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목명 |
영상으로 보는 중국 (用影像看中国) |
교과목ID(분반) |
CLT0571-2 |
학점 (시간) |
3(3) |
담당교수 |
황 지 유 (黄 智 裕) |
연락처 |
010-8835-4663 |
강의시간 |
수7, 금8,9 |
hwangjiyou@hanmail.net |
강의실 |
인1-102 | |||
자료제공 (카페) |
http://cafe.daum.net/yanjiuzhongguo(황금볏단) | ||||
면담가능 시간&장소 |
월~금 오전10:00~12:00 (인문대 외래교수실 인1-101) | ||||
강의개요 및 목적 |
중국을 이해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대부분은 책을 통하여 그 문화의 여러 가지 현상들에 대해서 배우고 익히게 된다. "영상으로 보는 중국"은 영상이라는 시각적, 청각적 매체를 통하여 중국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단순 동영상, 다큐멘터리(기록물), 음악비디오(MTV), 영화 등등. 하지만 이번 강의에서는 우리에게 가장 흥미를 끌 수 있는 "영화"를 통하여 중국의 여러 단면들을 보고, 그 현상들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 보면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 영화를 통하여 중국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모든 중국의 문화 즉 정치, 경제, 사회, 역사, 지리, 문학, 언어, 대중문화 등등을 세밀하게 살펴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번 강의에서는 영화를 통하여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와 근접한 시기인 "근현대"라는 시간적 범위를 정하여서 우리나라와의 비교 속에서 그 “역사적”,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멀고도 가까운 이웃 나라 중국, 우리는 영화를 통하여 그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와의 관계 매김까지를 생각해 보고 한국이 나아갈 바를 생각해 봄을 학습의 최종적 목적으로 삼을 것이다. | ||||
교재 및 참고문헌 |
주교제: 차이나로드 저, 『영화로 떠나는 중국문화 기행』, 전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더나가 연구물, 2008년 8월.(가제본) 참고문헌: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지음,『영화로 읽는 중국』, 동녘, 2006년9월. 박완호 외 지음,『영화로 이해하는 중국 근현대』, 르네상스, 2006년3월. 정영호 지음,『중국영화사의 이해』, 전남대학교출판부, 2006년6월. 조훈 편역,『강좌 중국근현대사』, 역사교양사, 1999년3월. 최환, 남민수, 박운석 공저, 『현대 중국의 이해』, 영남대학교출판부, 2000년3월. | ||||
주 별 강 의 계 획 | |||||
제1주(9월3일, 5일): 수업방식 소개,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중국의 대략적인 문화를 개괄해서 소개한다. 그 중에 현재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시대와 가까운 중국의 "근현대"의 역사에 치중해서 대략적인 "중국의 개황", "문화", "주요 역사인물"을 익힌다. 제2주(9월10일, 12일): <진송(秦颂)> 영화 보기. <진송(秦颂)> 감상 및 문화 찾기: <진송>을 영화를 통해서 "진시황"에 대한 전면적인 이해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영화의 영어제목은 ‘황제의 그림자 (The Emperor's Shadow)’로 진 제국의 광대한 야망을 묘사하는 음악 뒤에는 드리워진 비극적인 그림자를 엿볼 수가 있다. 본 영화에서 유념할 문화적 요소는 "진시황(秦始皇)이 어떤 사람인가?", "진시황의 꿈", "분서갱유(焚書坑儒)와 불로장생 ", "만리장성", "진시황의 업적"이다. 제3주(9월17일, 19일): <황후화(滿城盡帶黃金甲)> 영화 보기. <황후화(滿城盡帶黃金甲)> 감상 및 문화 찾기: 중국 역사상 가장 거대하고 화려한 황실 무협 대작이다. 중국의 문화의 황금기인 당나라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영화를 통해서 우리는 "중양절을 통해본 중국의 세시풍속, <영웅>과 <연인>의 뒤를 이어 펼쳐진 색채 이미지의 향연을 통해본 색채문화", "황제의 ‘용포’와 황후의 ‘봉황 가운’을 통해본 동식물에 얽힌 의미의 문화"를 접할 수가 있을 것이다. 