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먼저.. 소서리스에 대해 아는거라곤.. 마법과 텔레포트를 쓰며 빠른 속도의 게임진행을 하는 캐릭이다..-_-; 이정도밖에 모르는 제가.. 이런 글을 써도 되는지 모르겠네요..-_-;; 하지만.. 이번에 제가 소개해드릴.. 오브 +체인 라이트닝 소서리스(오브 + 체라 소서)는.. 너무나 재밌게 키운 캐릭이기에.. 큰 용기를 내어서 소개해드릴까합니다..-_-; 현재 소서리스의 경우.. 듀얼소서의 경우 콜드 계열이나 파이어 계열의 1원소 소서리스로.. 앵벌이나 사냥용 소서리스의 경우.. 콜드(오브 or 블리자드) + 파이어(파이어볼, 메테오) 스킬을 조합한 형태의 소서리스로.. 그 종류가 많이 한정되어 있지요.. 여기에서 소개해드릴 오브 + 체라 소서는 퀘스트 헬프를 주목적으로 육성이 되었습니다.. 또한 앵벌을 위한 사냥이 아닌, 단순한 사냥을 목적으로 육성한 캐릭이니만큼.. 다른 목적으로 육성된 소서리스와 똑같이 생각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셋팅만 다른 평범한 소서리스에서 벗어나서.. 남들과는 다른.. 화려한 그래픽에.. 현란한 스킬을 구사하는.. 오브 + 체라 소서를 살펴보죠..-_-;; 아래는 글의 목록입니다.. 보고 싶은 부분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로 바로 이동합니다.. 도움되시길...-_-;
스 탯 ▷ 소서리스의 기본 스탯 ▷ 오브 + 체라 소서의 스탯 분배 스 킬 ▷ 오브 + 체라 소서의 기본 스킬 트리![]()
![]()
![]()
아 이 템 ▷ 헬름 ▷ 갑옷 ▷ 무기 ▷ 벨트 ▷ 장갑 ▷ 방패 ▷ 링 ▷ 아뮬 ▷ 부츠 ▷ 참
![]()
![]()
▷...목록으로...◁
1. 소서리스의 기본 스탯 먼저.. 캐릭을 생성한 후 소서리스에게 주어지는 기본 스탯치를 보도록 하죠..이렇게 되네요..-_-;; 초기 능력치가 전사 캐릭에 비해서 상당히 낮고.. 또한 렙업시 주어지는 스탯치를 투자한다 해도 전사캐릭에 비해 라이프의 증가량은 낮습니다.. 이런 이유로 소서리스는 전선의 선봉에서 몬스터와 직접 싸우기보다는.. 마나를 운용하는 강력한 스킬을 사용하면서 사냥을 하는것이지요.. 또한 이런 전투방식은 전사캐릭보다 부족한 라이프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답니다.. 2. 오브 + 체라 소서의 스탯 분배 어느 캐릭이나 마찬가지이지만.. 캐릭 육성시 스탯분배에 있어서 정석화, 정형화된 수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브 + 체라 소서 역시 마찬가지지요.. 하지만.. 캐릭 육성의 주목적이 퀘스트 진행에 있느니만큼.. 어느 정도 정형화된 공식에 따라도 무방합니다.. [ 힘 ] 소서리스라면.. 어떤 목적의, 어떤 스킬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형태의 캐릭이라 할지라도.. 힘을 올리는 경우는 단 한가지입니다.. 아이템을 착용하기 위해서이지요..-_-; 링이나 아뮬, 부츠등 기타 아이템에서 획득할 수 있는 힘을 포함해서.. 자신이 착용할 최고 힘제의 아이템에 힘을 맞춰주시면 큰 무리는 없습니다.. [ 덱 스 ] 덱스의 투자는.. 블럭율을 유지하거나 아니면 최소 투자를 하는 두가지 경우가 있습니다..-_-;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방패를 들고 블럭율을 맞췄을 때와 그렇지 못했을 때의 차이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하지만 모넉을 들지 않고 그림쉴드를 사용할때나, 혹은 모넉을 사용하더라도 블럭율을 맞춰주게 된다면.. 라잎에 투자할 수 있는 상당량의 스탯을 덱스에 투자를 해줘야한답니다.. 오브 + 체라 소서 육성의 주 목적이 퀘스트 진행에 있느니만큼.. 사용하는 방패는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블럭율의 확보할 수 있는 모너크와, 옵션이 화려한 그림쉴드지요.. 여기서는.. 모너크를 사용할때의 덱스수치에 따른 블럭율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本町の 林]님께서 작성한 글인데.. 한눈에 쏙 들어올 정도로 잘 작성이 된 글입니다.. 클릭해보시길.. 덱스 수치에 따른 블럭율 따라서.. 방패를 들고 블럭율을 유지하면서 다소 낮은 라이프를 선택하느냐.. 아니면 최소 덱스치를 투자한 뒤 생명력에 투자를 하느냐는 전적으로 본인의 생각에 맞추시길 바랍니다.. [ 라 이 프 ] 남은 스탯 모조리 투자하세요.. 나중에 후회 안 합니다..-_-; [ 마 나 ] 알고 계시겠지만.. 라이트닝 주력의 소서리스는 마나의 소비량이 굉장히 심합니다..-_-; 체인 라이트닝과 라이트닝을 번갈아가면서 시전하고.. 또한 보조 스킬로 오브를 사용하다보면.. 1000이 안되는 마나는 금방 바닥을 보입니다.. 마나 역시.. 에너지에 투자할 스탯을 생명력이나 덱스로 돌리는건.. 전적으로 캐릭을 육성하는 스스로의 선택입니다.. 마나포션을 적극 활용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이죠.. 마나의 소모가 상당히 심하기 때문에.. 아이템이나 참으로 마나의 충당이 힘들경우.. 어느 정도의 마나 투자는 해주시는게 낫습니다.. 완성렙일때 적정 마나의 량은 대략 1300 ~ 1500정도가 적당할거 같아요.. 이 글에서는.. 힘은 얼마만큼, 덱스는 얼마만큼, 생명력은 얼마만큼의 구체적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겠습니다.. 스탯이라는건.. 아이템과 참 셋팅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죠..
초기 능력치
레벨업 포인트
힘(Strength)
10
라이프
1
덱스(Dexterity)
25
스태미나
1
바이탈(Vitality)
10
마나
2
에너지(Energy)
35
능력치 포인트별 변화
라이프(Life)
40
바이탈 1
2 라이프
스태미나(Stamina)
74
1 스태미나
마나(Mana)
35
에너지 1
2 마나
스탯 분배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선.. 모든 아이템과 참셋팅을 미리 구상을 해놓은 다음에.. 스탯배분을 하시는게 보다 더 효율적이랍니다..
