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nger / 진저(생강) |
 |
|
|
■■ 일반이름 : Ginger ■ 학 명 : Zingiber officinale Rosc. ■ 한글이름 : 진저(생강)
|
| |
|
|
|
|
 |
|
HONEYSUCKLE / 하니써클 |
 |
|
|
■ 일반이름 : HONEYSUCKLE ■ 학 명 : Lonicera caprifolium ■ 한글이름 : 하니써클
|
| |
|
|
|
Horseradish / 호스레디쉬 |
 |
|
|
■ 일반이름 : Horseradish ■ 학 명 : Armoracia rusticana G. ■ 한글이름 : 호스레디쉬 일본 와사비와 비슷한 향신료 식물로서 뿌리를 갈거나 깎아보면 톡 쏘는 자극성이 강한 와사비 같은 향미가 있다.와사비는 물이 흐르는 곳에서 재배해야 하는 등 재배조건이 까다로운데 비해 호스레뒤시는 밭에서 쉽게 재배할 수 있어서 값비싼 와사비의 대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호스레뒤시는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식욕을 증진할 뿐 아니라 항균작용이 있어 간균등에 대한 제균작용이 있다.한번 심으면 잡초화 할 정도로 매우 튼튼하고 생장이 빠른 다년초이지만 여름의 더위와 건조를 싫어한다.유기질이 풍부한 가볍고 비옥한 땅이면 수확하기 쉬워서 좋으며 반그늘진 다소 습한 땅이 이상적이다.
|
| |
|
|
|
Hyssop / 하솝 |
 |
|
|
■ 일반이름 : Hyssop ■ 학 명 : Hyssopus officinalis L. ■ 한글이름 : 하솝
|
| |
|
|
|
|
|
|
|
|
|
| |
|
 |
|
Jasmine / 쟈스민 |
 |
|
|
■ 일반이름 : Jasmine ■ 학 명 : Jasminum beesianum ■ 한글이름 : 쟈스민 상록관목인 자스민은 1m정도 자라며 잎은 타원형 끝이 뾰족하고 표면에 광택이 있다.꽃은 7~8월에 가지 끝에 4~5판화가 피고 독측하고 달콤한 향기가 있다. 꽃은 향료로 피부에 탄력을 주어 화장품에 많이 이용을 하고, 차로도 많이 마신다.
|
| |
|
|
|
JUNIPER / 쥬니퍼 |
 |
|
|
■ 일반이름 : JUNIPER ■ 학 명 : Juniperus communis L. ■ 한글이름 : 쥬니퍼
|
| |
|
 |
|
크랫송 |
 |
|
|
■ 학명 : Nasturtium officinale ■ 영명 : Water Cress ■ 원산지 : 유럽중부~남부 ■ 이용부위 : 잎
다년생 수생식물로서 미나리처럼 마디에서 쉽게 뿌리가 나서 번식되는 크랫송은 유럽에서 후추의 값이 눈이 튀어나올 정도로 비쌋던 시절에 "가난한 자의 후추"라고 불리우던 식물의 하나였다. 학명인 Nasturtium는 라틴어의 nasus(코)와 tortus(비틀어지다)의 합성어라 한다.코가 비틀어진다는 뜻인데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알수 없다. 다만 크랫송이 성스러운 향료식물 9가지 중의 하나로서 벽사의 마력이 비장되어 있다고 믿었었다. 주로 생채로서 샐러드외에 스테이크,로스구이 등 육류요리에 파세리처럼 곁들이고 생선요리에 많이 이용을 한다.생기새가 냉이잎과 흡사하여 "물냉이"라고도 불리는 이 식물은 추위에는 강하나 더위에 약한 편이며 석회분이 많은 알카리성 물에서 생육이 왕성하다.
|
| |
|
|
|
| |
|
 |
|
Lamb's ear/ Betony / 램스이어/ 베토니/(양의 귀) |
 |
|
|
■ 일반이름 : Lamb's ear/ Betony ■ 학 명 : Stachys species Lamiaceae or Labiatae ■ 한글이름 : 램스이어/ 베토니/(양의 귀) 잎이 양의 귀 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피침형의 잎에 향기가 있고 여름~가을에 긴 꽃대에 연보라, 자주색의 잔꽃이 수상화서로 핀다.잎을 포푸리나 리스, 드라이 플라워로 많이 이용을 한다.
