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터 하운드 (Otter Hound)
► 이 명 : 수달 사냥개
► 외 관 : 오터 하운드(Otter Hound)의 크기는 체고 61~69㎝, 체중 36~52kg 정도되는 대형견으로 몸집이 크고
단단한 근육질이다. 천천히 오랫동안 걸을 수 있으며, 이중 구조의 털은 지성이어서 가시덩쿨과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사냥개로서는 드물게 몸 전체가 텁수룩한 털로 뒤덮여 있으며 털빛은 흰색, 회색, 다갈색, 붉은색 등이 섞여 있다. 머리는 크고 둥글며 주둥이는 길쭉하다. 눈은 둥글고 귀는 길며 얼굴 양옆으로 처져 있다. 꼬리는 굵고 길며 끝이 뾰족하다.
오터 하운드는 덥수룩한 털이 얼굴까지 덮혀서 우리나라의 삽살개와도 비슷한 외모이며, 코와 주둥이가 긴 편이고, 발이 커서 거칠거나 미끄러운 지형에서도 잘 견디며, 악천후 속에서도 오랫동안 사냥에 이용될 수 있는 강한 체력을 가지고 있다. 거친 환경에서도 목표물을 추적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며 후각이 뛰어나 물을 포함한 어떠한 환경에서도 사냥물을 추적할 수 있다.
털의 질감과 품질은 길이보다 더 중요하다. 겉털은 조밀하면서도 거칠고 크고 바삭거리며, 갈라진 모습이다. 머리와 다리 아래에 난 털이 더 부드러운 것은 자연스럽고, 겉털은 등에서는 2~4인치의 길이이고, 사지에서는 더 짧으며, 방수성의 밑털은 짧고 솜털같으며, 약간 기름기 있는 털이여야 하지만, 여름철에는 허벅지와 어깨를 제외하고는 털이 단단해진다.
귀에는 털이 보기 좋게 나 있고, 꼬리에는 장식 깃털이 나 있다. 자연스레 털이 빠지거나 길이나 장식성이 모자란다 하더라도 임무 수행중인 오터 하운드라면 올바른 것이라고 한다. 사냥하기에 적합한 털이란 바깥털은 단단하고, 밑털은 솜털같아 보이는 것이다. 오터 하운드는 타고난 그대로의 털을 보여 주는 것이어야 하며, 털을 다듬어 주거나 모양을 꾸미지는 않는다고 한다.
► 설 명 : 오터 하운드(Otter Hound)는 차분한 성격이지만 독립심이 강하다. 천성적으로 활동적이며, 짖는 소리가 우렁차므로 주인과 이웃의 이해가 필요하다. 운동을 자주 해야 하고, 털은 1주일에 한번 정도 빗질을 해주면 된다. 다른 견종이나 아이들과도 잘 어울리므로, 마당이 넓은 집이라면 가정견으로 키 워도 좋다. 무리를 지어 다니는 무리사냥개로 다른 견종들과 마찰없이 친근하게 지낸다.
사냥개로서 다른 포유동물의 흔적을 찾아 내는데 천부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한번 추적을 하기 시작하면 집중력이 강하여 다른 일로 유도하기가 불가능할 정도이다. 사냥감을 잡는 것이 임무는 아니지만 작은 동물일 경우 끝까지 쫓아가기도 하며, 사냥 및 냄새 맡기, 추적하기를 좋아하지만 특히 수영을 더 좋아하는 편이다. 집에서는 고집이 세면서도 유순한 편이고, 가족들과도 잘 어울린다.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잘 대해준다. 전통적으로 애완용이므로 취급되지 않아서 다른 애완견에 비해 다루기가 쉬운 편은 아니지만 말썽을 많이 피워서 곤란하게 만들지 않는 조용한 품종의 개이다. 평균 수명은 10~13년 정도이다.