![]()
![]()
▷...목록으로...◁ ▷...목록으로...◁
1. 패스트 캐스트 레이팅(패캐)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소서리스는 원소별 마법 공격을 사용하여 상대에게 원소데미지를 입히는 캐릭입니다.. 여기에서 하나 짚고 넘어가야할 부분이 있는데요.. 마법을 시전하기 위해서는 패스트 캐스트 레이팅, 즉 패캐라는 요소가 작용을 하게 됩니다.. 패캐란..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마법을 빨리 시전할 수 있게끔 해주는 옵션..을 말하지요.. 패캐에 대해서 깊이 들어가게 되면.. 프레임에 대해서 알아야하고 초당 프레임에 몇장의 그래픽이 사용되어지는지까지 알아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냥 생략하겠습니다.. 하지만.. 모든 법사류의 캐릭터는 패캐에 따른 그 캐릭만의 고유 프레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서리스의 패캐에 따른 프레임을 알아보도록 하죠.. 간단하게 말씀드린다면.. 패캐의 수치는 높을수록, 프레임의 수치는 낮을수록 보다 더 빠르게 연속적인 마법 시전이 가능합니다.. 소서리스의 패캐에 따른 프레임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_-v앞에의 숫자가 패캐의 % 수치를 나타낸 수치이며.. 뒤의 숫자가 프레임 수를 나타낸겁니다.. 보면 아시겠지만 패캐와 프레임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놓여있어요.. 위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패캐가 높으면 프레임이 낮아지고, 패캐가 낮으면 프레임이 높아지는거죠.. 패캐가 높고 프레임이 낮을수록.. 보다 더 빨리, 연속적인 마법 사용이 가능해진다는 거..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_-;
패캐 %
일반마법프레임
0
13
10
12
20
11
30
11
40
10
50
10
60
10
70
9
80
9
90
9
100
8
110
8
120
8
130
8
140
8
150
8
160
8
170
8
180
8
190
8
200
7
패캐의 수치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_-? - 소서리스가 착용하는 아이템의 옵션중에 몇 % 마법 시전 속도 증가(영문판은 몇 % fast cast rate).. 이렇게 표시되어지는 아이템의 옵션을 찾아서 모두 더해주시면 된답니다..
속칭 말하는 씹힌다는 말은 무슨 뜻이죠? - 소서리스의 프레임은 위에 있는 프레임을 따르게 되죠.. 하지만 실제 게임상에서 위에 있는 표의 수치만큼만 프레임에 따른 패캐를 맞추게 되면.. 흔히 말하는 씹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다른 말로 버벅거린다고도 하죠.. 약간의 딜레이가 발생하는거에요.. 즉, 그래픽상으로는 마법을 시전하는거 같지만 실제로는 시전을 하지 않는 현상이죠.. 이 현상은.. 마법시전시에 10단위의 패캐로 맞춰주면 이 현상이 없어집니다.. 위의 표에 프레임에 따른 패캐가 10단위로 표시되어 있는것은 이 때문입니다..
패힛(패스트 힛 리커버리)은 안 맞춰도 되나요? 보다 더 안전한 퀘스트 진행을 원하신다면 패힛을 맞춰주시는게 좋습니다.. 하지만.. 무리해서 패캐를 맞추기보다는 패캐는 약간 못 미치더라도.. 다른 부분을 우선 신경을 써주신 후에 여력이 되시면 패캐에 신경을 써주세요.. 패힛을 꼭 맞추고 싶으시다면.. 9프레임인 60패힛을 추천합니다.. 아래는 소서리스의 패힛 프레임입니다..
2. 오브 + 체라 소서의 기본 스킬트리 오브 + 체라의 기본 스킬트리는..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단지.. 체인라이트닝(체라)의 시너지 스킬중에서 어떤걸 마스터할지 고민이 약간 되는 부분이 있지요.. 노바와 라이트닝중에서 어떤걸 선택해서 마스터를 해야할지는.. 유저의 선택에 따라 틀려지게 되겠죠.. 하지만.. 라이트닝의 시너지에는 체라가 포함이 되지만, 노바의 경우는 시너지 스킬이 없죠.. 그렇기에.. 시너지 효과를 노리신다면 상호관계에 놓여있는 라이트닝의 선택을 추천합니다.. 그렇다면.. 오브 + 체라소서의 기본 스킬트리를 살펴보도록 하죠.. <콜드 스킬> <파이어 스킬> <라이트닝 스킬>
소서리스 패스트 힛 리커버리 프레임
16프레임
0 - 4
15프레임
5 - 8
14프레임
9 - 13
13프레임
14 - 19
12프레임
20 - 29
11프레임
30 - 41
10프레임
42 - 59
9프레임
60 - 85
8프레임
86 - 141
7프레임
142 - 279
6프레임
280
![]()
![]()
체라의 시너지를 라이트닝으로 했을 경우에 기본 스킬트리입니다.. 이렇게 스킬트리를 찍었을 경우.. 이 소서리스의 기본 스킬트리의 완성렙은 lv.82가 되네요.. 두가지 스킬을 사용하는 소서리스의 유형 가운데서는.. 그래도 완성렙이 낮군요..^^; 이후에 주어지는 스킬 포인트는.. 주력을 어느 스킬로 사용할지 결정을 하신후에.. 투자를 하시는게 좋을거 같군요.. 콜드 계열을 주력으로 하고 싶으시다면 아이스 볼트나 콜마에.. 라이트닝 계열을 주력으로 하고 싶으시다면 차지드 볼트에 투자를 하시면 됩니다.. 저는.. 체라를 주력으로 생각하고 있기에.. 차지드 볼트에 투자를 할 생각입니다.. 그럼.. 각 원소별 스킬의 스킬당 데미지 증가와 패캐, 시너지, 특징 등을 살펴보도록 할까요? -_-?
▷...목록으로...◁
라이트닝 스펠은.. 소서리스의 꽃이라 불리우는 텔레포트와.. 그외 강력한 공격스킬과 방어 스킬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오브 + 체라 소서가 필수적으로 마스터해야할 라이트닝 스펠속의 스킬을 알아보도록 하죠..