|
| |
|
|
|
Lavender / 라벤더 |
 |
|
|
■ 일반이름 : Lavender ■ 학 명 : Lavandula angustifolia. ■ 한글이름 : 라벤더 허브의 여왕이라고 부를 만큼 향기가 좋은 라벤더는 햇빛이 강하고 배수가 잘 되어야 잘자란다. 라벤다는 마르면 향기가 더 짙어지고 향기가 더 오래 지속된다.옛날에는 라벤다 향이 머리를 맑게 해주고 피로를 회복시켜서 활력을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하여 라벤다 향수를 두통의 명약으로 이마에 바르기도 하고 마음을 진정시켜 평안하게 편히 잠들게 한다고 하여 프랑스의 찰스 6해 라벤다의 꽃으로 속을 넣고 쿠션을 만들게 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고 한다. 28여종이 넘는 라벤더는 프랑스가 가장 유명하고 영국,이탈리아,호주, 등에서도 산업적으로 재배하여 수출하고 있다. 일본 북해도 에서도 관광자원으로서 재배하고 있다.라벤더는 내한성은 다소 강한 편이지만 고온다습은 싫어하며 과습에는 매우 약하다.해가 잘들고 배수가 잘 되는 서늘한 남향의 다소 경사진 곳이 재배하기에 적지이다.
|
| |
|
|
|
Lemon Balm / 레몬밤 |
 |
|
|
■ 일반이름 : Lemon Balm ■ 학 명 : Melissa officinalis L. ■ 한글이름 : 레몬밤 학명의 "메릿사"는 라틴어의 "꿀벌"을 뜻하며 이 꽃에 꿀이 많아서 꿀벌이 많이 모여들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 한다.그래서 "비밤(Bee balm)"이라는 애칭으로도 부른다.고대 그리스인들도 메릿사를 밀원식물로 중요시했으며 꽃뿐 아니라 달콤한 레몬향기까지도 꿀벌을 불러 모은다고 하여 벌통에 메릿사 잎을 문질러 두면 벌들이 모여든다고 합니다.잎으로 만든 허브차는 뇌의 활동을 높여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우울증을 물리친다고 하여 "학자의 허브"로도 유명하다고 합니다.레몬밤은 노쇠의 예방에도 효과가 뛰어나서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명성이 높습니다.레몬의 향미 때문에 요리에도 널리 쓰이는데 육류요리에서 샐러드,디저트에 까지 상쾌한 부향제로 이용됩니다. 다년초인 레몬밤은 0~60cm로 자라며 가지를 잘쳐서 총생합니다.해가 잘들고 배수가 잘 되면서 비옥한 땅이면 좋습니다.
|
| |
|
|
|
LEMON GRASS / 레몬그라스 |
 |
|
|
■ 일반이름 : LEMON GRASS ■ 학 명 : Cymbopogon citratus ■ 한글이름 : 레몬그라스 레몬그라스는 억새를 닳은 포아플과의 다년초로서 잎을 찢어서 손가락으로 비벼보면 흡사 레몬 같은 향기가 납니다. 그래서 영명은 레몬향이 나는 풀이라 하여 레몬그라스라 합니다.인도나 동남아에서는 허브차로서 노란색의 아름답고 맛있는 차를 일상의 음료로 상용하는데 이 차는 소화기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빈혈에도 효과가 있다고 하여 즐겨 이용하며 냉차로 마시면 더욱 좋습니다.내한성이 없는 것이 결점이지만 재배는 쉬우므로 겨울에는 분화초로 가꾸는 것이 좋습니다.해가 잘 들고 따뜻한 곳의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가 좋습니다
|
| |
|
|
|
Lemon Myrtle / 머틀/은매화 |
 |
|
|
■ 일반이름 : Lemon Myrtle ■ 학 명 : Backhousia citriodora F. Muell. ■ 한글이름 : 머틀/은매화 머틀은 아담과 이브가 에덴동산에서 쫓겨날때 가지고 갈수 있게 허락받은 세가지 식물중 하나이다.식량으로는 밀을, 과일로는 대추야자를, 그리고 가장 향기로운 것으로 머틀을 가지고 왔다는 것으로서 성서에는 대개 신의 관대한 마음의 표시로 나온다.로마나 그리스에는 권위의 상징으로서 영웅, 사제, 걸출한 인물을 위한 관을 만드는데 월계수 처럼 쓰였다 하며 위대한 업적은 불멸이라 생각해서 영광과 기쁨, 평화 등을 상징하기도 했다 한다.머틀은 정유myrtol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정유를 추출하여 향수의 원료로 쓰며 술이나 음식의 부향제로도 이용한다.달콤하고 톡 쏘는 자극성 있는 오렌지와 비슷한 향기는 고대 로마에서는 목욕재로 즐겨 쓰였다.상록의 관목인 머틀은 잎,꽃, 열매에 모두 짙은 향기가 있는 향료 식물이다.내한성은 다소 있는 편이므로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부지역에서의 재배가 가능하다.
|
| |
|
|
|
Lemon Verbena / 레몬버베나 |
 |
|
|
■ 일반이름 : Lemon Verbena ■ 학 명 : Lippia citriodora ■ 한글이름 : 레몬버베나 ■ 허브에 담겨진 역사 이야기
<원산지> 칠레, 페루 <상업재배지> 유럽 밝은 황녹색의 잎과 별처럼 생긴 작고 귀여운 꽃이있는 레몬버베나는 이름 처럼이나 싱그러운 레몬향이 나는 허브입니다. 중남미 칠레와 페루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유럽으로는 약 17세기경에 스페인 원정대 의해 전해졌습니다.
