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 70억 달러 내외 규모 유지하고 있는 터키 비알콜성 음료 시장 -
-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로 기능성 음료 수요 증가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은 음료류 HS Code 2202
□ 터키 음료(주류 제외) 시장동향 및 트렌드
ㅇ 터키의 음료 시장 규모는 연 70억 달러 내외를 유지 중이며, 2018년도에는 약 79억 달러 수준을 기록함.
ㅇ 터키 내에서 음료는 탄산음료, 생수, 주스 순으로 많이 팔렸으며 전체 판매량의 41.8%는 소매유통점을 통해 판매되고 58.2%는 음식점을 통해 판매됨.
2018년도 터키 음료 품목·판매처별 시장규모
(단위: 백만 달러)
판매처 | 소매유통점 | 음식점 | 총합 |
생수 | 898.5 | 1,800.3 | 2,698.8 |
탄산음료 | 1,162.9 | 2,091.7 | 3,254.6 |
농축주스 | 9.0 | 5.1 | 14.1 |
주스 | 457.1 | 380.6 | 837.7 |
커피 | 45.5 | - | 45.5 |
차 | 520.9 | 136.5 | 657.4 |
에너지드링크 | 235 | 209.3 | 444.3 |
총합 | 3,328.9 | 4,623.5 | 7,952.4 |
자료: Euromonitor
ㅇ 최근 터키 소비자들이 건강 문제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저설탕·무설탕 음료, 비타민, 단백질 등을 포함한 기능성 음료에 대한 수요 증가 중
- 터키 소비자들의 교육수준과 생활수준이 향상되며, 몸에 해롭고 인위적인 맛을 내는 제품보다 자연스러운 맛을 내는 건강한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 비타민과 미네랄을 함유한 기능성 미과즙 음료(과즙 함량이 2~3% 미만으로 물과 비슷한 음료)가 젊은 층을 대상으로 인기를 얻고 있음.
□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HS Code 2202 기준 터키의 음료 수입 규모는 연 6800만 달러 수준(2018년)으로 주 수입대상국은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스위스, 덴마크, 독일 등 EU 국가임.
최근 3년간 터키 음료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6 | 2017 | 2018 |
수입액 | 점유율 | 수입액 | 점유율 | 수입액 | 점유율 |
전 세계 | 71,802 | 100.00 | 72,163 | 100.00 | 68,823 | 100.00 |
1 | 오스트리아 | 34,625 | 48.22 | 34,758 | 48.17 | 30,730 | 44.65 |
2 | 네덜란드 | 12,471 | 17.37 | 15,188 | 21.05 | 16,250 | 23.61 |
3 | 스위스 | 9,588 | 13.35 | 11,911 | 16.51 | 9,771 | 14.20 |
4 | 덴마크 | 205 | 0.29 | 1,194 | 1.65 | 2,042 | 2.97 |
5 | 독일 | 2,672 | 3.72 | 2,164 | 3.00 | 1,941 | 2.82 |
6 | 벨기에 | 877 | 1.22 | 1,164 | 1.61 | 1,592 | 2.31 |
7 | 폴란드 | 1,897 | 2.64 | 1,527 | 2.12 | 1,584 | 2.30 |
8 | 미국 | 1,068 | 1.49 | 441 | 0.61 | 1,340 | 1.95 |
9 | 프랑스 | 647 | 0.90 | 740 | 1.03 | 800 | 1.16 |
10 | 영국 | 141 | 0.20 | 227 | 0.32 | 681 | 0.99 |
자료: Global Trade Atlas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코카콜라, 스프라이트, 환타 등 유명 브랜드를 다수 보유한 코카콜라는 2018년 기준 터키 전체 음료 시장의 27.5%를 장악해 점유율 1위를 기록함.
ㅇ 글로벌 기업 외 스르마(Sirma), 아이타치(Aytac), 울루다(Uludag) 등 터키 자국 브랜드도 시장점유율 상위권에 랭크됨.
터키 음료시장 기업 점유율
(단위: %)
기업명 | 본사 소재지 | 점유율 |
Coca-Cola Icecek AS | 미국 | 27.5 |
Sirmagrup Icecek San ve Tic AS | 터키 | 9.5 |
Pepsi-Cola International Tanitim Ltd | 미국 | 9.1 |
Nestle Waters Gida ve Mesrubat San Tic AS | 스위스 | 7.9 |
Aytac Gida AS | 터키 | 3.3 |
Erbak-Uludag Mesrubatlari AS | 터키 | 3.0 |
Yildiz Holding AS | 터키 | 2.6 |
Danone Tikvesli Gida ve Icecek San ve Tic AS | 프랑스 | 2.2 |
Cay Isletmeleri Genel Mudurlugu | 터키 | 1.5 |
자료: Euromonitor
□ 주요 기능성 음료
ㅇ 이전에는 해로운 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음료가 시장에 많이 나왔던 반면, 근래에는 기능이 추가된 음료들이 잇달아 출시되고 있음.
