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웅석지맥 제3구간 밤머리재에서 윗터골도로까지
산행날짜: 2015년 11월 10일 화요일 흐림
위치: 경남 산청군
산행구간: 밤머리재~857.6m봉~선녀탕갈림길~웅석봉갈림길~웅석봉(▲1099.9m)~큰등날봉(990m)~▲910.6m봉~
808.7m봉(선인봉)~백운산(▲516.0m)~윗터골도로(헤원암)
산행자: 천자봉 홀로
남부터미널에서 심야버스로 원지에 도착해 PC방에서 짧은 시간을 보내고 07:50에 홍계리로 출발하는 버스에 승차하여
덕산을 경유한후 버스종점인 상촌마을에 도착하여 밤머리재 방향의 도로를 진행해야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것으로
예상되어 지나가는 화물차에 도움을 청하니 정차하며 승차를 승낙합니다 너무나 고마워 인사를 올리며 산행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나누던 중에 지리산둘레길 제8구간을 담당하는 관리자라고 소개를 받았습니다 이른 아침에 산청으로 회의를
가던중에 배낭을 맨 등산객으로 확인되어 허락을 했다는 말씀에 또 다시 고맙다는 인사를 올리고 밤머리재에서 단성면
입석방향의 웅석지맥 마루금을 진행하는데 덕분에 너무나 쉽게 많은 시간을 단축하여 밤머리재에 도착하게됨을 고맙다는
인사로 대신하고 하차해 산행을 시작합니다
웅석지맥 제3구간 지형도입니다 ↓


진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대원사와 홍계방향 시간표입니다 ↓
원지정류소에서 청계리방향 시간표입니다 ↓
홍계리버스종점에 도착했습니다 ↓
밤머리재에 도착했습니다 ↓
08:49 밤머리재를 출발했습니다
오늘의 행운에 너무나 감사하며 스넥카가 자리하며 넓은 공터가 형성된 도로에서 웅석봉군립공원안내도가 설치된 방향의
가파른 통나무계단 오르막길을 긴 시간동안 올라 능선정상에 도착하여 가쁜숨을 고르며 완만한 길을 이어가 또 한번의
오르막길로 전환되어 좌측으로 길이 연결되며 표지봉(대장4.0km⇦●⇩밤머리재1.0km ⇧웅석봉4.3km)과 119표지목이
설치된 갈림길을 지나서 우향의 완만한 오름길을 이어가 857.6m봉에 도착하여 짙은 안개로 인하여 조망을 못한채 완만한
길을 특징없이 진행후 헬기장에 도착합니다
밤머리재를 출발했습니다 ↓
밤머리재에서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대장방향의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09:35 헬기장에 도착했습니다
넓은 공터의 헬기장을 통과해 완만한 내림길을 이어가 정면의 봉우리를 우사면으로 우회하는 지점에서 직진의 잡목지대를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작은 바위들이 몰려있는 861.1m봉에 도착하여 우향의 완만한 내림길을 내려가 우사면으로
우회했던 길과 합류되어 바위지대를 진행하며 좌측11시 방향의 웅석봉과 지난온 밤머리재와 857.6m봉을 조망후 내리막
길로 전환되어 정면의 봉우리를 우사면으로 우회하는 지점에서 좌측이 직벽으로 형성된 바위지대의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지나온 861.1m봉과 좌측 멀리 안개로 인해 희미한 산청을 조망하고 881.6m봉에 도착하여 바위지대의 완만한
오름길과 내림길을 번갈아 진행하여 우사면으로 우회했던길과 합류되어 진행후 정면의 889.1m봉을 우사면으로 우회하는
지점에서 직진의 잡목지대를 가파른 오르막길로 올라 889.1m봉에 도착합니다
헬기장에 도착했습니다 ↓
안개로 희미한 웅석봉을 조망했습니다 ↓
후방의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10:16 889.1m봉에 도착했습니다
119표지목(웅석봉7 밤머리재 위 3.2km)이 설치된 봉우리에서 완만한 바위지대 내림길을 진행하여 우측 멀리 밤머리재