■ 허브이야기 원산지에서는 약 3m가량 자라며 다년생의 상록 관목수 이다. 내한성이 약해 제주도 이북 지역에서는 겨울나기가 힘들며, 실내 정원수로 키우기에는 적합하다. 가벼운 바람에도 집안에 싱그런 레몬향을 물씬 풍기게 할수 있는 다용도의 허브이다. 유럽으로 전해진 레몬버베나는 처음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재배되어 졌고, 그 잎에서 정유(에센셜오일)를 만들어 향료, 비누, 화장품등에 응용을 했습니다. 레몬 버베나는 그 시원한 레몬향 만큼이나 쓰임새가 아주 많아 현대에 와서는 아로마테라피, 의약분야, 허브차, 향신료등으로 폭넓게 사용되며, 또한 말린 잎을 이용 목욕제나 포푸리, 베겟속에도 응용을 할수가 있다.
|
| |
|
|
|
Lovage / 러뷔지 |
 |
|
|
■ 일반이름 : Lovage ■ 학 명 : Levisticum officinale Koch ■ 한글이름 : 러뷔지 러뷔지는 샐러리와 비슷한 식물이지만 향미가 더 강하며, 옛날에는 식용뿐 아니라 약용식물로서도 중요시했다.유럽전역에는 로마인에 의해 전파되었다 하며 잎, 뿌리, 씨 등 모두에 약효가 있어서 예부터 이용했는데 소화,구풍작용이 뛰어나며 상쾌한 향기는 냄새를 지워버리는 방취효과도 있으므로 재미있는 풍속이 전해지고 있다.당시에는 뜨거운 목욕물에 잎을 짓찧어서 넣고 목욕재로 이용하기도 하고 데이트할 때 주머니(향낭)에 넣어서 목에 목걸이 처럼 걸고 만나러 갔다고 전해지는데 다분히 사랑(love)라는 뜻이 함축된 이름 때문에 반하게 하는 약이라는 것이다.이 용법이 발전하여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처녀가 데이트하러 나갈 때는 러뷔지의 꽃을 넣은 주머니를 목에 거는 것이 남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주술로 여긴 오랜 전통의 풍습이 있다.생잎은 쌉쌀하면서도 향미가 있어서 요리에 긴히 쓰이는데 열에 오래 끊여도 향미가 날아가지 않으므로 스프에 부향제로 많이 이용한다.크게 자라는 다년초로 해가 잘드는 곳을 좋아하며 비교적 일조시간이 짧은 곳에서도 잘 자란다.토질은 가리지 않고 비옥하며 보수력이 있는 땅을 좋아한다.
|
| |
|
|
|
LUPPIN / 루핀 |
 |
|
|
■ 학명 : lupinus polyphyllus ■ 영명 : lupin ■ 원산지 : 북미서부, 콜롬비아
다년초인 루핀은 긴잎자루 끝에 피침형의 잔잎이 9~18개씩 장상복엽으로 핀다.꽃은 여름에 총상화서로 나비모양의 꽃이 빽빽히 피어 화려하다. 씨의 가루는 비부의 각질이나 모공의 더러움을 제거함으로 팩용으로 많이 쓰인다.또한 질소와 인산을 고정하는 작용이 있어 녹비로도 사용을 한다고 한다.
| |
 |
|
M / 밀크티스틀 |
 |
|
|
■ 학명 : silybum marianum ■ 영명 : milk tistle ■ 한국명 : 마리아엉겅퀴 ■ 원산지 : 지중해연안, 유럽남서부, 이집트 잎에 휜반점이 불규칙하게 아롱져있는 밀크티스틀은 연노랑색의 가시가 있고, 봄에 중앙에서 꽃대가 1.5m로 나와 가지끝에 분홍색의 엉겅퀴 닳은 옅은 향기나는 꽃이 억센 가지에 둘러쌓여 핀다. 지나가다 잘못 건들면 상처가 날 정도로 가시가 많다. 잎, 줄기,뿌리 씨 를 모두 식용 또는 약용에 이용할 만큼 여러 방면에 이용을 한다.어린잎을 이용하여 채소로 이용을 하기도 하고 씨를 이용하여 기침, 소화기관, 우울증 등의 치료제로 옛부터 많이 쓰여온 식물이다.
|
| |
|
|
|
Marigold / 금잔화 |
 |
|
|
■ 일반이름 : Marigold ■ 학 명 : Calendula officinalis ■ 한글이름 : 금잔화 국화과에 속하는 금잔화는 금송화라고도 한다. 남유럽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30∼5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선모같은 털이 있어 독특한 냄새를 풍긴다. 잎은 어긋나고 잔 톱니가 있으나 거의 없는 것 같으며,밑부분은 원줄기를 감싼다. 잎자루는 좁은 날개가 있고 위로 갈수록 짧아져 없어진다.꽃은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가지와 원줄기 끝에 1개씩의 황색 두상화가 달리고 가장자리의 것은 설상화이다.황색 계통이 많으나 원예품종에 따라 각각 빛깔이 다르고 밤에는 오므라든다.꽃말은 '겸손·인내'란 말이있다. 내한성이 있어 난지에서는 가을에 파종하면 12월부터 봄까지 출하가 가능하다. 절화용·분식용·화단용 등에 따라 품종을 선택하며,튼튼하여 재배가 쉽다. 한 때 외상약의 재료로 재배하기도 하였다.
