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산업 특성
□ 산업 개관
ㅇ 농수산업 규모
- 2018년 기준 3억 4천만 달러로 카타르 전체 GDP(1,925 억 달러) 차지, 비중은 1% 미만
- 척박한 토지 및 기후적 요인 등으로 인해 농수산업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으나, 식량안보 확보 중요성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지난 5년간 연평균 7% 성장
카타르 농수산업 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GDP 규모 | 242 | 261 | 279 | 310 | 336 |
증감률 | 10 | 8 | 7 | 12 | 9 |
자료원 : 카타르중앙은행(QCB)
ㅇ 주요 생산품목
- 청예사료, 곡식류(곡물 수입 후 현지 가공), 대추야자 및 과일류, 육류, 유제품 등으로 구성
2017년 농수산 분야 주요 생산품목
구분 | 품목 | 생산량(톤) |
사료 | 청예사료(Green Fodder) | 534,515 |
채소 | 채소 | 55,579 |
낙농품 | 우유·치즈·요거트 등 | 56,146 |
계란 | 5,753 |
대추야자 및 과일류 | 대추야자 | 28,096 |
과일 | 879 |
육류 | 가금류 | 15,206 |
소고기·양고기 등 육류 전반 | 9,599 |
수산품 | 생선
| 15,358 |
곡식류 | 보리(Barley) | 593 |
밀가루(Wheat) | 16 |
기타 곡물 | 758 |
합계 | 722,508 |
주 : 2019년 9월 확인 최신 자료
자료원 : 계획통계청(PSA)
ㅇ 지리 환경
- 연 평균 70mm 이하의 낮은 강수량(주로 겨울철에 집중)
- 고온다습한 여름(최고기온 50℃ 이상), 온화하고 선선한 겨울(최저기온 10℃)
- 농지면적은 약 65,000 헥타르로 전 국토(116만 헥타르)의 5% 수준에 불과
- 국토의 삼면이 바다로 둘러쌓여 있는 반도 지형인 동시에 해발 최고 높이 120m로 대부분의 지형이 평지인 사막 국가
□ 주요 정책
ㅇ 국가발전전략(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2018-2022)
- 카타르국가비전(Qatar National Vision 2030)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세부 전략으로, 주요 예상 성과 중 하나로 농업 분야 생산량 증대 및 식량안보 확보가 있음.
- 정부는 향후 5년간 매년 7,000만 리얄(약 1,900만 달러)을 농업분야에 투자해 현지 기업육성 및 자급률 확대 추진 예정
ㅇ 국산 농산물 판매 지원정책
- (Premium Qatar Farms Program) 프리미엄 국산 농산물 마크를 부착하는 정부 프로그램으로, 현지 농산물에 'Premium Qatari Vegetables' 스티커 부착
- (Qatar Farms Program) 카타르 농장에서 생산된 국산 농산물들을 중간상 없이 대형 유통망에 직접 진열해 수입 제품 대비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부 프로그램
ㅇ 농장 시설 지원 프로젝트
- 2019년 3월 자치환경부에서 발표한 농장 시설 확충 프로젝트에 따라, 에어컨을 설치한 비닐하우스 시설 1,600개, 일반 비닐하우스 1,700개, 수경재배 시설 100개 등 약 3,400여 개의 농장 시설 건립이 순차적으로 진행 중
프리미엄 농산물 마크

자료원 : Peninsula
□ 주요 이슈
ㅇ 카타르 단교사태
- 단교 주도국(UAE, 사우디)의 카타르 식품시장 점유율은 2016년 기준 30% 수준으로 높은 비중 차지
- 먹거리 수입 중단 등 국민경제에 직접적인 영향 발생으로 식량 자급률 개선 필요성 대두
- 단교사태 경험 이후 식품분야를 시작으로 빠르게 자급률을 높여가고 있으며, 정부 및 민간주도의 제조업 산업 육성을 통해 대외 의존도를 낮춰갈 계획
(링크) KOTRA 해외시장뉴스 '단교사태 2년, 위기를 기회로 극복해 나가는 카타르'
ㅇ 식량안보 전담부서 ‘Food Security Department’신설
- 자치환경부(Ministry of Environment and Municipality)는 2019년 4월 식량안보 전담부서 ‘Food Security Department’를 신설
