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놀이와 사물놀이, 그리고 사물놀이에서 사용되는
네 가지 악기에 대해서 하나씩 차례차례 말씀해 드리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그 첫 번째 순서로, 오늘 이 시간에 말씀드릴 주제는 풍물놀입니다.
풍물놀이는...우리가 흔히 농악이라고 말하는 것이죠.
여러 타악기와 태평소 등으로 연주하는데요. 마을의 제사나, 농사일을
할 때 놀던, 우리 전통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풍물놀이는 음악뿐만 아니라, 춤과 놀이도 함께 하는,
그러니까 종합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겠어요.
풍물놀이는 그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요.
우선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당산굿,
걸립패들이 집집마다 돌면서 고사도 지내고 농악도 연주하는 걸립굿,
농부들이 패를 짜서 김을 매거나 호미걸이를 할 때 하는 두레굿,
그리고 마을 사람들의 구경거릴 위해 춤, 놀이 등과 함께 하는 판굿,
이렇게 종류도 다양합니다.
풍물놀이가 언제부터 우리 사회에서 뿌리내리게 되었는지
그 발생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요.
아마도 농사를 짓고 여러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살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전통은 시작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풍물놀이가 근본적으로 두레와 품앗이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적 문화 전통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네요.
풍물놀이는 다른 민속음악이나 놀이처럼, 지역적인 특색이 강한데요.
크게는 경기농악, 영동농악, 호남우도농악, 호남좌도농악, 경상북도농악,
경상남도농악으로 나뉩니다.
또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는 농악에는, 평택 평궁리농악, 부여 추양농악,
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강릉농악 등이 있습니다.
이윤경의 국악사전, 오늘은 농악과 같은 의미를 띄는 풍물놀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농악은 일제 때 일본사람들에 의해서 만들어졌다죠.
원래 우리말 풍물이란 말이 더 맞는 말이라고도 하는데요.
우리민족의 역사와 함께 힘찬 맥박으로 살아 숨쉬는,
우리 전통예술임에 틀림없을 것 같습니다.
# 제 1부 '바람의 소리 징'
- 징의 역사와 사물놀이에서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본다.
- 징의 제작과정과 장인과 연주가가 이야기하는 명품은 어떤 것인지
알아본다.
- 징의 맥노리 현상과 징의 울림은 어떤 주파수를 갖고있는지 그리고
중국산징과 소리의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 제 2부 '비의 소리 장구'
- 사물장구 이전의 장구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 사물놀이에서 장구의 역할과 쓰임
- 장구의 궁편과 채편의 가주파수 분석
- 장구의 제작과정과 장구의 변화 앉은반 장구와 설장구 소리비교
- 중국산 장구와 소리비교
# 제 3부 '천둥소리 꽹과리'
- 꽹과리의 다양한 연주기능과 사물놀이에서 꽹과리의 역할
- 꽹과리 소리를 듣고있을 때 사람의 심박동 변화를 알아보고 꽹과리의 주파수 실험을
통해 소리를 분석한다.
- 꽹과리의 제작과정과 금, 은을 첨가해서 만든 꽹과리등 여러 악기들의 소리비교
- 전자 사무놀이 소리재현
# 제 4부 '구름의 소리 북'
- 한국인에게 북은 어떤 의미를 갖고있나
- 북의 역사 사물놀이에서 북의 역할
- 북 제작과정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소리가 어떻게 다른지 사물북과
전통북의 소리 비교, 외국 북과의 소리비교
- 북소리를 듣고있을 때 심박동의 변화(이완의 효과),
북소리의 주파수 실험을 통해 소리분석
- 사물놀이의 미래
5. 인터뷰 내용
- 사물놀이의 기원과 탄생의 의미
- 풍물과 사물놀이의 차이점
- 사물놀이의 우수성
(외국의 타악기로 구성된 기악곡과 비교,
산조형식을 갖고있는 가락의 특징 등 )
- 각 사물악기의 의미
- 한국인에게 북의 의미
- 사물놀이의 변화와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