|
| |
|
|
|
Marjoram / 마조람 |
 |
|
|
■ 일반이름 : Marjoram ■ 학 명 : Maiorana hortensis Moench. ■ 한글이름 : 마조람 마죠람의 재배역사는 고대 이집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옛날 이집트에서는 정향, 아니스, 커민, 시나몬 등과 함께 미이라를 만들 때 쓰인 최초의 향초 중의 하나였다.마조람은 사랑의 미의 여신 비너스가 바닷물에서 만들어 내어 태양빛을 듬뿍 받으라고 제일 높은 산에 심은 풀이라고 믿었으며 그 뛰어난 향기는 비너스의 손이 닿았기 때문이라고 전해지고 있다.마조람은 행복을 상징하는 향초로 고대그리스나 로마에서는 결혼하는 신랑신부의 머리에 화관을 씌워서 축복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초여름에 매듭모양의 하얀 포엽에 싸여 흰꽃이피므로 Knotted Marjoram 이라고도 한다. 마죠람은 최면효과가 뛰어나므로 이 향기를 맡으면 건강에 좋다고 하여 베겟속으로 이용하고 향낭 화장수로 까지 이용했다 한다.인도, 아라비아, 이집트가 원산지인 스윗 마죠람은 다년초로 내한성이 약하므로 우리나라에서는 1년생 초본으로 다룬다.장마후는 무르기 쉬우므로 공기유통을 도울겸 가지를 솎아서 수확하는 것이 좋다.마죠람은 진정작용이 뛰어나므로 건강음료로서 마조람차로 널리 애용했다.또한 잎에서 채취한 정유는 향수와 화장수로 쓰이기도 하고 마죠람의 잎을 이용하여 향신료로 이용을 하는데 이태리 요리와 육류 요리에는 빼놓을수 없는 중요한 향신료이기다 하다.
|
| |
|
|
|
Mugwort / 머그워트/ (쑥 과) |
 |
|
|
■ 일반이름 : Mugwort ■ 학 명 : Artemisia vulgaris L. ■ 한글이름 : 머그워트/ (쑥 과)
|
| |
|
|
|
Mullein. / 멀레인 |
 |
|
|
■ 일반이름 : Mullein. ■ 학 명 : Verbascum thapsus L. ■ 한글이름 : 멀레인
멀레인은 고대 로마 때부터 호흡기 게통의 치료제로 약효가 뛰어난 약초로 알려져 있었으며 지금도 즐껴 쓰이는 약초이다.빌로드 같은 부드러운 잎과 굵고 긴 꽃대가 인상적인 월년초다.그리스 신화의 율리시즈는 이 식물을 헬메스에게서 받아 마녀 킬케의 주술을 물리칠 수 있었다고 한다.이것은 멀레인이 마귀를 쫗는 위력이 있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내한성이 강한 2년초로 포기 전체에 힌백색의 솜털이 밀생하고 있고, 노란 잔꽃이 많이 핀다.꽃을 이용한 허브차는 진정효과가 있어서 불면증 치료에 쓰이며 이뇨작용이 있어서 비뇨기 계통의 염증을 진정시키는 데도 쓰인다고 한다.
|
| |
|
|
|
Mustard -white / 머스타드/ (겨자) |
 |
|
|
■ 일반이름 : Mustard -white ■ 학 명 : Sinapis alba L. ■ 한글이름 : 머스타드/ (겨자) 머스타드는 "겨자"를 지칭하는 영명이다.겨자는 재배역사가 오래된 식물중에 하나에 속하며 B.C 1600년 경의 이집트 파피루스 문서에도 기록이 남아 있다 한다.겨자씨에는 "시니그린"과 "미로신"외에 37%의 지방유가 함유되어 있어서 예부터 중요한 향신료일 뿐 아니라 고대 그리스나 로마시대 부터 약초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겨자씨를 증류하여 얻은 기름은 동상,관절염,호흡기 계통의 치료제로 사용을 했다.지금도 가루로 만들어 서 물이나 식초로 개어서 관절염, 류마티스 등의 찜질약으로 붙이면 효과가 있다한다.1년생 초본으로서 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가 좋다.