라이트닝 계열 (Cold Spells) 스킬트리 종류와 특징
1.차지드볼트 2.텔레키네시스 3.스태틱필드 4.라이트닝 ---> 오브 + 체라 소서의 보조입니다.. 5.노바 6.체인라이트닝 ---> 오브 + 체라 소서의 주력입니다.. 7.텔레포트 8.썬더스톰 9.에너지 쉴드 10.라이트닝 마스터리일단.. 이 정도만 알아두셔도 게임을 진행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꺼에요.. 그렇다면 이제 오브 + 체라 소서가 선택해야할.. 라이트닝 스펠속의 필수 스킬들의 특징을 보도록 하죠.. [ 라 이 트 닝 ] 라이트닝은.. 한 줄기의 라이트닝을 발사하며.. 이 라이트닝 줄기는 다수의 몹들을 관통하면서 라이트닝 데미지를 주는 스킬입니다.. 체라의 시너지 스킬이기도 하며.. 또한 라이트닝의 시너지에 체라가 포함이 되지요.. 체라와 라이트닝 마스터리를 마스터 하게 되면 상당한 데미지의 라이트닝을 시전할 수 있게 됩니다.. 다수의 몹들이 뭉쳐 있을 경우.. 체라와 더불어 같이 시전하면 상당한 그래픽 효과와 더불어 살상력을 느끼실 수 있답니다.. 라이트닝의 스킬 증가당 데미지 상승율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차지드 볼트 (Charged Bolt)
기본적 선스킬입니다. 라이트닝소서면 ①개
텔레키네시스 (Telekinesis)
물건을 움직이거나 문을 열고 상대를 미는등등 손안대고
다양한 행동을 합니다. ①개
스태틱 필드 (Static Field)
범위안의 몬스터에의 피를 25%깍습니다. 라이트닝레지에도 반응하여 라이트닝이뮨에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합니다①개
라이트닝 (Lightning)
한줄기의 라이트닝을 발사합니다. 라이트닝소서일 경우 20개
체인 라이트닝 (Chain Lightning)
스킬수에 따라 최대 히트수와 데미지가 높아집니다.
Charged Bolt: +4% Lightning Damage Per Level
Nova: +4% Lightning Damage Per Level
Lightning: +4% Lightning Damage Per Level
체라소서일 경우 20개
텔레포트 (Teleport)
스킬을 시전하면 마우스로 선택한곳으로 순간이동합니다.
소서의 꽃이죠.①개
라이트닝 마스터리
(Lightning Mastery)
라이트닝 계열의 데미지를 높입니다.
라이트닝 주력일 때는 20개
Lightning
위에 있는 표에서의 라이트닝 데미지는 시너지 효과와 장비, 참에서의 스킬발을 받지 않은.. 순수 스킬만을 주었을때의 데미지입니다.. 시너지를 받았을 경우의 데미지는 조금 뒤에 다시 살펴보도록 하고.. 오브 + 체라 소서의 경우 마스터를 권장합니다.. 보스몹이나 챔피언 유닉 몬스터들을 상대할 시.. 체인 라이트닝보다 더 뛰어난 효력을 발휘하는 스킬이기 때문이죠.. 다음은.. 오브 + 체라 소서의 꽃~~ +_+ 체인 라이트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체 인 라 이 트 닝 ] 체인 라이트닝은.. 라이트닝과 마찬가지로 한 줄기의 라이트닝을 시전하는것은 똑같지만.. 라이트닝이 몹들을 관통하며 데미지를 입히는 반면에.. 체라는 한 줄기의 라이트닝이 몬스터를 히트한 후에.. 또 다른 몬스터를 찾아 다시 라이트닝 데미지를 입힙니다.. 몬스터를 찾아 살아 움직이는것 같은 역동적인 라이트닝 공격의 화려함을 맛볼 수 있게 되지요.. 체인 라이트닝은.. 스킬레벨이 증가할 수록 그 데미지와 최대 히트수가 같이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던전에서 벽을 향해 체라를 시전하면.. 체라는 벽을 맞고 튕겨서 몬스터를 공격한답니다..^^ 두마리의 몬스터 사이를 히트수에 맞춰서 왕복 공격하기도 하구 말이죠.. 그렇다면 체인 라이트닝의 순수 스킬 증가에 따른 데미지와 최대 히트수의 변화는 어떻게 될까요?
Chain Lighning
역시 순수 스킬만으로는 높은 데미지를 볼 수가 없군요.. 하지만.. 말씀드렸듯이 체라의 시너지 스킬인 라이트닝과 라이트닝 마스터리를 마스터하신다면.. 상당한 데미지의 체라를 시전하실 수 있답니다.. 여기서 한가지 짚고 넘어갈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체라의 프레임 부분인데요.. 윗부분에 보시면.. 소서리스의 일반 마법 프레임이라 하여 프레임 표를 작성한 걸 보셨을거에요.. 그냥 소서리스의 프레임이라 하면 될 것을 왜 일반 마법 프레임이라고 굳이 말씀을 드렸냐면..
체라의 프레임과 다른 마법의 프레임은 차이가 있습니다.. 어찌된 일인지는 저도 모르겠으나..-_-;; 분명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라이트닝의 시전 속도와 체라의 시전 속도의 차이가 분명 있습니다.. 그럼.. 일반 프레임과 체라의 프레임표를 살펴보도록 하죠
보시다시피.. 일반 마법과 체인 라이트닝의 프레임은 분명히 차이가 있습니다.. 본 캐릭은.. 듀얼용으로 육성하는 캐릭이 아니니만큼.. 120패캐에 맞추신다면.. 일반 8프레임과 체라 12프레임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을거에요.. [ 텔레포트 & 스태틱 필드 ]
패캐 %
일반마법프레임
체라,라이트닝프레임
0
13
19
10
12
18
20
11
17
30
11
16
40
10
15
50
10
15
60
10
14
70
9
14
80
9
13
90
9
13
100
8
13
110
8
13
120
8
12
130
8
12
140
8
12
150
8
12
160
8
12
170
8
12
180
8
12
190
8
12
200
7
11
Teleport 텔레포트는 소서리스의 스킬중의 꽃이죠.. 텔레포트 스킬 하나만으로도 반은 먹고 들어간다는-_-; 전설의 스킬입니다..-_-; 텔레는 스킬 증가에 비례해서 마나의 소비량만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스킬만 투자한 뒤 스킬발을 받으시면 적은 마나 소비로 빠른 게임 진행을 하실 수 있답니다.. 스킬 증가당 마나 감소량은 생략하도록 하죠..