제4주(9월24일, 26일): <황후화(滿城盡帶黃金甲)> 보충설명. <송가황조(宋家皇朝)> 영화 보기. <송가황조(宋家皇朝)> 감상 및 문화 찾기: <송가황조>를 통하여 민중의 고뇌와 통일, 그리고 내전에 대하여 생각해 보겠다. 이 영화에서는 "신해혁명", "군벌세력간의 전쟁", "'오사' 신문화운동", "공산당과 국민당의 대립", "공산당 대장정", "서안 사변" 등등의 역사 사건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인 사건 외에도 천단(天坛), 월병(月饼), 중산복(中山服)과 치파오(旗袍), 변발(编发), 전족(纏足), 이중결혼 등등의 문화를 살펴볼 것이다. 제5주(10월1일, 3일): 개천절 휴강. <송가황조(宋家皇朝)> 보충 설명. 제6주(10월8일, 10일): <변검(变脸)> 영화 보기. <변검(变脸)> 감상 및 문화 찾기: 이 영화를 통하여 우리는 중국의 여러 가지 문화를 접할 수가 있다. 영화 초반에 나오는 거대한 불상(낙산대불-관음신앙)과 자주 보이는 강의 모습, 공연예술인 경극과 변검, 용춤, 중국의 화려한 축제의 모습, 빨간색의 장식, 남존여비 사상, 黑兒 문제, 술(소독-민간요법) 등등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적 표현을 볼 수가 있다. 제7주(10월15일, 17일): <변검(变脸)> 감상 및 문화 찾기: 이 영화를 통하여 우리는 중국의 여러 가지 문화를 접할 수가 있다. 영화 초반에 나오는 거대한 불상(낙산대불-관음신앙)과 자주 보이는 강의 모습, 공연예술인 경극과 변검, 용춤, 중국의 화려한 축제의 모습, 빨간색의 장식, 남존여비 사상, 黑兒 문제, 술(소독-민간요법) 등등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적 표현을 볼 수가 있다. 제8주(10월22일 or 24일): 중간고사 제9주(10월29일, 31일): <인생(活着)> 영화 보기. <인생(活着)> 감상 및 문화 찾기: 이 영화는 장이머우(张艺谋) 감독의 걸출한 영화를 통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과 사회주의의 시행착오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즉 영화 속 인물이 살아가고 있는 시대적 배경이 되는 "한국전쟁의 참여", "사회주의식 공업화의 시작", "반우파 투쟁", "공업화의 상처", "공산당 내 대립의 격화" 등이다. 제10주(11월5일, 7일): <인생(活着)> 보충 설명. <북경 자전거(十七岁的单车)> 영화 보기. 제11주(11월12일, 14일): <북경 자전거(十七岁的单车)> 감상 및 문화 찾기: 에서는 자전거를 매개로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에 처한 중국 경제의 문제점과 그 해결 과제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구체적으로는 "도시 민공(民工)의 현실", "자전거 문화", "영화 속 배경인 북경(北京) 문화", "중국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 등등이다. 제12주(11월19일, 21일): <쿤둔> 영화 보기, <쿤둔> 감상 및 문화 찾기: 이 영화를 보면서 티베트의 문화를 살펴보고 티베트 사태에 대하여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지금까지 본 6,7편의 영화를 평가해 보고 그 속에서 다루고 있는 중국의 역사에 대하여 한국의 실정과 대비하여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제13주(11월26일, 28일): 개천절 보강. <화양연화(花樣年華)> 영화 보기, <화양연화(花樣年華)> 감상 및 문화 찾기. 이 영화를 통하여 홍콩문화를 엿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위에서 다룬 영화 외에도 우티앤밍(吴天明)의 <노정老井>, 천카이거(陈凯歌)의 <황토지黄土地>, <패왕별희霸王别姬>, 장이머우(张艺谋)의 <붉은 수수밭红高粱>, <귀주 이야기秋菊打官司>, 티엔좡좡(田庄庄)의 <푸른 연蓝风筝>, 웨인 왕 감독의 <차이니즈 박스中国匣>,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의 <마지막 황제末代皇帝>, 칼마 힌튼의 다큐멘터리 <Morning Sun> 등등은 중국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14주(12월10일 or 12일): 기말고사 * 강의 계획은 실재 수업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평가: 중간: 40%, 기말: 40%, 과제: 10%, 출석: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