|
| |
|
|
|
|
|
 |
|
Nasturtium / 나스터츔/ 한련화 |
 |
|
|
■ 일반이름 : Nasturtium ■ 학 명 : Tropaeolum majus ■ 한글이름 : 나스터츔/ 한련화 나스터츔은 우리나라에서는 원예식물로 정착해 있는 꽃이며 연잎을 닳았으나 뭍에서 핀다하여 "한련"이라 하기도 한다.학명은 Tropaeolum majus라 하는데 그리스어의 tropaion 즉, 전승 기념물인 트로피를 뜻하며 "트로이"의 전사가 흘린 피에서 생겨났다고 하여 붙었다고 하나, 이 식물의 생김새에서 유래 했다는 말이 옳다.나스터츔은 1.5~2m씩 자라며 덩굴에 방패모양을 닳은 잎과 꽃은 긴 것이 있어서 엎어 놓고 보면 옛 병사가 쓰던 투구와 같이 생겼으므로 전투용 도구인 방패와 투구가 주렁주렁 매달리듯 피어 있어서 붙여졌다는 것이다.학명의 뜻을 새겨 월계수와 함께 경기의 승리자에서 씌우는 월계관을 장식하는데 쓴다고도 한다. 꽃진뒤에 콩만한 열매가 결실되는데 잔주름이 많은 것이 특색이며 꽃은 독특한 향기가 있고 열매는 매운 맛이 있으므로 덜 여문 녹색일때 따서 피클도 만들고 고운 강판에 갈아서 향신료로도 이용을 하기도 한다. 1년초인 나스터춤은 둥굴이 지어 여름의 무더위에 다소 약하며 서늘한 기후를 좋아한다.
|
| |
|
|
|
Nettle / 넷틀/ 쐐기풀 |
 |
|
|
■ 일반이름 : Nettle ■ 학 명 : Urtica dioica ■ 한글이름 : 넷틀/ 쐐기풀
서양 쐐기풀을 말하는 넷틀은 잎에 가시같은 털이 있고 털에 개미산이 있어서 피부에 닿으면 따갑고 아프며 물집이 생길정도로 가시가 아파서 귀찮은 잡초 중에 한가지로 속하기도 한다. 그러나 어릴때 데쳐서 나물로 먹으면 맛이 아주 훌륭하다. 지금은 약용이나 식용으로 밖에는 사용을 하지 않지만 예전에는 삼이나 아마, 목화가 등장하기 전까지 줄기의 껍질에서 섬유를 뽑아서 천을 만드는데 이용을 하는 중요한 섬유식물 이었다고 한다.16세기 까지는 침대시트, 돛대 등을 만드는데 이용을 하였다고 한다. 뿌리는 황색 염료가 되며 삶은 액은 진딧물의 살충제로도 쓰이므로 무공해 농약으로서 원예가들이 귀중히 여기는 식물이라고 한다. 다년초인 넷틀은 어디서나 잘 자라지만 반그늘진 다소 습한 땅이면서 비옥한 땅이 자라기에 좋다. 채소로 이용할때는 10~15cm쯤 자랐을때 이용하는 것이 좋다.
|
| |
|
|
|
Nutmeg / 너트멕/ 육두구 |
 |
|
|
■ 일반이름 : Nutmeg ■ 학 명 : Myristica fragrans Houtt. ■ 한글이름 : 너트멕/ 육두구 넛트맥은 예부터 서양에서 귀중시한 스파이스며 동양에서는 역시 귀중시한 육두구이다. 넛트맥은 나무 열매로서 살구나 매실처럼 핵과인데 열매의 씨의 인을 말린 것을 "넛트맥"이라 하고 씨를 싸고 있는 그물 같은 빨간 가종피를 말린 것을 "메이스"라 하여 둘다 스파이스로 쓰이는데 메이스가 더 향이 강하고 값도 훨씬 고가이다.넛트맥은 주로 소화,식용증진에 이용하며, 가스가 찰 때, 메스꺼울때 환제로도 이용을 한다.조리용은 넛트맥보다 메이스쪽이 더 향미가 좋아서 잘게 썰어 스파이스로 쓴다. 과육에는 신맛과 탄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록교목으로 재배지는 열대에 습한 해양성 기후의 배수가 잘되는 곳이 좋다고 한다.우리나라에서는 재베는 경제성이 없다고 할수 있다.
|
| |
|
| |
|
 |
|
Olive / 올리브 |
 |
|
|
■ 일반이름 : Olive ■ 학 명 : Olea europea L. ■ 한글이름 : 올리브
|
| |
|
|
|
Onion / 오니언/ 양파 |
 |
|
|
■ 일반이름 : Onion ■ 학 명 : Allium cepa L. ■ 한글이름 : 오니언/ 양파 |
| |
|
|
|
Oregano / 오레가노/ (와일드 마조람) |
 |
|
|
■ 일반이름 : Oregano ■ 학 명 : Origanum vulgare L. ■ 한글이름 : 오레가노/ (와일드 마조람) 마조람의 일종으로 와일드 마조람이라 이름하듯이 야생종에 걸맞게 강한 박하같은 톡 쏘는 향기가 특징이다.스윗트 마조람보다 향이 강하기 때문에 주로 건조시켜서 이용을 한다. 매우 튼튼하게 자라는 오레가노는 다년초로 수평으로 퍼지는 성질이 있다.더위나 추위에 강하고 병충해도 적다.포기가 무성하기 때문에 장마때나 고온다습하면 무르거나 뿌리가 썩기 쉬우므로 통풍이 잘 되게 가지를 솎아 주는것이 좋다. 오레가노는 향이 강하고 푼내가 다소 나기 때문에 생잎보다 건조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더 향기가 좋다.
