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hwp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이 이
高山九曲潭(고산구곡담)을 살이 몰으든이
주모복거(誅茅卜居)니 벗님네 다 오신다.
어즙어, 武夷(무이)를 想像(상상)고 學朱子(학주자)를 리라.
고산의 아홉 번을 굽이 도는 계곡의 아름다운 경치를 사람들이 모르더니
내가 터를 닦아 집을 짓고 살게 되니 벗들이 찾아오는구나
아, 주자가 학문을 닦는 무이를 생각하면서 주자의 학문을 공부하리라.
➡ 고산에 정사를 짓고 주자학을 배움.
一曲(일곡)은 어드고 관암(冠巖)에 빗쵠다.
平蕪(평무)에 거든이 遠近(원근)이 글림이로다.
松間(송간)에 綠樽(녹준)을 녹코 벗 온 양 보노라.
일곡은 어디인가? 관암에 해가 비친다.
잡초가 우거진 들판에 안개가 걷히니 원근의 경치가 그림같이 아름답구나.
소나무 사이에 술통을 놓고 벗이 찾아 온 것처럼 바라보노라.
➡ 관암의 아침 경치
二曲(이곡)은 어드매고 花巖(화암)에 春滿(춘만)커다.
碧波(벽파)에 곳츨 띄워 野外(야외)에 보내노라.
살람이 勝地(승지)를 몰온이 알게 한들 엇더리.
이곡은 어디인가? 화암에 봄이 저물었도다.
푸른 물결에 꽃을 띄워 들 밖으로 보내노라.
사람들이 경치 좋은 이 곳을 알지 못하니 알려서 찾아오게 한들 어떠리.
➡ 화암에 늦봄 경치
三曲(삼곡)은 어드고 翠屛(취병)에 닙 퍼졌다.
綠樹(녹수)에 山鳥(산조)는 下上其音(하상기음)는 적의
盤松(반송)이 受淸風(수청풍)이 녀름 경(景)이 업셰라.
삼곡은 어디인가? 푸른 병풍을 둘러친 듯한 절벽에 잎이 우거졌다.
푸른 나무 위의 산새는 여러 가지 소리로 지저귀는데,
작은 소나무가 바람에 흔들리니 여름 같지 않게 시원하구나.
➡ 취병의 시원한 여름 경치
四曲(사곡)은 아드고 松崖(송애)에 해 넘거다.
潭心巖影(담심암영)은 온갖 빗치 잠겻셰라.
임천(林泉)이 깁도록 죠흐니 흥(興)을 계워 하노라.
<해석>
사곡은 어디인가? 소나무가 있는 절벽에 해가 넘어간다.
연못 속에 비친 바위 그림자는 온갖 빛과 함께 잠겨 있구나.
수풀 속의 샘은 깊을수록 좋으니 흥을 이길 수가 없구나.
➡ 송애와 연못의 저녁 풍경
<원문>
五曲(오곡)은 어드매고 隱屛(은병)이 보기 죠희.
水邊精舍(수변정사)는 瀟灑(소쇄)도 한이업다.
이 中(중)에 講學(강학)도 연이와 詠月吟風(영월음풍)올이라.
<해석>
오곡은 어디인가? 으슥한 병풍처럼 둘러 있는 절벽이 보기 좋구나.
물가에 세워진 정사는 맑고 깨끗하기 한이 없다.
이 가운데서 학문 연구도 하려니와 자연을 시로 짓고 읊으면서 풍류를 즐기리라.
➡ 수변 정사에서의 강학과 영월음풍
<원문>
六曲(육곡)은 어드고 釣峽(조협)에 물이 넙다.
나와 고기야 뉘야 더욱 즑이는고.
黃昏(황혼)에 낙대를 메고 帶月歸(대월귀)를 하노라.
<해석>
육곡은 어디인가? 낚시질하기 좋은 골짜기에 물이 넓구나.
나와 물고기는 어느 쪽이 더 즐거운가?
이렇게 종일 즐기다가 날이 저물면 달과 함께 집으로 돌아오노라.
➡ 조협에서의 낚시질과 대월귀
<원문>
七曲(칠곡)은 어드고 楓巖(풍암)에 秋色(추색)이 죳타.
淸霜(청상)이 멻게 치니 絶壁(절벽)이 금수(錦繡)ㅣ로다.
寒巖(한암)에 혼자 안자셔 집을 닛고 잇노라.
<해석>
칠곡은 어디인가? 단풍으로 둘러싸인 바위에 가을빛이 좋다.
맑은 서리가 엷게 내리니 절벽이 비단같이 아름답구나.
차가운 바위에 혼자 앉아서 속세의 일을 잊어버렸노라.
➡ 단풍으로 덮인 아름다운 가을 풍경
<원문>
八曲(팔곡)은 어드매고 琴灘(금탄)에 달이 밝다.
玉軫金徽(옥진금휘)로 數三曲(수삼곡)을 노는 말이,
古調(고조)를 알이 업스니 혼자즑여 하노라.
<해석>
팔곡은 어디인가? 악기를 연주하는 시냇가에 달이 밝구나.
아주 좋은 거문고로 몇 곡을 연주하면서,
옛 곡조를 알 사람이 없으니 혼자 즐기고 있노라.
➡ 시냇가에서 거문고를 연주하여 즐김
<원문>
九曲(구곡)은 어드 매고 文山(문산)에 歲慕(세모)커다.
奇巖怪石(기암 괴석)이 눈 속에 뭇쳣셰라.
遊人(유인)은 오지 아니하고 볼 것 업다 하더라.
<해석>
구곡은 어디인가? 문산에 한 해가 저물었도다.
기암 괴석이 눈 속에 묻혔구나
사람들은 와 보지도 않고 볼 것이 없다고 하더라.
➡ 눈 덮인 세모의 자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