrick Hamilton, 1504- 1528)이 화형당하는 것을 보았고, 그 후 조지 위샤트(George Wishart)를 만나 회심을 경험하게 되었다. 위샤트는 존 낙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조지 위샤트 역시 젊은 나이에 이단으로 몰려 세인트앤드루스에서 화형을 당했는데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1546년, 33세에 화형을 당했다.
1561년 귀도 드 브레(Guido de Brès, 1522-1567) “벨직 신앙고백서”(the Belgic Confession)의 37개 조항을 개혁교회의 원리로 정립
1560년 멜랑톤 별세
1564년 칼빈 별세
1577년 일치문서(Formula of Concord), 루터파 형성.
1568-1648년 네덜란드 독립전쟁
1575년 레이덴 대학(Leiden University) 설립
1618-1619년 도르트 회의, 항론파 정죄, 도르트 법령(The Canons of Dort, 1619)
알미니우스(Jacobus Arminius, 1560-1609)
※ 스코틀랜드 앤드류 멜빌(Andrew Melville, 1545-1622)
스코틀랜드 존 카메론(John Cameron, 1580-1625), 소뮈르 학파
잉글랜드 토마스 카트라이트(Thomas Cartwright; 1535-1603)
잉글랜드 윌리엄 퍼킨스(William Perkins, 1558-1602)
프랑스 피터 라무스(Peter Ramus, 1515-1572), 철학자, 회중주의
프랑스 모세 아미라우트(Moïse Amyraut, Amyraldus, 1596–1664). 4point
1562-1598년 프랑스 위그노 전쟁(The French Wars of Religion)
1572년 바돌로매 축일 학살(Massacre de la Saint-Barthélemy)
1598년 낭트 칙령(Edict of Nantes)
1685년 퐁텐블로 칙령(Edict of Fontainebleau) 루이 14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