|
| |
|
|
|
Orris root / 오리스루트/ (붓꽃과) |
 |
|
|
■ 일반이름 : Orris root ■ 학 명 : Iris x germanica var. florentina ■ 한글이름 : 오리스루트/ (붓꽃과) 오리스는 흰 붓꽃의 향기나는 뿌리를 가리킨 이름으로서 이 뿌리의 가루는 건조할수록 향기가 짙어지며 또 오래가므로 향붓꽃이라 말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휘발성인 향기를 고정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가루를 이용하여 포푸리를 만드는 곳에 이용을 하기도 한다.다년초인 오리스는 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다소 건한 땅이 이상적이다. 옛날에는 빨래를 한후 헹구는 물에 섞어서 향이 배게 하기도 했다고 한다.
|
| |
|
|
|
 |
|
|
 |
|
Rocket / 로케트/ 겨자과(科) |
 |
|
|
■ 일반이름 : Rocket ■ 학 명 : Eruca sativa L. ■ 한글이름 : 로케트/ 겨자과(科) 샐러드용의 향채소로서 도톰한 입을 씹으면 참깨 같은 향기와 톡 쏘는 겨자 같은 매운 맛이 입안에 가득해지는 향미로운 채소로서 비타민 C, E 가 많은 미용채소이다.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재배했던 로켓트는 지중해 연안 많은 나라 사람들에게 비타민 C를 공급하는 채소이기도 했다고 한다.겨자과의 식물로서 무우나 유채 같은 다른 겨자과 식물과는 달리 봄에 꽃이 피는 것이 아니라 늦여름의 8~9월에 꽃이 핀다.무우나 배추에 길들여져 있는 우리에게는 낯설기도 하지만 영아가가 높고 연하여 도입해 보기도 좋은 종류이다.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땅이 좋다. 일반 무우, 배추가 재배가 되는 곳이면 가능하다.
|
| |
|
|
|
Rose / 로즈 |
 |
|
|
■ 일반이름 : Rose ■ 학 명 : Rosa damascena Miller. ■ 한글이름 : 로즈 장미의 원종은 주로 북반구에 분포하고 있으며 지질학적인 사실을 떠나서 인류와 함께 한 장미의 역사는 중국이나 서아시에 등지에서는 BC3,000년 쯤에 생장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유럽에서는 장미를 Rosa 또는 Rose 등의 공통명으로 부르는데 이것은 "아리아"어의 G.K Rhodon으로서 잔가지나 꽃을 의미하는 말이었으나 고대그리스에서 붉다는 말을 붉은 장미에서 붙이 것이 나중에 장미의 어원이 되고 말았다고 한다. 장미는 꽃, 잎, 열매 등에 비타민등의 영양성분을 골고루 오늘날처럼 과일이 흔치 않았던 그 옛날 들장미의 열매는 디저트로서 즐겨 이용되었다는 바 있다. 또 로즈 힙 차는 새콤하면서도 상쾌해서 유럽 각국에서 비타민 C의 섭취방법으로 즐겨 마시는 건강음료로 이용을 하기도 한다고한다. 장미 향유 채취는 이른 아침 반쯤 피어 있는 꽃을 따서 가마에 넣고 증류하여 수증기를 냉각관을 통해 응축시킨 액을 받은 것이 장미수이다. 이물을 증류하면 장미유 또는 장미정유가 되며 이것을 냉각하여 고형화 되기 전에 떠낸다. 이 밖에도 장미는 포푸리, 꽃다발 등에 뺄 수 없는 귀중한 소재이기도 하다.볕이 강하지 않고 배수가 잘 되는 무거운 듯한 비옥한 흙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
| |
|
|
|
RUE / 루 |
 |
|
|
■ 일반이름 : RUE ■ 학 명 : Ruta graveolens L. ■ 한글이름 : 루 루는 운향이라고 하며 포기 전체에서 코를 감싸고 싶을 정도로 기묘한 향이 있다. 옛날 부터 그 강한 향기가 마취제, 자극제로 쓰였는데 다분히 벽사의 주술적인 의미가 강했던 식물이었다. 고대 로마에서는 "은총의 풀"이라는 별명도 갖고 있는데 주일날 교회에서 사제가 루의 줄기로 성수를 뿌리는 관습이 있었기 때문이다.14세기 까지만 해도 루는 만능약이라 했다 하며 약효는 아침에 딴 것이라야 효력이 있고 정오가 넘어서 따면 오히려 독초가 된다고 까지 했다.현대의학에서는 루에서 루틴이라는 물질을 추출하여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고혈압의 치료제로 썼으며 히스테리 같은 신경질환, 복통, 기침 등에 달여서 먹었다 한다.뿌리는 적색염료로도 쓰인다. 상록의 다년초로 잔잎은 숟가락 모양같다.해가 잘 드는 곳이나 반그늘에서도 잘 자라며 배수가 잘 되는 것이 좋다.씨가 떨어져서 자연히 날 정도로 재배는 쉽다.