Static Field 스태틱 필드는.. 그 범위안에 들어온 몬스터의 남은 체력의 25%씩 감소시킵니다.. 사냥시 스태틱 필드의 사용은 그 사냥 속도를 더더욱 빨라지게 해주죠.. 이 기술은.. 라이트닝 내성 몹을 제외한 모든 몬스터에게 적용된다는게 가장 큰 장점이죠.. 아래표는 스태틱 필드의 스킬 증가당 적용되는 범위를 나타낸 표입니다..
보통 쓰는 해상도 800 x 600의 경우에는 요구 스킬수가 15입니다.. 15스킬이면 구석을 빼고 적용이 되지요.. 보통의 경우 스킬빨을 받으므로 1개만 찍으며 그 이상은 불필요합니다.
▷...목록으로...◁
이제.. 라이트닝 스펠에서 다룰 마지막 내용인.. 라이트닝과 체라가 시너지를 받았을 때의 데미지를 살펴보죠.. 굳이 기나긴 설명을 드리지 않아도.. 표를 보면 알 수 있을거에요.. 시너지를 받았을 경우와.. 위의 내용에 있는 순수 스킬만 줬을때의 데미지를 비교해보신다면.. 시너지 스킬의 중요성을 다시한 번 알 수 있을거 같네요..^^;
이곳은 라이트닝의 스킬에 대한 설명 부분입니다.
그럼 간단하게 체라 + 오브소서의 스킬중에서 라이트닝 스킬에 대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챠지봍트
라이트닝
체인 라이트닝
라이트닝 마스터리
시너지
라이트닝에 6%
챠지볼트에 6%
노바에 6%
체라에 6%
챠지볼트에 6%
노바에 6%
라이트닝에 6%
모든 라이트닝 공격 기술들의 데미지를 증가
1
2 - 4
1 - 40
1 - 40
050%
2
2 - 4
1 - 48
1 - 51
062%
3
3 - 5
1 - 56
1 - 62
074%
4
3 - 5
1 - 64
1 - 73
086%
5
4 - 6
1 - 72
1 - 84
098%
6
4 - 6
1 - 80
1 - 95
110%
7
5 - 7
1 - 88
1 - 106
122%
8
5 - 7
1 - 96
1 - 117
134%
9
6 - 8
1 - 108
1 - 130
146%
10
6 - 8
1 - 120
1 - 143
158%
11
7 - 9
1 - 132
1 - 156
170%
12
7 - 9
1 - 144
1 - 169
182%
13
8 - 10
1 - 156
1 - 182
194%
14
8 - 10
1 - 168
1 - 195
206%
15
9 - 11
1 - 180
1 - 208
218%
16
9 - 11
1 - 192
1 - 221
230%
17
10 - 12
1 - 212
1 - 236
242%
18
11 - 13
1 - 232
1 - 251
254%
19
12 - 14
1 - 252
1 - 266
266%
20
13 - 15
1 - 272
1 - 281
278%
위 표는 다른 스킬의 지원없이 단순하게 순수로 스킬을 올렸을 경우의 데미지입니다.
여기서 눈여겨 볼 부분은 표의 가장 상단에 있는 시너지입니다.
패치전에는 저런 시너지효과가 적용되지 않았지만 패치후 적용됨으로 인해서 막강한 데미지와 새로운 유형의 소서가 탄생했습니다. 그럼 이 부부은 이정도로 하고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전 데미지 비교를 4가지의 경우로 생각해서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첫 번째는
챠지볼트와 라이트닝 마스터리리를 하나 올린 상태에서 라이트닝과 체인 라이트닝 스킬을 올릴때의 데미지 비교입니다.
그리고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때의 데미지도 비교해보았습니다.
두 번째는
챠지볼트와 체인 라이트닝을 하나 올린 상태에서 라이트닝과 라이트닝 마스터리 스킬을 올릴때의 데미지 비교입니다. 그리고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때의 데미지도 비교해보았습니다.
세 번째는
챠지볼트와 라이트닝 을 하나 올린 상태에서 체인 라이트닝과 라이트닝 마스터리 스킬을 올릴때의 데미지 비교입니다.그리고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때의 데미지도 비교해보았습니다.
네 번째는
챠지볼트는 1개, 라이트닝은 20개를 올린 상태에서 체인 라이트닝과 라이트닝 마스터리 스킬을 올릴때의 데미지 비교입니다. 그리고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때의 데미지도 비교해보았습니다(보통 체라 오브소서는 이 경우를 말합니다.)
참고로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내용은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별로 중요하지 않지만 비교하기 위해서 표를 만들었을 뿐입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편의상 줄여서 사용하겠습니다.
라이트닝 라
체인 라이트닝 체
라이트닝 마스터리 마
아템지원 스킬 아
그럼 첫 번째..
챠지볼트와 라이트닝 마스터리리를 하나 올린 상태에서 라이트닝과 체인 라이트닝 스킬을 올릴때의 데미지 비교입니다.
그리고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때의 데미지도 비교해보았습니다.
* 참고로 첫 번째 줄에 있는 라 1개,체 20개 옆에 있는 아5개는 라이트닝을 1개, 체인 라이트닝을 20개,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시 아템의 지원을 5개 받았을 경우의 데미지입니다.( 라이트닝 같은 경우는 색을 넣어서 체라와구분했습니다.)
체 1개
체 5개
체 10개
체 15개
체 20개
아 5개
아 10개
아 15개
라 1개
1-69
2-88
2-112
3-136
4-160
5-450
7-955
8-1698
1-64
1-136
1-231
1-336
1-455
2-807
2-1256
3-1803
라 5개
1-125
2-159
2-203
3-246
4-289
5-675
7-1302
8-2405
1-74
1-156
1-265
1-386
1-522
2-927
3-1442
4-2070
라 10개
1-208
2-266
2-338
3-410
4-482
5-1013
7-1968
8-3502
2-86
2-181
2-308
2-449
2-606
3-1076
3-1675
4-2404
라 15개
1-313
2-399
2-507
3-615
4-723
5-1530
7-2865
8-4881
2-98
2-206
2-351
2-511
2-691
3-1226
4-1908
5-2788
라 20개
1-473
2-603
2-767
3-930
4-1093
5-2228
7-3994
8-6473
2-110
2-231
2-394
2-574
2-775
3-1375
4-2141
6-3072
아 5개
2-964
3-1230
3-1563
4-1896
5-2228
3-367
3-552
3-803
3-1085
3-1375
아 10개
3-1728
3-2205
5-2801
6-3398
7-3994
4-775
4-1033
4-1396
4-1768
4-2141
아 15개
3-2802
4-3575
6-4541
7-5507
8-6473
6-1341
6-1706
6-2161
6-2167
6-3072
두 번째..