방향을 조망후 커다란 바위들로 형성된 조망바위에 도착해 우측 아래의 홍계리를 조망하고 완만한 길을 이어가 좌측으로
길이 연결되며 선녀탕2.0km⇦의 표지봉과 119표지목(웅석봉3 선녀탕위 2km)이 설치되어있고 커다란 바위들이 자리한
갈림길을 지나 오르막길로 전환되어 우측으로 능선이 분기되며 길이 연결되는 갈림길을 지난후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사방이 탁트여있는 조망바위를 지나고 좌측의 웅석봉이 가깝게 조망되는 1032m봉에 도착해 내림길과 오름길을 번갈아
진행하여 좌측과 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Y자형 갈림길에서 좌측의 내림길을 짧게 내려가 우측1시 방향에 또 다른
갈림길이 있어 진행하던 길을 버리고 우측사면을 짧게 진행하여 조금전 헤어졌던 길과 합류되어 좁은 공터와 표지목이
설치된 십자로 갈림길에 도착하여 좌측9시 방향의 완만한 내림길을 내려가 정면의 웅석봉이 조망되며 우측의 청계리로
길이 연결되는 헬기장을 통과해 넓게 조성된 오르막길을 올라서 웅석봉정상에 도착합니다
밤머리재를 조망했습니다 ↓
우측 아래의 홍계리를 조망했습니다 ↓
좌측 선녀탕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첫 번째 웅석봉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두 번째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갈림길에서 좌측의 웅석봉을 조망했습니다 ↓
우측의 길이 갈라지는 헬기장을 통과하며 웅석봉을 조망했습니다 ↓
헬기장의 표지봉입니다 ↓
11:33 웅석봉정상(▲1099.9m)에 도착했습니다
우측 청계방향과 직진의 길이 연결되며 전망테크와 삼각점(산청 25 1991 재설)이 키작은 정상석과 함께 설치된 정상에
근무자가 자리를 지키고있는 산불감시초소가 설치되어있으며 좌측9시 방향으로 밤머리재로 이어지는 마루금이 조망되는
정상에서 되돌아 내려가 헬기장을 통과후 표지봉(큰등날봉1.1km)이 설치된 갈림길에 도착하여 좌측의 완만한 길을
긴 시간동안 이어가 997.5m봉을 지나 커다란 바위가 자리한 봉우리에 도착해 우향으로 전환되어 완만한 오르내림을
반복하여 우측에 커다란 바위들로 구성된 암봉을 좌사면으로 우회한후 좁은 공터에서 점심식사를 마치고 바위들로 형성된
1034m봉을 우사면으로 우회하는 내림길을 내려가 표지봉(웅석봉2.7km ⇦●⇨큰등날봉40m ↗민족다물학교7.0km)이
설치된 좌측11시 방향의 갈림길을 지나서 오르막길을 올라 큰등날봉정상에 도착합니다
웅석봉정상에 도착했습니다 ↓
정상에서 우측의 청계방향 갈림길입니다 ↓
정상의 전망데크입니다 ↓
↓
정상에서 지나온 밤머리재 방향의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큰등날봉 직전입니다 ↓
13:08 큰등날봉정상에 도착했습니다
우측으로 능선이 분기되며 길이 연결되고 “큰등날봉”의 안내판이 나무에 부착된 갈림길 봉우리에 도착후 직진하여
바위지대의 오르내림을 진행해 잡목이 우거진 폐헬기장을 지나 평지길을 편안하게 이어가 정면의 990.9m봉을 우사면으로
우회하는 지점에서 직진의 잡목지대를 가파른 오르막길로 올라 좌측 아래의 청계저수지가 조망되는 봉우리정상에 도착후
잡목지대의 내리막길로 전환되어 표지봉(삼장면 홍계리 딱바실계곡)이 설치된 우측 갈림길에 도착하여 정면의 오르막길을
올라서 좌우측으로 능선이 분기되며 길이 갈라지는 지리태극종주 갈림길에 도착해 좌측10시 방향으로 이어가 좌측이 넓은
공터로 형성된 지역에 도착후 우향으로 전환되어 넓게 조성된 길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우측으로 약30여m정도 떨어져있는
삼각점(910.6m)에 도착합니다
큰등날봉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
우측 아래의 평촌방향이 조망되는 봉우리에 도착했습니다 ↓