- 해당 전담부서 주도로 식량안보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관련 신규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농수산식품 분야 생산성 제고를 도모할 예정
□ 주요기업 현황
기업명 | 사업분야 및 생산품목 | 홈페이지 |
Baladna | 유제품(우유, 요거트, 치즈 등), 주스 등 | www.baladna.com |
Ghadeer Dairy | 유제품(우유, 요거트, 치즈 등), 주스 등 | www.ghadeerdairy.com |
SAIC(Al Sulaiteen Agriculture & Industrial Complex) |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 www.saic.com.qa |
Agrico |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 www.agrico.qa |
Arab Qatari Agricultural Production Company |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 www.qt-fa.com |
Layan Farms |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 www.layanfarms.qa |
Al Qamra Holding | 가축농장(양, 낙타) 및 양어장(농어, 적도미, 하무르) | www.al-qamra.com |
Arab Qatari for Poultry Production | 양계장(육계 및 계란) | www.aqpoultry.com.qa |
Mazzraty | 양계장(육계 및 계란), 농장(채소 및 과일, 화훼류) 등 | www.mazzraty.com |
Azba Farm for Chicken & Quail Birds | 양계장(육계 및 계란)
| www.asak-group.com |
자료원 : 무역관 자체 조사 및 각 사 홈페이지
나. 산업 수급 현황
□ 품목별 자급률 현황
ㅇ 자급률 현황 및 목표
- 유제품 및 신선가금류의 자급률은 2019년 기준 100% 이상의 자급률을 기록
- 계란, 채소, 육류 등의 자급률은 여전히 30% 미만으로 2023년까지 30~90%까지 자급률 개선 추진
연간 농식품 생산량 변화(좌), 2023년 자급률 달성 목표(우)

자료원 : 자치환경부(MME)
□ 수입 동향
ㅇ 농수산식품 수입 동향
- 2018년 HS 코드 01~22에 해당하는 농수산식품 수입금액은 332억 달러로 전년대비 2% 증가
농수산식품 수입 동향(HS 코드 01~22)
(단위 : 백만 달러,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CAGR |
금액 | 증감 | 금액 | 증감 | 금액 | 증감 | 금액 | 증감 | 금액 | 증감 |
2,950 | 17 | 3,198 | 8 | 3,117 | △3 | 3,246 | 4 | 3,321 | 2 | 2 |
자료원 : 계획통계청(PSA)
ㅇ 주요 수입국
- 농수산식품 주요 수입국은 인근국인 인도, 터키, 이란 등 국가들과 세계 2위 수출국인 미국 등으로 구성
- 카타르 단교사태의 영향으로 2016년 1, 2위 수입국을 차지한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로부터의 수입은 단교 이전 대비 97% 이상 감소(수입시장 점유율’16년 30%→’18년 1% 미만)
- 단교국 국경봉쇄 및 식량안보 강화 움직임에 따라 상위 10위 수입국 전반적으로 반사이익을 얻었으며, 특히 인접국인 이란(+1,908%), 터키(+209%), 오만(+189%) 등에서 상당한 증가세를 기록
- 한국산 제품은 수입시장에서 1% 미만 점유율을 점유하고 있으나, 2018년 기준 7백만 달러 규모로 수입되면서 단교 이전 대비 44% 증가
2018년 농수산식품 주요 수입국(HS 01~22 기준)
순위 | 국가 | 무게(톤) | 금액(백만달러) | 점유율 | 증감 (‘16년 수입액 대비) |
1 | 인도 | 432,827 | 405 | 12% | 38% |
2 | 호주 | 89,594 | 319 | 10% | 34% |
3 | 미국 | 70,559 | 183 | 6% | 41% |
4 | 터키 | 119,961 | 163 | 5% | 209% |
5 | 이란 | 193,449 | 161 | 5% | 1,908% |
