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티앤씨 (298020) 지난해 4분기 적자폭 축소 및 올해 상반기 신규 공장 가동 기대감 등에 상승
▷하이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은 433억원으로 전분기 영업손실 1,108억원 대비 대폭 축소되었다고 언급. 또한, 당사 추정치(-794억원)와 시장 컨센서스(-555억원) 대비로도 더 작은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11월 들어 급락한 BDO 및 MDI 래깅 반영으로 스프레드는 오히려 소폭 개선되며 동사 영업적자 규모를 축소시킨 것으로 추정.
▷아울러 지난 연말 완공된 동사의 중국 및 인도 신규공장은 23년 상반기(빠르면 1분기 말) 중 상업생산이 본격화되며 외형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470,000원 -> 560,000원[상향]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 자사주 취득 결정에 상승
▷셀트리온, 보통주 309,406주(5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3-02-02~2023-05-01)
▷셀트리온헬스케어, 보통주 437,000주(249.96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기간:2023-02-02~2023-05-01) 공시.
▷이와 관련,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사업 성장에 대한 자신감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으로 양사가 자사주 매입을 진행하게 됐다”며, “셀트리온그룹은 다양한 제품 파이프라인 및 미래 성장동력 확보, 글로벌 판매 확대 등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기업가치 보존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
[종목]: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현대오토에버 (307950) 올해 호실적 지속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매출액 7,625억원, 영업이익 374억원)를 상회했다고 밝힘. 특히, 차량용 SW 부문에서 적자가 지속되어 왔던 Mobilgene 제품군이 매출 성장에 따른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동사의 수익성 제고에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분석. 이어 동사는 ‘23년 매출액 성장률을 +4.6%로 제시했지만, 당사는 해당 가이던스가 다소 보수적이라고 판단하며 ‘23년 매출액을 2.92조원(+5.9% YoY)으로 전망.
▷특히, 동사의 순정 네비게이션 장착률이 높은 현대차/기아 BEV의 ‘23년 판매량 가이던스가 +58% YoY로 제시된 점을 고려하면 차량용 SW 부문의 고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23년형 G90, EV9 등 Mobilgene AD 적용 차종들이 올해 양산 개시되기에 동사의 매출 인식도 본격화되며 수익성 방어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35,000원 -> 140,000원[상향]
삼성엔지니어링 (028050) 올해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소폭 상승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22년 4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으로 매출액은 2.9조원(+17.0%yoy), 영업이익은 2,145억원(+101.0%yoy, OPM 7.3%)을 기록하며, 추정치 및 시장 추정치를 상회했다고 언급. 이는 비화공에서 이익률이 높은 현장의 매출액 증가 영향(비화공 GPM 15.3%) 때문이라고 설명.
▷아울러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10.3조원(+2.6%yoy), 영업이익은 7,662억원(+9.0%yoy, OPM 7.4%)으로 추정. 화공 매출액은 감소(-6.2%yoy)로 추정되지만, 비화공의 매출액 증가(+10.7%)로 영업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36,000원 -> 40,000원[상향]
현대백화점 (069960) 주주환원정책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주환원정책(배당,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안내 공시. 현금배당은 2021년 사업연도의 배당금총액 240억원을 보장하는 배당정책 수립하고 분할 후 3년내 자사주 6.6%를 매입하여 소각하겠다고 밝힘.
▷이와 관련, 한화투자증권은 이번 발표된 주주환원정책은 투자자에게 긍정적이라고 밝힘. 분할 후 합산 배당총액은 최소 390억원 수준으로 현재 동사를 기준으로 배당수익률은 2.9% 수준으로 22년 당사 예상 배당수익률 2.1% 대비 높아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8,000원[유지]
비스토스 (419540) 종합병원 산부인과 개설 의무화 추진 소식 속 생체신호를 활용한 태아 및 산모 관리용 의료기기 전문 기업인 점이 부각되며 급등
▷언론에 따르면, 김학용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30일 종합병원에 필수적으로 산부인과를 개설하도록 하는 내용의 의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것으로 전해짐. 개정안은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인 종합병원에 필수적으로 산부인과를 개설해 전속 전문의를 두고, 정부는 산부인과를 개설하는 종합병원에 재정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임.
▷이와 관련 생체신호를 활용한 태아 및 산모 관리용 의료기기 전문 기업인 동사가 급등세를 기록. 아울러 향후 복강경 수술 기구인 투관침 시장의 성장세에 따른 수혜 전망에 세종메디칼과 산부인과 수술에 필요한 자궁 위치 제어 어시스트 로봇을 개발하고 있는 더블유에스아이 등도 시장에서 부각.
모헨즈/디젠스 새만금국제공항 건설사업 본격화 소식에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언론에 따르면, 조달청이 새만금국제공항 건설공사를 비롯해 2월 한 달 동안 총 199건, 3조6,000억원 상당의 대형사업 경쟁입찰 공고를 추진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새 만금국제공항 건설 사업에는 오는 2028년까지 총 사업비 8,077억원이 투입되며, '에어 사이드(Air Side)'와 '랜드 사이드(Land Side)'로 나눠 발주되는 것으로 알려짐. 이번에 발주한 사업은 에어 사이드 공사로 활주로와 관제탑, 항행안전시설 등을 설치하며 ‘일괄(턴키)’ 방식으로 추진되며, 여객터미널, 공항진입도로 등을 조성하는 랜드 사이드 공사는 한국공항공사가 이르면 올 상반기 중 발주 예정.