챠지볼트와 체인 라이트닝을 하나 올린 상태에서 라이트닝과 라이트닝 마스터리 스킬을 올릴때의 데미지 비교입니다. 그리고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때의 데미지도 비교해보았습니다.
* 참고로 첫 번째 줄에 있는 라 1개,마 20개 옆에 있는 아5개는 라이트닝을 1개, 라이트닝 마스터리를 20개,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시 아템의 지원을 5개 받았을 경우의 데미지입니다.( 라이트닝 같은 경우는 색을 넣어서 체라와구분했습니다.)
마 1개
마 5개
마 10개
마 15개
마 20개
아 5개
아 10개
아 15개
라 1개
1-69
2-91
2-119
3-147
4-175
5-406
5-762
6-1242
1-64
2-85
2-111
3-137
4-163
4-449
5-839
6-1331
라 5개
1-125
2-165
2-215
3-265
3-315
5-609
5-1039
6-1760
1-74
2-98
3-127
3-157
3-187
5-515
5-963
6-1529
라 10개
1-208
2-275
3-359
3-442
4-526
5-914
5-1571
6-2563
2-86
2-114
3-148
4-183
5-217
6-559
7-1118
8-1775
라 15개
1-313
2-413
2-538
3-663
4-789
5-1381
5-2287
6-3572
2-98
3-129
4-169
5-208
6-247
7-682
8-1274
9-2022
라 20개
1-473
2-624
2-814
3-1003
4-1192
5-2011
5-3188
6-4738
2-110
3-145
4-189
5-204
6-278
8-765
9-1429
10-2269
아 5개
2-964
2-1185
3-1460
4-1736
5-2011
3-367
4-440
5-555
6-660
8-765
아 10개
3-1728
3-2036
4-2420
5-2804
6-3188
4-775
5-912
6-1085
8-1257
9-1429
아 15개
3-2802
4-3209
5-3719
5-4228
6-4738
6-1341
6-1537
8-1781
9-2025
10-2269
세 번째..
챠지볼트와 라이트닝 을 하나 올린 상태에서 체인 라이트닝과 라이트닝 마스터리 스킬을 올릴때의 데미지 비교입니다.그리고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때의 데미지도 비교해보았습니다.
* 참고로 첫 번째 줄에 있는 체 1개,마 20개 옆에 있는 아5개는 체인 라이트닝을 1개, 라이트닝 마스터리를 20개,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시 아템의 지원을 5개 받았을 경우의 데미지입니다.( 라이트닝 같은 경우는 색을 넣어서 체라와구분했습니다.)
마 1개
마 5개
마 10개
마 15개
마 20개
아 5개
아 10개
아 15개
체 1개
1-69
2-91
2-119
3-147
4-175
5-406
5-762
6-1242
1-64
2-85
2-111
3-137
4-163
4-449
5-839
6-1331
체 5개
2-88
2-117
3-152
4-118
5-223
6-518
7-972
8-1585
1-136
2-179
2-234
3-288
4-342
4-676
5-1118
6-1693
체 10개
2-112
3-148
4-194
5-239
7-284
8-658
9-1235
10-2014
1-231
2-305
2-398
3-491
4-583
4-983
5-1511
6-2145
체 15개
3-136
4-180
5-235
7-290
8-344
9-798
11-1498
12-2442
1-336
2-444
2-579
3-714
4-849
4-1329
5-1914
6-2597
체 20개
4-160
5-212
6-276
8-340
10-405
11-939
13-1761
14-2871
1-455
2-600
2-782
3-965
4-1147
4-1684
5-2318
6-3049
아 5개
5-450
6-553
8-681
10-810
11-939
2-857
2-991
3-1222
4-1453
4-1684
아 10개
7-995
8-1124
10-1337
11-1549
13-1761
2-1256
3-1480
4-1759
4-2038
5-2318
아 15개
8-1698
10-1945
11-2253
13-2562
14-2871
3-1803
4-2065
4-2393
5-2771
6-3049
네 번째..
챠지볼트는 1개, 라이트닝은 20개를 올린 상태에서 체인 라이트닝과 라이트닝 마스터리 스킬을 올릴때의 데미지 비교입니다. 그리고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때의 데미지도 비교해보았습니다.(일반적인 체라 오브소서.)
* 참고로 첫 번째 줄에 있는 체 1개, 마 20개 옆에 있는 아5개는 체인 라이트닝을 1개, 라이트닝마스터리를 20개,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시 아템의 지원을 5개 받았을 경우의 데미지입니다.( 라이트닝 같은 경우는 색을 넣어서 체라와구분했습니다.)
마 1개
마 5개
마 10개
마 15개
마 20개
아 5개
아 10개
아 15개
체 1개
1-473
2-624
2-814
3-1003
4-1192
5-2011
5-3188
6-4738
2-110
3-145
4-189
5-234
6-278
8-765
9-1429
10-2269
체 5개
2-603
2-797
3-1038
4-1280
5-1521
6-2567
7-4068
8-6045
2-231
3-306
4-398
5-491
6-584
8-1152
9-1905
10-2885
체 10개
2-767
3-1012
4-1319
5-1626
7-1932
8-3260
9-5168
10-7678
2-394
3-520
4-678
5-836
6-994
8-1676
9-2574
10-3655
체 15개
3-930
4-1227
5-1600
7-1972
8-2344
9-3954
11-6267
12-9312
2-574
3-757
4-987
5-1217
6-1446
8-2264
9-3262
10-4425
체 20개
4-1093
5-1443
6-1880
8-2318
10-2755
11-4648
13-7367
14-10946
2-775
3-1023
4-1333
5-1644
6-1954
8-2869
9-3949
10-5195
아 5개
5-2228
6-2738
8-3374
10-4011
11-4648
3-1375
4-1690
5-2083
6-2476
8-2869
아 10개
7-3994
8-4704
10-5591
11-6479
13-7367
4-2141
5-2521
6-2997
8-3473
9-3949
아 15개
8-6473
10-7415
11-8592
13-9769
14-10946
6-3072
6-3519
8-4077
9-4636
10-5195
PS.
여기서는 라이트닝을 먼저 20개 찍은 후 체라를 올렸지만 체라를 먼저 20개 찍은 후 라이트닝을 올려도 데미지에는 변화 없습니다. 상황에 맞게 스킬을 올리시면 됩니다.
