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대중음악평론가 이용우님의 '라틴가요열풍'이란 제목의 글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탱고, 맘보, 차차차, 삼바 등의 라틴 음악은 우리나라에서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언제부터일까. 약 1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라틴 유행의 자락을 붙잡을 수 있다.
설운도의 ‘다 함께 차차차’(1993)를 비롯해,
발표 2년 뒤 지각 히트한 최백호의 ‘낭만에 대하여’(1994) 등이 중장년층의 향수를 자극한다면,
신승훈의 ‘내 방식대로의 사랑’과 김부용의 ‘풍요 속의 빈곤’(1996) 등은,
청년층의 추억을 환기시킬 것이다.
이 곡들은 각각 차차차, 탱고, 맘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었다.
그 뒤 룸바나 삼바를 앞세운 임현정의 ‘첫사랑’이라든가,
백지영의 ‘선택’이 인기를 얻은 1999년 무렵에 이르면,
라틴 음악 스타일은 여름 한철을 겨냥한 하나의 히트 옵션이자 아이템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런 곡들을 ‘라틴 가요’라고 부를 수 있을까.
부를 수 있든 없든, 이런 움직임이 최근의 현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란 점은 분명하다.
1950년대 중후반, 지금 생각하면 아득한 옛날부터 이런 ‘가요’들이
‘인기가요’의 레퍼토리에서 빠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서도 당시를 풍미한 라틴 리듬은 단연 ‘맘보’였다.
외래 음악 스타일의 유입과정에서 반드시 수반되는 현상은 ‘나름대로 토착화’라는 것이다.
그래서 ‘맘보’가 인기가요가 되기 위해서는 ‘닐리리 맘보’가 되어야 했다.
‘닐리리 맘보’는 1950년대 중반 맘보 열풍이라는 사회적 현상을 배경으로 전국적으로 히트했다.
이 곡만이었을까? ‘아낙네 맘보’, ‘맘보 타령’, ‘아리랑 맘보’, ‘도라지 맘보’, ‘양산도 맘보’, ‘코리아 맘보’, ‘맘보 잠보’, ‘나포리 맘보’ 등,
당시 인기가요 가운데 맘보를 곡 제목으로 내세운 곡들에 대한 조사는 아직 ‘진행 중’이다.
맘보라는 이름이 제목에 없는 경우라도 맘보 리듬을 차용한 곡들에 대한 조사는 말할 것도 없다.
1950년대에 유행한 라틴 리듬이 맘보만은 아니었다.
차차차, 탱고 등의 댄스 리듬이 한국 가요로 만들어지는 데는 그다지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누구나 다 알만한 노래들인 ‘노래가락 차차차’, ‘비의 탱고’ 등은 그 중 일부에 불과하다.
당시 작곡가들의 참으로 왕성한 ‘외래문화 수용능력’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물론 시기를 더 소급할 수도 있겠지만, 현인이 ‘서울야곡’을 발표했던 1940년대 후반에는,
라틴 리듬이 매우 이국적이고 희귀한 것이었고,
1950년대 중후반에 이르러 ‘일반화’, ‘대중화’되었음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맘보와 차차차의 ‘고향’을 따져보면 맘보는 ‘아프로쿠반’ 리듬, 탱고는 ‘아르헨티나’의 리듬이다.
그렇지만 이런 차이가 당시에는 그다지 중요했던 것 같지 않다.
쿠바든 아르헨티나든 모두 ‘아메리카 대륙’으로부터 온 리듬이었다.
참고로, 이 모든 리듬이 한국이나 다른 나라에 유입되기 전에,
이미 미국을 한바탕 휩쓸고 갔다는 점은 기억해둘 만하다.
그리고 맘보 대유행(mambo craze)이 세계적이었다는 점도...
다맞는 말은 아닐지 모릅니다...
찐교스의 대학시절 고고장이라는 곳이 있어...
가끔씩은 친구들과 어울려 가곤했는데...
한 6~7인조 밴드의 라이브 음악에 춤을 추곤했지요...
고고와 블루스를 몇 곡씩 번갈아가면서 연주해 주었는데...
이 닐리리맘보에 맞춰 막춤 고고를 추던 기억이 남아있습니다...
블루스는 예나 지금이나 못추지만...
봄날은간다, 댄서의 순정 등을 연주하곤 했죠...
그때의 기억을 살려... 닐리리맘보...
아주 짧은 연주입니다...
닐리리야 닐리리 닐리리맘보
닐리리야 닐리리 닐리리맘보
정다운 우리님 닐리리 오시는 날에
원수의 비바람 닐리리 비바람 불어온다네
님가신 곳을 알아야 알아야지
나막신 우산 보내지 보내드리지
닐리리야 닐리리 닐리리맘보
닐리리야 닐리리 닐리리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