► 주 의 : 특별한 유전적 질환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간혹 발작을 일으키는 개체가 있는데 이는 유전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보여진다고 하므로 강아지를 분양 받을 때에는 부모견의 병적을 먼저 살펴보아야 사전에 예방을 할 수가 있을 것이다. 털이 길므로 눈 주위의 털을 짧게 해 주어서 눈 망막손상 등이 오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하며, 고관절 형성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시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식탐이 다소 있으므로 비만견이 되지 않도록 사료량을 적절히 조절하고, 고창증(위 염전)에 대한 보고도있으므로 천천히 먹는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매일 한 시간 정도의 산책과 운동을 시켜 주어야 한다. 털 빠짐은 보통 정도이지만 털이 길기 때문에 수시로 빗질을 해 주는 것이 좋다.
► 기 원 : 오터 하운드(Otter Hound)는 영국을 원산국으로 하고 있으며, 웰시 해리어(Welsh Harrier)와 서던 하운드(Southern Hound)를 교배하여 만든 견종으로 알려져 있다. 강한 인내심과 뛰어난 후각을 가지고 있어서 특별한 훈련을 받고 수달(otter) 사냥에 이용되었으며, 나중에 수달 사냥이 금지되자 밍크 사냥에서 한몫을 담당하였다.
12세기 이전부터 오터 하운드가 수달 사냥에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매끈한 털을 가진 후각하운드와는 달리 덥수룩한 털을 가진 후각하운드인 견종이다. 오늘날에는 영리하고 충성스러운 애완견으로 사랑받고 있다. 오터 하운드란 견명의 유래는 수달(otter)을 사냥하는 개라는 데서 유래하였다.
오터 하운드(Otter Hound)의 기원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으며, 블러드 하운드와 워터스파니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외모나 거친 털 등을 근거로 프랑스의 그리퐁 스타일(프티 바세 그리퐁 방댕 등)의 견종과도 연관이 있다고 말하는 학자들도 있다. 이 개는 영국에서 수달사냥이라는 독특한 사냥에 주로 이용되었는데, 강가에서 수달을 찾아내고 쫓아가 궁지에 몰아넣는 능력이 탁월하다.
1212년 존 대왕이 많은 오터 하운드 무리를 길렀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또 다른 수달 사냥개로 잘 알려져 있는 에어데일 테리어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큰 영향을 준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평소에 물가를 너무 좋아하고 육지 사냥에서는 여우를 쫓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 사냥개로는 인기를 얻지 못했다. 오터 하운드는 깔끔하지 못한 외모 때문에 꾸준한 인기를 얻지 못하였다.
► 비 고 : 오터 하운드는 FCI(세계 애견연맹) 분류 그룹 6 센트 하운드와 관련 견종 섹션 1.1 대형 센트 하운드 그리고 스탠다드 No. 294로 등록이 되었다. 이 외에도 세계 유수의 켄넬 클럽 및 각종 애견 단체에 대부분 등록이 되어 있다.
► 참 고 : 영국에서 수달사냥은 19세기 후반 절정에 이르러 많은 오터 하운드들이 이용되기도 했지만, 수달사냥에 대한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그 수가 줄어들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에는 밍크 사냥에 한 몫을 한다. 당시는 수달을 사냥하는 것이 스포츠였을 만큼 그 인기가 대단하였다고 한다. 20세기의 시작과 함께 미국에 소개되어 1960년 미국애견협회에서 승인되었고, 애호가들은 전람회에 출전하여 멋진 외모로 개량하지 않고 원래의 모습으로 유지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순수한 혈통의 유지에 많은 도움이 되긴 하였으나, 전람회나 애완견으로서의 특별한 관심을 끌지 못하여 그 수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품종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영국켄넬클럽과 미국켄넬클럽 인증 품종 가운데 멸종 위기에 처할 정도로 드문 품종으로 남아있다고 한다.