- 터키 음료 시장 내에서는 점차 무설탕, 무색소 음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과 미용을 위해 도움이 되는 성분들을 함유한 제품 선택이 늘어나고 있음.
터키 시장 내 판매되고 있는 주요 기능성 음료
제품명 | 모기업 | 특징 | 사진 | 가격(TL) |
Coca-Cola Zero | Coca-Cola Icecek AS | 터키 내 브랜드 점유율 1위인 코카콜라의 무설탕 탄산음료 | 
| 2.50 (517원) |
Coca-Cola +Coffee | Coca-Cola Icecek AS | 제로콜라와 커피를 혼합했으며 카페인 함량을 높여 에너지 드링크로 출시 | 
| 3.95 (817원) |
Sirma Antioksidan Suyu | Sirma Grup | 저칼로리에 과일향을 함유한 미과즙 음료, 피부노화방지와 피로회복에 좋은 안티옥시던트를 함유하고 있으며 각각 다른 기능의 4개 자매품 출시 | 
| 3.50 (724원) |
Reneva Collagen Protein Fit | Reneva | 콜라겐·종합 비타민·미네랄을 함유한 무설탕 음료, 기능에 따라 Fit과 Beauty 두 종류가 있음. | 
| 9.95 (2,060원) |
Avsar Lemonade C Plus | Avsar Dogal maden suyu | 비타민 C를 함유했으며 천연 탄산수로 만든 레몬에이드 이 외에도 청사과, 딸기, 수박 등 다양한 과즙을 함유한 비타민 탄산수 지속 출시 중 | 
| 1,15 (238원) |
자료: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자료 종합
□ 유통구조
ㅇ 터키에서는 각종 음료들이 식품 도매업체를 통해 음식점 및 대형 할인매장, 슈퍼마켓, 소규모 식료품점 등에 납품되고 있음.
- 터키 내 유통망들은 99.9% 식품 도매업체를 통해 물품을 조달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 업체들이 직접 유통망에 납품하기는 어려우며 터키 시장 진입 시 업력이 높은 유통업체를 발굴해 납품 추진 요망
□ 관세율 및 인증
ㅇ HS Code 2202 품목에 대해 FTA협정 체결국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고 있으나 일부 개발도상국과 기타 국가에 대해 6.1~9.6%까지 수입관세 부과
HS Code 2202 제품의 터키 내 수입관세율
(단위: %)
HS Code | 관세율 |
EU 국가 | FTA 체결국(한국 등) | GSP 국가 | 기타 국가 |
2202 | 0 | 0 | 6.1 | 9.6 |
자료: Tariff-tr
ㅇ 청량음료 전체에는 VAT 8%가 부과되고 있으며 HS Code 2202.10.00.00.11/12/13 제품에는 특별소비세 10%, HS Code 2202.10.00.00.13 제품에는 25%의 특별소비세가 부과 중
ㅇ 음료제품 수입 시 별도의 인증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터키 농림축산부의 심사를 거쳐야 함.
- 제품의 성분명세, 실험실 연구서, 식품 안전 검사서 등이 필요
- 터키 농림축산부는 일부 성분들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는데 제품별로 사용가능량이 상이해 수입 바이어를 통해 사전 확인 필요
· 성분별 사용제한량 확인(터키어): 링크클릭
□ 시사점
ㅇ 터키 음료(주류 제외) 시장은 연 70억 달러 규모 내외를 유지 중이며 2018년에는 79억 달러 규모를 기록함.
ㅇ 터키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기능성 음료 시장은 지속 성장 예상
- 비타민, 미네랄, 단백질이 함유된 음료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현지 유통업체 관계자 T씨는 "젊은 층 위주로 기능성 음료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기능성 음료 시장의 성장세가 전체 음료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 전망됨."이라 최근 기능성 음료 시장에 대한 의견을 밝힘.
ㅇ 터키 음료 시장의 주 유통망은 대형 슈퍼마켓, 대형 할인매장 등이 있으며 터키 내에서 비알콜성 음료는 99% 벤더를 통해 각 유통망으로 조달되고 있음. 따라서 한국 기업들이 터키 시장에 진출할 경우에는 직접 시장에 진출하는 것보다 업력이 높은 현지 유통업체를 발굴하는 편이 효율적임.
자료: Euromonitor, Tariff-tr, Global Trade Atlas,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