밤머리재를 조망했습니다 ↓
후방의 웅석봉입니다 ↓
좌측 아래의 청계저수지를 조망했습니다 ↓
홍계리 딱바실계곡 갈림길의 표지봉입니다 ↓
태극종주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태극종주 갈림길을 지나 공터에 도착했습니다 ↓
14:05 ▲910.6m봉에 도착했습니다
기초대가 훼손된 삼각점(산청 456 1983 ??)과 안내판을 확인한후 되돌아 내려와 넓고 뚜렷한 길을 편안하게 진행하여
좌측으로 길이 연결되며 표지봉(다물평생교육원3.5km⇦●⇩웅석봉5.0km)이 설치된 갈림길을 지나 우측9시 방향에 많은
표지리본이 매달려있는 뚜렷한 길과 직진의 희미한 길이 갈라지는 또 다른 갈림길에 도착하여(길주의지점입니다) 직진의
희미한 길을 완만하게 이어가 바위지대가 끝나는 지점에서 잡목지대의 오르막길로 전환되어 후방의 태극종주 갈림길봉과
좌측 아래의 청계리 방향을 조망후 키작은 소나무가 조림된 좁은 공터의 838.7m봉에 도착하여 내림길로 이어가 넓고
완만한 안부를 통과해 오름길로 전환되어 좌측이 탁트여있으며 넓은 바위가 자리한 조망지점에 도착하여 좌측 아래의
운리를 조망후 좌측이 급경사가 형성된 완만한 오르내림을 반복하며 이어가 정면의 봉우리를 향하여 오르막길을 올라서
808.7m봉에 도착합니다
910.6m봉에 도착했습니다 ↓
운리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지나온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좌측 아래의 운리를 조망했습니다 ↓
좌측이 탁트여있는 조망바위에 도착했습니다 ↓
조망바위에서 운리를 담았습니다 ↓
15:07 808.7m(선인봉)에 도착했습니다
선인봉의 안내코팅지가 나무에 부착된 봉우리에서 완만한 길을 이어가 소나무가 조림된 폐헬기장을 지나서 좌향의 내리막
길로 전환되어 긴 시간동안 내려가 간벌한지 오래된 나무들이 지면에 널려있는 안부에 도착후 좌측9시 방향으로 전환되어
봉분이 훼손된 흙묘1기의 묘터를 지나 완만한 내림길을 진행하여 좌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 도착해 좌측의
희미한 길을 짧게 이어가 정면이 탁트여있으며 계단식의 절개지가 형성된 고령토채취장 상단부에 도착하여 우측2시방향의
백운산을 조망후 지나온 갈림길로 되돌아가 뚜렷하게 이어지는 내림길을 진행하여 좌측의 절개지와 나란히 이어가 임도에
도착합니다
808.7m봉에 도착했습니다 ↓
고령토채취장에 도착했습니다 ↓
15:44 임도에 도착했습니다(이곳에서 우측의 임도를 진행해도 될것으로 생각됩니다)
좌측으로 넓은 고령토채취장이 자리하고 우측의 임도가 연결되는 갈림길에서 직진의 잡목지대를 올라 완만한 오름길로
전환되어 낮은 능선에서 우측3시 방향으로 진행해야 하는데 독도 실수로 정면의 봉우리까지 올라 우측의 잡목지대를
내려가 임도에 도착하여 우측으로 진행후 마루금과 합류되는 지점에 도착해 우측의 마루금을 연결하기위해 임도를 따라
고령토채취장까지 이어가 우측의 마루금을 또 다시 진행하여 낮은 능선정상에서 우측3시 방향의 잡목지대를 내려가
좌측과 우측으로 굽어 돌아가는 임도를 횡단하여 낮은 석축이 쌓여있는 완만한 내림길을 내려가 좌우측으로 연결되는
지리산 둘레길에 도착하여 좌측의 내림길을 내려가 안부갈림길에 도착합니다
고령토채취장임도에 도착했습니다(이곳에서 1시방향의 임도를 진행해도됩니다) ↓
임도에서 후방을 조망했습니다 ↓
잘못갔던 마루금을 되돌아가 끊어진 마루금을 이어서 도착했습니다 ↓
16:22 안부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지리산둘레길 운리방향과 백운방향의 안내표지목이 설치되어있는 둘레길과 좌우측의 임도가 합류되는 안부 갈림길에서
좌측10시 방향의 임도를 짧게 진행후 잡목이 우거진 우측의 폐임도를 오름길로 올라 정면에 높은 석축이 쌓여있는 지점에
도착해 좌측의 절개지를 올라 후방의 지나온 마루금을 조망후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간벌된지 오래된 나무들이 지면에