그리고 노바역시 라이트닝과 체라에게 시너지 효과를 줍니다. 생략하려다가 간단하게나마 비교해보았습니다.
아래 표는 챠지볼트 1, 라이트닝20 , 체라 20, 라마20개를 준 상태에서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경우의 데미지입니다.
아템 지원 5개
아템 지원 10개
아템 지원15개
아템 지원20개
아템 지원25개
아템 지원30개
라이트닝
11-4648
13-7367
14-10946
16-15104
18-19842
19-25158
체라
8-2869
9-3949
10-5195
11-6606
12-8183
13-9926
아래 표는 챠지볼트 1, 노바 1, 라이트닝20 , 체라 20, 라마20개를 준 상태에서 아템의 지원을 받았을 경우의 데미지입니다.
아템 지원 5개
아템 지원 10개
아템 지원15개
아템 지원20개
아템 지원25개
아템 지원30개
라이트닝
12-4787
13-7587
15-11273
17-15555
18-20434
20-25909
체라
8-2931
9-4035
10-5308
11-6750
12-8361
13-10142
위표를 보면 아시겠지만 노바를 하나 찍어두면 라이트닝과 체인 라이트닝에 약간의 데미지가 올라갑니다.(스킬이 아깝다고 생각하면 투자 안해도 뭐라고 하는 사람 없는건 아시죠.. )
▷...목록으로...◁
![]()
콜드 스펠, 라이트닝 스펠과 마찬가지로.. 오브 + 체라 소서가 선택하는 파이어 스펠속의 스킬에 대한 간단 설명입니다..
파이어 계열 (Cold Spells) 스킬트리 종류와 특징
1.파이어볼트 2.웜쓰 3.인페르노 4.블레이즈 5.파이어볼 6.파이어월 7.인첸트 8.메테오 9.히드라 10.파이어 마스터리오브 + 체라 소서는.. 파이어 스킬에서 손 댈 스킬이 웜쓰를 제외하고는 없습니다..
웜쓰 (Warmth)
소서의 유일한 패시브스킬이며
마나차는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①개
Warmth 웜쓰는.. 소서리스의 마나 재생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스킬입니다.. 스킬 레벨 증가에 따라서 마나 재생 속도는 더 빨라지게 되죠.. 오리지널 시절에는 웜쓰를 마스터하는 경향도 있었으나.. 현재는 1개만 투자를 해서 스킬발을 받고.. 그래도 마나가 부족하면 마나 포션을 사용하는 방법이 더 널리 쓰이죠..-_-;; 이 글에서는 스킬 레벨 증가에 따른 마나 재생 속도의 구체적 수치는 생략하겠습니다..
![]()
![]()
▷...목록으로...◁
이제 오브 + 체라 소서가 사용하는 아이템을 볼 차례입니다.. 아주 고가의 아이템이나 구하기 힘든 아이템들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지요.. 그만큼 저렴하다면 저렴한 셋팅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답니다.. 그럼.. 어떤 아이템들을 착용하는지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죠.. [ 헬 름 ]헬름은 별 다른 고민할 부분이 없습니다.. 듀얼용 캐릭이 아니기 때문에 샤코 이상의 헬름은 없죠.. 레지가 딸리면 Um룬 작을 해서 사용하셔도 되고.. 패힛을 원하시면 Shael룬작.. 콜드나 라이트닝의 데미지 상승을 노리신다면 해당하는 유닉 주얼작을 하셔도 상관없습니다.. [ 무 기 ]
Harlequin Crest Shako 할리퀸 크레스트 샤코
방어력: 98-141 레벨 제한: 62 힘 제한: 50 내구력: 12 2 모든 스킬 증가 (캐릭터 레벨당 1.5) 1-148 라이프 증가(캐릭터 레벨에 비례) (캐릭터 레벨당 1.5) 1-148 마나 증가 (캐릭터 레벨에 비례) 데미지 감소 10% 50% 매직 찬스 증가 모든 스탯치 2 증가오브는.. 개인적인 생각으로 신오브보다는 오크의 심장이 나은거 같아요.. 120 패캐를 맞추기도 수월할 뿐더러 모든 옵션들이 소서리스에게 유용하거든요.. 하지만.. 오크의 심장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아이템은 아니죠.. 오크의 심장을 못구하신다면 신오브를 쓰셔도 상관없답니다.. 엘드리치 오브의 경우.. 40패캐와 올스킬, 스킬당 데미지 상승이 매력적인 옵션이죠.. 데미지의 극대화를 꾀할 경우.. 해당 옵션이 상급인걸 사용하면 좋겠죠? [ 갑 옷 ]
The Oculus Swirling Crystal 오큘러스 스월링 크리스탈
한손 데미지: 18 To 42 (평균 30) 레벨 제한: 42 내구력: 50 (소서리스 전용) 3 모든 소서리스 스킬 레벨 증가 적 한명 제거시 5 마나 획득 모든 저항력 20 증가 타격당했을 때 25% 확률로 레벨 1 텔레포트 시전 30% 빠른 마법 시전 속도 증가 20 생명력 증가 20 에너지 증가 20% 방어력 증가 50% 매직 찬스 증가4소켓 스테프/메이스에
코(Ko)
+
벡스(Vex)
+
풀(Pul)
+
주울(Thul)
순으로 작업합니다.