|
| |
|
|
|
| |
|
 |
|
s / 스테비아 |
 |
|
|
■ 학명 : Stevia Rebaudiana ■ 영명 : Stevia ■ 한글이름 : 스테비아 스테비아는 70년대에 도입되어 갑자기 알려진 저칼로리 천연 감미료로 붐을 이룬 식물이다. 잎을 뜻어 맛을 보면 설탕처럼 단 맛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스테비아 잎에는 서당의 200~300배의 감미가 있는데 "스테비오사이드"라는 성분으로서 잎에서 추출 정제한 스테비오사이드는 무색무취의 결정체로 1g의 열량이 4칼로리로 낮다.당뇨병 환자의 감리료로 이용을 많이 이용을 하기도 한다.남미, 브라질이 원산지인 스테비아는 키가 60cm내외로 자라는 다년초다. 추위에 약하므로 겨울에는 비닐하우스에서 재바하면 좋다.해가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 양토가 좋다.수확기에 비에 젖으면 단 맛이 유실되어 품질이 저하된다. 일단 건조 된 잎은 성분이 변하지 않는 이점이 있으며 장기간 저장할 수 있어 좋다.
|
| |
|
|
|
Safflower / 싸플라워/ (홍화, 잇꽃) |
 |
|
|
■ 일반이름 : Safflower ■ 학 명 : Carthamus tinctorius L. ■ 한글이름 : 싸플라워/ (홍화, 잇꽃)
|
| |
|
|
|
Saffron / 샤프란 |
 |
|
|
■ 일반이름 : Saffron ■ 학 명 : Crocus sativus L ■ 한글이름 : 샤프란
|
| |
|
|
|
Sage / 세이지 |
 |
|
|
■ 일반이름 : Sage ■ 학 명 : Salvia officinalis L. ■ 한글이름 : 세이지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세이지는 약용 살비야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예부터 만병통치약이라 하여 널리 알려져온 역사가 깊은 약용식물로 오늘 날에는 건강식품 또는 향신료로서 인기를 얻고 있는 향기있는 식물이다. 세이지를 꾸준히 복용하면 죽음을 면한다고 까지 했을 정도로 아라비아의 속담에는 " 뜰에 세이지를 심은 집에서는 죽는 사람이 없다"라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또한 영국에서는 "장수하고 싶은 사람은 5월에 세이지를 먹으라" 하는 속담도 있을 정도로 유럽에서는 널리 이용이 되고 있는 식물이라고 한다."세이?quot;는 현명한 사람에게서 잘자란다고 믿고 있는데 이것은 두통, 정신적 긴장을 진정시켜서 두뇌를 명석케 해주는 데서 생겨난 것이라 한다.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육류요리에 이용하는 향신료로 이용을 많이 한다. 세이지의 엣센셜오일은 꽃이 피기 직전이 가장 함유량이 높다.배수가 잘되는 다소 건조한 듯한 토양을 좋아하는 세이지는 내한성은 있는 편이므로 중부지역까 지도 재배가 가능하다.
|
| |
|
|
|
Sesame / 씨샘/ 깨씨 |
 |
|
|
■ 일반이름 : Sesame ■ 학 명 : Sesamum indicum L. ■ 한글이름 : 씨샘/ 깨씨
|
| |
|
|
|
Southernwood / 써던우드 |
 |
|
|
■ 일반이름 : Southernwood ■ 학 명 : Artemisia abrotanum L. ■ 한글이름 : 써던우드
쑥의 일종인 써던우드는 Southern(남쪽)과 Wood(나무)가 합쳐져 만들어진 이름이다.유럽의 남부에 자생하며 목질화하는 식물이기 때문이다.쑥처럼 어린잎은 감미료와 맥주나 케익의 향미를 내는데 쓰이며, 강장효과가 있다하여 허브차로 이용을 하기도 한다. 반상록성의 다년생 저목으로 씨와 꺽꽂이로 번식이 된다.잎은 깊이 찢어져서 실같이 가늘고 다소 흐린 녹색이다.강하고 달콤한 향기가 있으며 꽃은 늦은 여름에 핀다.