6 | 브라질 | 86,630 | 144 | 4% | △9% |
7 | 네덜란드 | 51,139 | 143 | 4% | 35% |
8 | 오만 | 63,198 | 127 | 4% | 189% |
9 | 벨기에 | 19,739 | 96 | 3% | 28% |
10 | 프랑스 | 40,406 | 96 | 3% | △1% |
… |
46 | 아랍에미리트(UAE) | 2,502 | 11 | 1% 미만 | △97% |
49 | 대한민국 | 3,237 | 7 | 1% 미만 | 44% |
50 | 사우디아라비아 | 2,194 | 7 | 1% 미만 | △98% |
자료원 : 계획통계청(PSA)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 | Weakness |
· 저렴한 생산경비(수도·전기·연료) · 다양한 인재풀(저임금 단순 노동자~고급전문직) · 에너지 자원 수출로 축적한 국부를 활용한 경제다각화 추진 | · 척박한 경작 환경(토지 및 기후 등) · 현지생산 제품의 다양성 부족 및 충분한 물량확보 애로 · 단교에 따른 국경 봉쇄로 최단거리 물류 네트워크 활용 불가 |
Opportunities | Threats |
· 식량 자급률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농업 분야 지원 · 외국인투자법 개정 및 경제자유구역 조성에 따른 100% 외국인 투자 허용 추진 | · 카타르 단교사태 및 이란 제재 강화 등 역내 정치적 긴장 지속 ·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가 낮은 Made in Qatar 제품 |
□ 유망 사업분야
ㅇ 스마트 팜(Smart Farm)
- 국토의 5%에 불과한 제한적인 경작지 내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수직농장 및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팜 기술 유망
- 생산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팜 모델 및 관련 기자재 제안 가능
ㅇ 농업기술 분야 연구개발(R&D) 협력
- 일부 현지 기업들은 농장 설립이 가능한 토지는 보유하고 있으나, 사업계획을 실현할 기술 및 운영 노하우가 부족함에 따라 경험이 풍부한 해외기업과의 R&D 협력 수요 보유
□ 진출방안
ㅇ 시범사업 및 R&D 협력
- 유사한 경작환경에서의 사업경험 제시 및 현지 시범사업, R&D 협력 등 추진을 통해 진출기반 구축 모색
- 한국기업에서 사업 아이디어 및 기술만 얻어간 뒤 실질적인 진전이 없이 사업논의가 흐지부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에 따라, 파트너의 적극성 및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 필요
ㅇ 현지 농업분야 전시회 참가
- 카타르 농식품 전시회 아그리텍(AgriteQ)은 2013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전시회로, 현지 관련 분야 잠재 파트너와 초기 연락채널 구축에 적합
- 현지 바이어들과의 관계 구축에는 단순히 이메일을 보내는 것 보다 한 번의 대면면담을 가지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편으로, 전시부스 운영을 통해 제품을 선보이거나, 일반 참관객으로 참가해 바이어 부스를 방문하는 방식으로 사업 홍보 가능
(링크) KOTRA 해외시장뉴스 카타르 농식품 전시회 AgriteQ 2019 참관기
ㅇ 농수산식품 수출
- 농수산식품의 대외 수입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편으로, 인근국(이란, 터키, 인도 등) 수입제품 대비 경쟁력 확보 및 틈새시장 발굴이 관건. 수출 전 수입업자와 시중제품 대비 경쟁력에 대한 철저한 시장성 검토 필요
- 한국산 제품은 단가보다 운반비가 비싸 시장 경쟁력이 다소 낮은 편으로, 제품 자체의 단가가 낮더라도 항공 운송 시 가격경쟁력 확보가 어려움. 이에 따라, 단가가 저렴하면서 보관기간이 길어 해상운송이 가능한 제품의 수출이 유망
자료원 : 자치환경부(MME), 카타르계획통계청(PSA), KOTRA 도하무역관 조사 자료 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