아프리카의 흰코뿔소나 중국의 자이언트 판다 보다도 더 큰 멸종위기를 맞고 있는 오터 하운드는 썰매견 말라뮤트보다도 덩치가 더 큰 편이며, 현재 전세계적으로 1,000여 마리가 남아있고, 영국에는 약 400마리 정도가 남아 있다고 한다. 참고로 전세계적으로 흰코뿔소는 1,700여 마리, 자이언트 판다는 2,000여 마리 정도라고 한다.
□ 공식 견종 표준
► 외형 : 오터 하운드의 크기는 체고 55∼69㎝, 체중 29∼53kg 정도되는 대형견이다. 개체 별로 체중 차이가 많이 나며, 수컷이 암컷보다는 비교적 많이 큰 편이다. 외모는 크고, 곧으면서 결함이 없는 사지, 거친 털, 기품이 있는 머리, 힘이 센 몸집을 하고 있다. 보폭은 크고, 유연하게 보행하며,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몸통의 특징적 조건은 거친 이중모와 큰 발이며, 움직임도 자유롭다. 신체 비율은 코끝에서 스톱까지 거리가 스톱에서 후두부까지 거리보다 조금 짧은 편이다. 머리는 윤곽이 깔끔하고 매우 당당한 느낌이며, 넓지 않아서 깊고, 개방적이므로 상냥한 표정을 짓는다. 코를 제외한 머리 전체는 거친 털로 덮여 있고, 끝에는 약간의 콧수염과 턱수염이 있다.
► 머리 : 두개골은 알맞은 정도이고, 돔형이며, 보기에 투박하지도 지나친 정도도 아니며, 스톱에서 살짝 두드러지는 뒤통수 융기까지 오르막이다. 이마에는 주름이 전혀 없고, 불거져 나오지도 않았으며, 스톱이 뚜렷하지만 지나치지는 않다.
• 코 : 코는 알맞은 정도로 넓으며, 콧구멍도 크고, 주둥이는 힘이 있으면서 깊다.
• 입 : 입술은 크지만 지나치지는 않고, 턱은 힘이 세고, 크다. 이빨은 완벽하게 다 있고, 고른 협상교합(위턱의 앞니가 아래턱의 앞니보다 조금 앞에서 맞물리는 상태)이며, 이빨은 턱에 직각으로 박혀 있다. 볼은 광대뼈가 뚜렷하다.
• 눈 : 눈은 영리한 눈빛이며, 안구는 적당하게 들어가 있다. 결막은 아주 살짝 보이고, 눈과 눈 가의 색깔은 털색에 따라 다르며(파란색과 탄 색의 하운드는 녹갈색 눈을 가질 수 있음), 황색 눈은 바람직하지 않다.
• 귀 : 귀는 오터 하운드에만 있는 고유한 특징이 있는데, 눈 가장자리 높이에 달려 있는 귀가 길게 늘어져 있다. 귀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코에 거뜬히 닿고, 귀에는 특징적인 주름이 하나 있으며, 귀의 앞 가장자리가 접히거나 안으로 감겨서 이상한 주름이 생긴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이것이 바로 꼭 있어야 할 중요한 특징이기도 하다. 귀에는 털이 많아서 프린지(술을 이루는 텁수룩한 털)가 있다.
► 목 : 목은 길고, 힘이 세며, 어깨와 매끈하게 연결되어 있다. 목 밑에 처진 피부가 살짝 있는 것은 허용된다.
► 몸통 : 몸통의 전체적인 모습은 무척 힘이 세어 보이고, 등선은 수평이며, 등은 넓다. 허리는 짧고 힘이 있으며, 가슴은 깊은 편이다. 가슴의 갈비뼈는 활 모양으로 잘 휘어져 있고, 흉곽은 상당히 깊으면서 타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갈비뼈가 알맞게 뒤쪽을 향하고 있어서 가슴과 폐가 넉넉하게 자리할 수 있다.