|
| |
|
|
|
Star Anis / 스타아니씨드/ (오향) |
 |
|
|
■ 일반이름 : Star Anis ■ 학 명 : Illicium verum Hooker fil. ■ 한글이름 : 스타아니씨드/ (오향)
|
| |
|
|
|
 |
|
Tarragon/ 타라곤 |
 |
|
|
■ 일반이름 : Tarragon ■ 학 명 : Artemisia dracunculus L. ■ 한글이름 : 타라곤 타라곤은 미식을 즐기는 프랑스에서 허브의 여왕으로 여길 만큼 달콤한 향기와 약간 매콤하면서도 쌉쌀한 맛이 일품이어서 프랑스 요리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향신료이다.B.C 5000년 경부터 그리스인은 이 식물을 재배하고 있었다는 역사가 오랜 약초다. 지금은 약초로서 보다도 향신료로서의 위치가 더 큰데 특히 프랑스 요리의 여러가지 소스에 긴히 쓰인다.또 차이브스,차빌, 파세리와 함께 탈라곤을 섞어서 만드는 Findes herbes 재료의 하나이기도 하며, 닭, 생선등의 요리에 잎사귀 하나마 넣어도 완전히 맛을 바꾸어 놓을 만큼 신비한 향신료이다.탈라곤은 이밖에도 산화방지와 살균작용이 있어서 위에도 좋다고 한다. 잎은 버들잎처럼 좁고 갸늘하며 윤기가 있고 짙은 녹색인 다년초이다.다른허브와 같이 배수가 잘되는 가벼운 흙이 좋고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탈라곤은 건조 외에 올리브유, 버터, 과일식초 등에 담그어서 저장하는 방법도 있고, 냉동으로 간단하게 보관할수 있으므로 이 방법도 무난하다.
|
| |
|
|
|
TEA-TREE / 티트리 |
 |
|
|
■ 일반이름 : TEA-TREE ■ 학 명 : . ■ 한글이름 : 티트리
|
| |
|
|
|
Thyme / 타임 |
 |
|
|
■ 일반이름 : Thyme ■ 학 명 : Thymus vulgaris L. ■ 한글이름 : 타임
타임은 일명 사향초라고 하며 향료 및 약용식물로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타임은 서양요리에 널리 쓰이는 향미료인 만큼 식물은 생소하더라도 그 향기는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우리나라에도 타임과 같은 식물인 백리향과 섬백리향이 자생하고 있으며 타임유 특유의 고상한 향기를 지녔지만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 할 만큼 흔하지는 않다.타임의 햑명 Thymus는 그리스어의 thuo 즉 "소독한다"에서 비롯된 어원이라 풀이하고 있다.이 식물에는 티몰이라는 살균력이 있는 정유를 함유하고 있어서 고대 그리스나 로마사람들은 약용외에 치즈의 맛을 내는 부향제로 사용했으며 방부력도 있어서 보존제로도 쓰였다고 한다.타임차는 옛부터 약효가 뛰어난 음료로서 널리 이용된 것 중의 하나이다. 타임에서 추출한 티몰이라는 정유는 살균, 방부뿐 아니라 gram 양성균에도 항균작용이 있어서 감기나 기침 등 호흠기 질환에 진해제와 함수제로 효과가 있으며 외과의 소독용으로도 이용된다. 다년초인 타임은 줄기가 목질화되는 성질이 있어서 소관목으로 보기 쉽다.많은 품종이 있으나 크게 나누면 타임은 융단처럼 퍼지는 포복형과 30m정도 높이로 곧게 서는 형으로 나눌수 있다.고온과 건조에도 강하나 과습에는 약하다.
|
| |
|
|
|
Turmeric / 터메릭 |
 |
|
|
■ 일반이름 : Turmeric ■ 학 명 : Curcuma domestica Valet. ■ 한글이름 : 터메릭 터메릭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황색염료이다.고대 중아시아에는 태양을 숭배하는 아리안족이 있어서 황금색이나 노랑색을 태양빛과 닮았다하여 신성시 했다고 한다.그들은 터메릭으로 제사나 의식때에 쓰는 식품과 몸을 염색하는 염료로 쓰게 되었다 하며 아주 귀중히 여겼다고 한다.인도나 인도네시아에서는 아득한 옛날부터 음식의 착색뿐 아니라 명주나 무명을 노랗게 물들이는 데도 쓰였다.터메릭 염색은 색조가 곱고, 순도가 높으며 염색도 쉬웠으므로 매염제가 필요치 않아 고대 문명 국가들이 즐겨 이용했다. 이것은 또한 지방의 소화흡수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므로 기름진 음식의 향신료로 쓰이기도 한다. 잎에는 양하 같은 향기가 있으므로 쌀이나 감자류로 만든 과자를 잎으로 싸서 지거나 삶으면 향이 배어서 맛있으며 생선 스프에 넣어도 좋다.다년생 초본으로 고온에 해가 잘 들고 강우량이 많은 기후를 좋아한다. 인도에서는 심은 후 9~10개월이 지난후에 수확하지만 우리나라는 추위가 오므로 늦가을에 잎이 누렇게 될때 파내어 수확하는 것이 좋다.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