널려있는 무명봉에 도착하여 우향으로 전환되어 완만한길을 이어가 정면의 백운산이 가깝게 조망되는 안부를 통과하여
잡목지대의 오르막길을 올라 백운산정상에 도착합니다
지리산둘레길이 합류되는 안부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석축이 쌓여있는 절개지를 올라가며 후방을 조망했습니다 ↓
안부에서 정면의 백운산을 조망했습니다 ↓
16:50 백운산정상(▲516.0m)에 도착했습니다
정상안내판과 삼각점(산청 315 2002 재설)이 안내판과함께 설치된 정상에서 뚜렷하게 이어지는 우향의 내림길과
잡목과 넝쿨이 우거진 내리막길을 긴 시간동안 내려가 좌측과 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 도착하여 좌측10시방향의
내리막길로 전환되어 작은 바위들이 깔려있는 너덜지대를 내려가 임도가 시작되는 지점에 도착후 우향의 임도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이어가 기울어져가는 청색지붕의 창고 앞을 지나서 임도가 좌향으로 굽어 돌아가는 지점에 도착하여 임도를
버리고 우측3시방향의 가옥과 도로를 바라보며 내려가 여러기의 묘들이 자리하고 원형석곽묘2기가 조성된 묘터를 지나서
좌측에 혜원암이 자리한 도로에 도착하여 좌측의 도로를 진행후 이동통신사중계기가 설치되어있고 좌측의 임도가 연결된
고개마루에 도착합니다(창고건물이 자리한 지점에서도 혜원암 방향으로 내려서지 않고 계속임도를 진행해야합니다)
백운산정상에 도착했습니다 ↓
백운산정상을 내려와 임도를 진행하여 기울어진 창고를 통과합니다 ↓
어둠이 내리기시작하여 급한 마음에 내려선 도로입니다 ↓
17:29 윗터골도로에 도착했습니다
편도1차로에 우측으로 농장이 자리하고 좌측의 임도가 연결되는 고갯마루에서 오늘의 산행을 마치고 운리방향의 도로를
약23분정도 진행하여 1001번도로에 자리한 용두마을 버스정류장에 도착후 진주에서 17:20에 출발한 버스가 청계로
들어가는 것을 확인후 남아있는 식수로 세면을 마치고 젖은 옷을 갈아입은후 청계에서 18:20에 진주로 출발하는 버스가
도착하여 승차후 단성을 경유하여 원지버스정류소에서 하차해 남부터미널행 시외버스로 환승후 무사히 귀가를했습니다.
도로에 도착했습니다 ↓
마루금이 연결되는 고갯마루 우측 농장입니다 ↓
임도를 끝까지 진행하면 도착하는 고갯마루입니다 ↓
이곳에서 산행을 마칩니다 ↓
1001번도로 용두마을에 도착했습니다
(아침에 밤머리재까지 태워주신 둘레길 관리자님 덕분에 계획했던 구간을 무사히 마치게되어 정말 고마웠습니다
다시한번 머리숙여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
지맥산행거리= 17.93km (잘못간길= 0.9km)
밤머리재~윗터골도로
접속거리= 1.64km
윗터골도로(해원암)~용두마을
지맥산행시간: 08시간40분
밤머리재 출발(08:49) ~ 윗터골도로 도착(17:29)
접속구간시간= 23분
윗터골도로 출발(17:29)~용두마을정류장 도착(17:52)
산으로 갈 때
서울남부터미널~원지버스정류소= 시외버스(심야:20,000원)
원지정류소~홍계리종점= 시외버스(3,200원)
홍계리종점~밤머리재= 화물차도움
집으로 올 때
용두마을버스정류장~원지버스정류소= 진주행시외버스(1,500원)
원지시외버스정류장~남서울터미널= 시외버스(18,200원)
원지정류소~대원사,홍계리= 07:55 09:00 09:55
원지~청계리= 07:45 13:55 17:45
청계리~용두마을버스정류장~원지시외버스정류장= 08:10 14:30 18:20
첫댓글 예전에 석대능선을 개척한다고 톱과 전지가위를 들고서
웅석봉에 올랐던 기억이 스쳐가네요...
저도 웅석지맥을 진행해야 하는데
아마도 내년에나 들어설듯 한데
좋은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수고 많으셨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