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전 읽기]
《앙굿따라 니까야 》제5권 『아홉의 모음』
[제3장 중생의 거처 품] <망아지 경>
세 부류의 젊은 사람
3.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세 부류의 젊은 사람인가?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젊은 사람은 속력을 구족했지만 용모와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하지는 못했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젊은 사람은 속력과 용모를 구족했지만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하지는 못했다.
비구들이여, 여기 어떤 젊은 사람은 속력과 용모와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했다."
<계속>
《앙굿따라 니까야》 제5권 『아홉의 모음』[제3장 중생의 거처 품] <망아지 경(A9:22)>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앞서의 경문은 세 종류의 망아지에 대한 말씀이었습니다.
그것은 좋은 망아지가 구족해야 할 자격조건이라 할 것입니다.
그런 자격조건을 갖추는 데 있어 자질에 따라 세 종류가 있었습니다.
첫째는 속력을 구족했지만 용모와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하지는 못한 망아지,
둘째는 속력과 용모를 구족했지만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하지는 못한 망아지,
셋째는 속력과 용모와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한 망아지입니다.
젊은 사람도 그와 마찬가지로 세 부류가 있다 합니다.
첫째는 속력을 구족했지만 용모와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하지는 못한 젊은사람,
둘째는 속력과 용모를 구족했지만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하지는 못한 젊은 사람,
셋째는 속력과 용모와 균형 잡힌 몸매를 구족한 젊은 사람입니다.
세 종류의 젊은 사람 중 셋째가 단연 좋은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 하겠습니다.
속력, 용모, 균형잡힌 몸매를 잘 갖추어야 좋은 젊은 사람이라 할 것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속력과 용모와 균형잡힌 몸매란 무엇을 뜻할까요?
여기서 속력이란 망아지처럼 빨리 달리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성제의 진리를 꿰뚫어 아는 지혜의 속력을 말합니다.
용모란 잘 생긴 얼굴 모양이 아니라 법(法)과 율(律)에 대하여 아는 것을 말합니다.
균형잡힌 몸매도 다부진 멋진 몸매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의식주(衣食住)와 병구완에 불편이 없는 생활을 말합니다.
이 뜻이 다음 경문에 상세히 나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불보살님의 은은한 가피 속에 심신의 안정과 건강 잘 챙기시면서 정견과 자애와 연민이 함께한 넉넉한 마음으로 정심정행하며 여여한 주말 토요일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_()_ _(())_ (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