▷이 같은 소식 속 계열사 덕원산업이 새만금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모헨즈와 새만금 해당지역 인근에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디젠스가 시장에서 부각.
[종목]: 모헨즈, 디젠스
원준 (382840)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강세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주요 고객사의 공격적인 캐파 증설 계획에 따라 2023년 신규 수주액이 2,000억원 중후반 수준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특히, 포스코케미칼의 양극재 캐파(준공 기준)는 2021년 4.5만톤 → 2024년 19.5만톤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되며,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해 추가 수주가 기대된다고 밝힘. 이에 올해 매출액 1,715억원(yoy +24.5%), 영업이익 266억원(yoy +225%)으로, 마진율이 전년대비 9.6%p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실리콘계 음극재 소성장비(PK 소성로) 기술 확보를 통해 양/음극재용 소성장비까지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성공했다고 밝힘. PK장비는 RHK장비(양극재용)과 달리 양/음극재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단가가 높아 이익률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독일 ETS(아이젠만) 인수를 통해 배터리 리사이클링/탄소섬유/연료전지 기술 구축과 MLCC 소재용 소성장비 기술을 통해 중장기적 추가 성장 모멘텀을 확보했다고 설명.
강스템바이오텍 (217730) 중등도 이상의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염 환자 대상 동종제대혈유래중간엽줄기세포(퓨어스템-알에이 주) 임상 2b상 신청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이전 한가지 이상의 항류마티스제제(DMARD)의 치료에 실패한 중등도 이상의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염 환자를 대상 으로 동종제대혈유래중간엽줄기세포(퓨어스템-알에이 주, FURESTEM-RA Inj.)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제2b상 임상시험신청 공시.
▷한편, 퓨어스템-알에이 주(FURESTEM-RA Inj.)는 동종제대혈유래중간엽줄기세포로 면역억제능력을 가지고 있고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하는 대식세포를 억제성 대식세포로 유도하여 염증반응을 억제시키고 조직재생을 촉진할 기전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개발 중인 약물로서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힘.
HLB 그룹주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中 간암 치료제 허가 소식에 상승
▷HLB는 언론을 통해 전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이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을 간암에 1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료제로 허가했다고 밝힘. 2019년 4월 글로벌 임상 3상이 시작된 이후 약 3년 9개월 만으로, 간암 1차 치료제로는 5번째 신약인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HLB 관계자는 “리보세라닙이 중국에서 간암 1차 치료제로 정식 허가됨에 따라 HLB가 미국을 비롯해 유럽 및 아시아 각국에서 진행 예정인 신약허가신청(NDA)에도 청신호가 켜졌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HLB를 비롯해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글로벌, HLB테라퓨틱스 등 HLB 그룹주들이 상승.
[종목]: HLB,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테라퓨틱스, HLB글로벌
알테오젠 (196170) 키트루다 피하주사 글로벌 임상 3상 개시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31일 동사의 2차 계약사로 추정되는 머크(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가 피하주사(SC) 제형 임상 3상 정보를 홈페이지에 개시했다며 이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고 언급. 이와 관련, 임상 개시 날짜는 미국은 2월 예정, 대만은 이미 지난 12월 IND 승인되어 첫 환자 투약 곧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국가와 상관없이 첫 환자 투약을 개시할 경우 동사에 마일스톤이 지급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글로벌 면역항암제 3대장 머크 키트루다, BMS 옵디보, 로슈 티센트릭(9/15 PDUFA 허가 예정)이 바이오시밀러 방어 목적으로 모두 피하주사를 개발 중이며, 동사는 피어그룹 할로자임 대비 저평가로 판단.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5,000원[유지]
솔고바이오 (043100) 3D 프린팅 척추 수술용 케이지 식약처 품목허가 속 美FDA 허가 진행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D 프린팅 척추 수술용 케이지' 의료기기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밝힘. 해당 제품은 지난 2022년 2월 국내와 미국 특허 취득을 완료한 바 있음.
▷이와 관련, 김일 동사 대표는 "해당 제품은 국내 식약처 허가를 근거로 현재 미국 FDA 허가 취득을 진행하고 있다"며, "향후 미국법인을 통해 척추 수술용 케이지 시장 매출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칩스앤미디어 (094360) 지난해 실적 호조에 상승
▷22년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40.92억원(전년대비 +20.58%), 영업이익 73.03억원(전년대비 +40.45%), 순이익 99.62억원(전년대비 +58.94%).
▷22년4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71.42억원(전년동기대비 -4.46%), 영업이익 27.40억원(전년동기대비 -5.77%), 순이익 54.66억원(전년동기대비 +59.82%).
▷보통주 1주당 196원(시가배당율1.3%), 종류주 1주당 196원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나노엔텍 (039860) 중동지역으로 비코로나 제품 판로 확대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 중심으로 면역형광진단 플랫폼인 'FREND System(프렌드 시스템)'의 비코로나 제품 판로를 확대했다고 밝힘. 사우디는 FDA(미국식품의약국) 승인 제품에 대한 현지 프리미엄 적용 등 고가형 프리미엄 제품 수요가 높은 편이며, 동사는 FREND System부터 ADAM 시리즈까지 다수의 제품이 FDA 승인을 획득한 만큼 현지에서 제품 경쟁력을 인정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의 관계자는 “올해 본격적인 비코로나 제품 판매국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해까지 사우디 현지 영업망 구축 등 중동지역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중동지역 수요에 맞춰 비타민D 진단제품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영업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