Heart of the Oak (오크의 심장) +3 모든 스킬 +40 캐스팅 속도 증가 +75% 데몬에게 데미지 증가 +100 데몬에게 공격 등급 3-14 콜드 데미지 추가 7% 공격 명중시 마나 획득 +10 민첩 라이프 회복 +20 최대 마나 증가 15% 모든저항력 +30-40 (변함) 레벨 4 오크세이지 (25 차지) 레벨 14 레이븐 (60 차지) +50% 언데드에게 데미지 상승Eschuta"s Temper Eldritch Orb 어슈타드 템퍼 엘드리치 오브
한손 데미지: 18 To 50 (평균 34) 레벨 제한: 72 내구력: 30 (소서리스 전용) 1-3 모든 소서리스 스킬 레벨 증가 (변함) 40% 빠른 마법 시전 속도 증가 10-20% 파이어 스킬 데미지 증가 (변함) 10-20% 라이트닝 스킬 데미지 증가 (변함) 20-30 에너지 증가 (변함) (1.10 패치 이후)상위의 갑옷들이.. 오브 + 체라 소서가 선택할 수 있는 갑옷입니다.. 보통.. 스킬과 패캐, 올레지가 붙어있는 서펀트 스킨아머(소서 교복)을 많이 입게 되지요.. 하지만.. 올레지를 만족한다면 패힛이 붙어있는 퀘히컨(소서 동복)도 좋답니다.. 극강 데미지를 원하신다면 오르무스 갑옷을 선택하셔도 되지요.. 하지만.. 이것저것 생각하기 귀찮으시면 서펀트 스킨아머를 입으시면 무난하답니다..^^; [ 벨 트 ]
Skin of the Vipermagi Serpentskin Armor 스킨 오브 바이퍼마기 서펀트스킨 아머
방어력 : 279 (기본 방어력: 111-126) 레벨 제한: 29 힘 제한 : 43 내구력 : 24 +120% 증가된 방어력 +1 모든 스킬 30% 빠른 캐스팅 속도 증가 매직 데미지 감소 9-13 (변화) 모든 저항력 +20-35 (변화)Que-Hegan"s Wisdom Mage Plate 큐헤이건의 위즈덤 메이지 플레이트
방어력 : 628-681(변화)(기본 방어력 : 225-261) 레벨 제한 : 51 힘 제한 : 55 내구도 : 60 +140-160% 증가된 방어력 +1 모든 스킬 적 제거시 3마나 상승 20% 빠른 캐스팅 속도 20% 빠른 회복 매직 데미지 감소 6-10 (변화) +15 에너지Ormus" Robes Dusk Shroud 오르무스 로브 더스크 슈라우드
방어력: 371-487 (변함)(기본 방어력: 361-467) 레벨 제한: 75 힘 제한: 77 내구력: 20 10-20 방어력 증가 (변함) 20% 빠른 마법 시전 속도 증가 10-15% 콜드 스킬 데미지 증가 (변함) 10-15% 파이어 스킬 데미지 증가 (변함) 10-15% 라이트닝 스킬 데미지 증가 (변함) 무작위로 소서리스 스킬 3 증가* 마나 재생 10-15% (변함) (1.10 패치 이후)1.10ver.들어와서 소서리스의 벨트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법사캐릭의 벨트는.. 스파이더웹 섀시로 굳어졌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스킬과 20% 패캐, 마나 증가는 법사 캐릭에게 아주 유용한 옵션들이죠.. 구하기 어려운 벨트도 아니므로.. 벨트는 무조건 스파이더웹 섀시를 착용하시면 됩니다.. 다소 렙제가 높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글룸의 메쉬 벨트를 사용하시면 되겠군요.. [ 방 패 ]
Arachnid Mesh Spiderweb Sash 아라크니드 메쉬 스파이더웹 새시
방어력: 119-138 (변함)(기본 방어력: 55-62) 레벨 제한: 80 힘 제한: 50 내구력: 12 16 칸 +90-120% 방어력 증가 (변함) 목표물 10% 느리게 함 +1 모든 스킬 +20% 케스팅 속도 증가 최대 마나 5% 증가 레벨 3 베놈 (11 차지) (1.10 패치 이후)Gloom"s Trap Mesh Belt 글룸의 트랩 메쉬 벨트
방어력: 90-102 (변함)(기본 방어력: 35-40) 레벨 제한: 36 힘 제한: 58 내구력: 16 16 칸 +120-150% 방어력 증가 (변함) 5% 공격 명중시 마나 획득 최대 마나 15% 증가 마나 재생 15% +15 생명력 -3 시야소서리스가 자주 사용하는 방패는 두가지로 압축이 됩니다.. 그림쉴드와 모너크죠.. 패캐와 스킬등의 옵션을 원하신다면 그림쉴드를.. 보다 안전한 게임 진행을 원하신다면 모넉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모넉의 가장 큰 단점인 높은 힘제는 리콰 주얼이나 헬룬작을 통해서 낮추시면 됩니다.. 또한, 룬워드 방패인 샤에룬 + 에드룬 조합의 rhyme(제왕운시)도 많이 사용하지만.. 퀘스트 진행 캐릭에게는 잘 쓰이지 않기 때문에 생략했습니다.. [ 장 갑 ]
Lidless Wall Grim Shield 리들리스 월 그림 쉴드
방어력: 271-347 (변함)(기본 방어력: 50-150) 레벨 제한: 41 힘 제한: 58 블럭율: 팔라딘: 50%, 아마/어쌔/바바: 45%, 드루/네크/소서: 40% 내구력: 40 팔라딘 스마이트 데미지: 14 - 20 80-130% 증가된 방어력 (변함) +1 모든 스킬 마나 최대치 10% 증가 20% 빠른 마법 시전 속도 증가 적 제거시 3-5 마나 획득 (변함) +10 에너지 +1 시야Stormshield Monarch 스톰실드 모나크
방어력: (136-504) - (151-519) (변함)(기본 방어력: 148) 레벨 제한: 73 힘 제한: 156 블럭율: 팔라딘: 77%, 아마/어쌔/바바: 72%, 드루/네크/소서: 67% 팔라딘 스마이트 데미지: 12 - 34 +(캐릭터 레벨당 3.75) 3-371 방어력 증가 (캐릭터 레벨에 비례) 25% 블록킹 확률 증가 35% 빠른 블럭율 데미지 감소 35% 콜드 저항력 60% 증가 라이트닝 저항력 25% 증가 30 힘 증가 공격자에게 받는 데미지 10 되돌림 파괴 불가메이지 피스트는.. 모든 파이어 계열의 스킬 증가와 패캐가 가장 큰 장점이죠.. 패캐를 맞추기가 힘들다면 메이지 피스트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스샷에는 안 나와있지만 콜드 저항력이 부족하다면 트랑울 장갑을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프로스트번은.. 마나 뻥튀기 옵션이 매우 매력적이죠.. 패캐를 맞출 필요가 없거나 에너지에 스탯투자를 안 하실 때 사용하시면..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링 ]
Magefist Light Gauntlets 메이지 피스트 라이트건틀릿
방어력: 24-25 (변함)(기본 방어력: 9-11) 레벨 제한: 23 힘 제한: 45 내구력: 18 +20-30% 방어력 증가 (변함) +10 방어 +1 파이어 스킬 20% 케스팅 속도 증가 마나 재생 25% 1-6 파이어 데미지Frostburn Gauntlets 프로스트번 건틀릿
방어력: 47-49 (변함)(기본 방어력: 12-15) 레벨 제한: 29 힘 제한: 60 내구력: 24 +10-20% 방어력 증가 (변함) +30 방어 +5% 데미지 증가 최대 마나 40% 증가 1-6 콜드 데미지 추가소서리스에게 있어서.. 듀얼시가 아니라면 조던링 이상의 링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1스킬과 +20 마나와 마나 증가는 아주 훌륭한 옵션이죠.. 오브 + 체라 소서 역시 다른 이유가 없다면 쌍조던을 추천합니다.. 만약에 패캐가 부족하거나.. 스탯을 아끼고 싶거나 레지가 부족하다면.. 국링인 천상링을 착용하셔도 됩니다.. [ 아 뮬 ]
Stone of Jordan Ring 스톤 오브 조단 링
레벨 제한:29 +1 모든 스킬 레벨 최대 마나 25% 증가 1-12 라이트닝 데미지 추가 +20 마나blood circle ring 천상링
10% 패캐 33 라이프 13 힘 55 마나 포레 15% 콜레 15% 라레 20% 파레 15%아뮬 역시.. 패캐를 맞출 수 있다면 올레지와 스탯을 절약할 수 있는 마라 아뮬이 좋습니다.. 하지만.. 패캐와 라이프, 마나가 부족할 때는 국 아뮬인 천상 아뮬을 선택하셔도 상관없어요..