► 꼬리 : 꼬리는 엉덩이 부위에서 높게 달려 있고, 경계하거나 움직일 때는 높이 쳐들며, 결코 등 위로 말지는 않는다. 서 있을 때는 꼬리를 내릴 수 있으며, 꼬리뿌리는 두껍고, 끝으로 갈수록 굵기가 가늘어진다. 꼬리뼈는 뒷무릎 관절에 닿으며, 꼬리를 들면 곧거나 살짝 휘고, 꼬리 아랫면의 털은 윗면의 털보다 길면서 더 덥수룩한 편이다.
► 사지 : 앞다리의 어깨 윤곽은 뚜렷하고, 비스듬하게 등으로 이어져 있으며, 전완은 뼈대가 튼튼하며, 무릎부터 지면에 곧게 서 있다. 발목은 힘이 세고, 살짝 휘어져 있으며, 앞발의 모양은 크고 둥글며, 발가락의 관절은 알맞은 편이다. 앞발의 패드는 두껍고, 발은 안쪽으로도 바깥쪽으로도 향하지 않았으며, 발가락은 넓게 펼 수 있지만 다부지게 보이며,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의 흔적이 분명해야 한다. 이 물갈퀴의 흔적 또한 오터 하운드의 뚜렷한 특징 중 하나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뒷다리의 전체적인 모습은 어떤 각도에서 보아도 상당히 힘이 있고, 근육이 잘 발달해 있으며, 뒤에서 보면 뒷다리의 각은 지나치게 넓지도 너무 좁지도 않다. 뒷다리의 각은 중간이고, 자연스럽게 서 있을 때는 두 뒷다리는 비절부터 지면에 곧게 서 있다. 허벅지는 상당히 근육질이며, 허벅지 하부도 역시 근육질이다. 뒷발목 비절은 아래로 알맞게 내려와 있고, 안쪽으로도 바깥쪽으로도 향하지 않았다. 뒷발은 앞발보다 아주 조금 작고, 모양은 크며, 둥근 편이다. 발가락관절의 패드는 두껍고, 발의 방향은 안쪽으로도 바깥쪽으로도 향하지 않았으며, 발가락은 밀착되어 있지만 넓게 펼 수도 있으며,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의 흔적이 분명해야 한다.
► 털과 색 : 털의 길이는 4~8㎝ 정도이고, 빽빽하게 나 있고, 촉감은 거칠고 까칠하며, 우리나라의 삽살개와 비슷하다. 방수가 되지만 뻣뻣한 털은 아니고, 털끝이 갈라진 것 같은 느낌이며, 머리와 사지 뒷면의 털은 조금 더 부드럽다. 털은 이중모 구조로써 상모(겉 털)와 하모(속 털)가 있다. 상모와 하모는 반드시 기름기가 살짝 있어야 하며, 전시회에 나올 때는 털을 치장하면 안 되며 자연 그대로 두어야 한다.
모색은 그리즐(grizzle, 파란색이 더해진 회색과 붉은색, 검정색이 혼합된 색), 모래 색, 적색, 휘튼(wheaten, 밀 색, 엷은 황색), 파란색 등 하운드에게서 나타나는 모든 털색을 허용한다. 머리, 가슴, 발, 꼬리 끝의 털에는 흰색 마킹(얼룩무늬)들이 살짝 있을 수 있는데 이도 허용이 된다. 화이트 하운드는 레몬색이나, 파란색, 배저 마킹(목 부분이나, 귀에 있는 탄 또는 다른 색의 반점)들이 살짝 있을 수 있고, 검은색과 탄인 개체, 파란색과 탄인 개체, 검은색과 크림색인 개체, 가끔 나타나는 적갈색 개체, 탄과 적갈색인 개체, 탄과 흰색인 개체 등도 있을 수 있으며, 이들도 모두 허용이 된다.
► 걸음걸이 ; 워크(상보)로 보행할 때는 매우 느릿느릿하게 어기적어기적 걷는데, 느리게 걷다가 펄쩍 뛰기도 한다. 트롯(속보)으로 보행할 때는 규칙적인 넓은 보폭으로 성큼성큼 걸으며, 갤럽(질주)으로 보행할 때는 상당히 큰 보폭으로 매끄럽게 달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