Mara"s Kaleidoscope Amulet 마라의 컬라이도스코프 아뮬렛
레벨 제한:67 +2 모든 스킬 레벨 모든 저항력 +20-30 (변함) +5 모든 능력치Doom Master Amulet 천상 아뮬
소서 2스킬 10% 패캐 포레 18% 콜레 22% 라레 20% 파레 17% 70 마나 41 라이프크래프트 아뮬렛에 대해서 잠시 언급할까요? 상위의 아뮬도 좋은 옵션을 지닌건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옵션 좋은 크래프트 아뮬렛을 따라오기는 힘든게 사실이죠.. 그럼.. 어떤 옵션이 붙으면 속칭 말하는 대박인가? 고정속성인 (5-10)% 패캐, (4-10)% 마나재생, (10-20) 마나증가와 함께.. 소서리스 2스킬, 스탯과 올레지가 붙으면 이 아뮬만한게 없습니다.. 한마디로.. 소서리스 2스킬, 10 패캐, 10 마나재생, +20 마나, 스탯과 레지가 붙은 아뮬이 나오면.. 그냥 생각하지 말고 위의 아뮬을 쓰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크래프트 아뮬렛의 조합공식입니다..
아뮬의 선택은..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걸로 착용하시면 된답니다.. [ 부 츠 ]
![]()
랄룬![]()
퍼펙트 자수정![]()
매직 아뮬렛![]()
매직 쥬얼 을..
![]()
<--- 호라드릭 큐브에 넣고..
![]()
<--- 요놈(조합)을 꾹 눌러주면 된답니다.. 옵션 잘 붙은 대박 크래프트 아뮬렛이 탄생하기를 바랄께요....^-^*오브 + 체라 소서 육성의 주 목적이 퀘스트 헬프이니만큼.. 부츠는 수월한 사냥을 진행하기 쉬운 옵션이 붙은 부츠를 선택하시는게 좋습니다.. 대표적인게 위 스샷처럼 많이 애용되어지는 국부츠지요.. 래더에서 게임을 하시거나 국부츠를 구하기 힘드시다면.. 비슷한 옵션을 지닌 레어 부츠등을 사용하셔도 큰 지장은 없답니다..^^ 메쉬 부츠 역시 마나에 관련된 좋은 옵션들로 가득차 있기 때문에.. 사용하시기에 조금의 문제점도 없는 부츠랍니다.. [ 참 ] 오브 + 체라 소서의 참 셋팅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데미지를 위해서 라이트닝 스펠이나 콜드 스펠참을 사용하셔도 되고.. 보다 많은 라이프와 마나의 획득을 위해서 라이프/마나 참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몇 장의 스펠참과 나머지 공간에는 라이프/마나 참을 넣는걸 추천하고 싶군요.. 레지가 부족하다면 레지참을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이 글에서는.. 참에 대한 스샷은 생략하겠습니다.. 육성하시는 분의 취향대로 셋팅하면 되거든요..^^ [ 아이템 셋팅의 예 ] 오브 + 체라 소서의 권장 패캐는 120패캐입니다.. 물론 위의 패캐 수치를 맞추지 않아도 상관없지만.. 어려운 것도 아니기 때문에 왠만하면 맞추세요...-_-;; 그럼 120패캐를 전제로 몇가지 셋팅을 말씀드릴게요.. 1. 오심(40) + 소서 교복(30) + 스파이더 웹 섀시(20) + 메이지 피스트 장갑(20) + 천상 아뮬(10) 2. 신오브(30) + 소서 교복(30) + 스파이더 웹 섀시(20) + 메이지 피스트 장갑(20) + 그림쉴드(20) 3. 신오브(30) + 소서 신교복(20) + 스파이더 웹 섀시(20) + 메이지 피스트 장갑(20) + 그림 쉴드(20) + 천상 아뮬(10) 본 캐릭은 퀘스트 헬프용 캐릭이니만큼.. 모넉을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사냥이 가능한 1번 셋팅을 추천하고 싶네요.. 하지만 누가 뭐래도.. 셋팅은 내가 하고 싶은대로 하면 되는거랍니다..
Dire Blazer Greaves 돌석이
Asia1.3 Asia 2 이동속도(30) 이동속도(30) 패힛(20) 패힛(20) 콜레44 파레24 라레43 콜레49 파레25 라레23 19힘 19힘Stone Slippers Chain Boots 전지현
Asia1.3 Asia 2 이동속도(30) 이동속도(30) 패힛(20) 콜레49 콜레41 라레47 라레22 포레24 파레35 16라이프 17힘 19힘Silkweave Mesh Boots 실크위브 메쉬 부츠
방어력: 95-130.5 (변함)(기본 방어력: 37-44) 레벨제한: 36 힘 제한: 65 내구력: 16 +150-190% 방어력 증가(변함) 30% 이동 속도 증가 +5 죽이때마다 마나 회복 마나 최대량 10% 증가 +200 원거리 방어력
여기까지 해서.. 오브 + 체라 소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서두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콜드 + 파이어 계열의 소서에 비해서 사냥속도는 떨어지는게 사실이에요.. 하지만.. 그들과는 다른 독특한 재미와 더불어 화려한 그래픽 효과를 맛보고 싶으신 분은.. 과감히 도전해볼만한 가치가 있는 캐릭입니다.. 여러분들도.. 나만의 오브 + 체라 소서 하나 키워보고 싶지 않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