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아동문단의 발자취2 (기존 자료에서 ~2022년까지 보충)
1972년 3월: 부산아동문학회 창립.
회장:박돈목, 정진채
김종목<김향>, 선 용, 주성호 등이 참여
1973년 2월 10일: 부산아동문학회 재발족.
회장: 정진채, 이주홍
조유로는 고문으로 모시고 심군식, 김상련, 공재동,
안수희, 김용석, 박원돈, 이금옥, 황하주, 최향숙 등
이 합류하여 명실상부 지역 아동문학가들의 통합으로
출발함.
1973년 5월: 제 1회 부산어린이 글잔치 개최(74, 75년에도 봄, 가을에도
연간 2회 실시)
1973년 9월 10일: 회지 창간호 <부산아동문학> 출간
(제자:이주홍, 표지화:조유로)
1974년 2월:<부산아동문학> 제 2집 발간
1976년 7월 20일:회지 제3집 <모래성>발간, 회장: 심군식
1976년 9월:<모래성> 출판 기념회, 전포동 청다방, 프린트판 회보 발간
1976년 10월:전남, 경남, 부산아동문학인들의 단합대회-부산 산성마을
1977년 5월:어린이를 위한 순수문예지 <어린이 문예>창간,
부산문화방송국
1977년 9월 16일: <부산아동문학가협회> 창립 총회,
기존의 부산아동문학회와 새로 창립한 부산아동문학가
협회로 양분됨
1977년 9월 20일: 전남, 경남, 부산아동문학인 배구대회, 두 개의 단체로
각각 참여함.-경남 마산
1979년 7월 17일: 부산아동문학상(현 부산아동문학 작가상) 제정.
제 1회 수상자- 선 용.
1977년~1982년: 부산아동문학가협회의 활동이 활발함
회보21호까지 발간, 회지<하얀 뱃고동>,<꿈꾸는 섬> 등 발간
부정기 간행물 <문학소년> 출간.
1981년 5월: 해강아동문학상 제정, 제1회 수상자-정영태.
1981년 10월: 이주홍아동문학상 제정, 제 1회 수상자-박홍근
부산수산대학교에서 시상식 개최함.
1983년 12월 3일: 향원다방에서 <부산동시전> 개최, 부산아동문학회와
부산아동문학가협회 회원 36명이 참여하여 시화전을 열게됨.
1984년 9월: 향파 이주홍 대한민국문학상을 수상함. 온천장에서 개최한 축하연에
안수희, 김상남을 비롯한 양 단체 회원들이 자리는
함께 하였고, 통합에 대한 의견들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짐.
회 명칭은<부산아동문학협회>로 하고 이주홍을 회장으로 추대함.
1984년 12월 22일: <부산아동문학협회> 총회 및 연간집 <무지개 뜨는 바다>
출판 기념회 개최, 카톨릭회관.
1985년 3월: 통합 창립 소식을 전하는 회보 제 1호 발간.
1987년 1월: 이주홍 회장 별세.
1987년 2월: 임원 재선출, 회장:안수희, 부회장: 김상남.강현호,
상임이사:민홍우.
1987년 6월 28일: 부산, 경남, 전남 아동문학인들의 남도문학인
배구대회 개최-부산교육대학교 운동장.
1988년 8월: 안수희 회장 별세.
1989년 1월: 정기총회에서 새 회장으로 강현호 선출
1993년: 등나무집 정기총회에서 <부산아동문학인협회>로 회 명칭 변경.
2005년 12월: 정기총회에서 새 회장으로 선 용, 사무국장 김인봉 선출
2007년 12월:정기총회에서 새 회장으로 김문홍, 사무국장 한정기 선출
2008년 5월 29일 부산아동문학회보(28호 발간)
*<부산아동문학사>, (부산문인협회 97,12. 소문출판사)p318 부산아동문학사 참조.
★소민호 집행부 (2010~ 2012)
2009년 12월 16일 정기총회(연산동 해암부페)에서 3년 임기의 임원진 선출
회장 : 소민호 부회장 : 서하원, 황미숙
사무국장 : 김승태 재무간사 : 안덕자 출판간사 : 박미경
홍보간사 : 양경화, 박성철 정보간사 : 김춘남
신입회원 인준 : 안미란,신동숙,최영숙,한미화,조윤주
2010년 2010/10월 제4회 서덕출 문학상 수상자 박선미 선정, 동시집 <불법주차한 내 엉덩이>
2011년 신입회원 입회 : 이순영, 김현경(동화), 하 빈(동시)
2012년 신입회원 입회 : 이미영, 강경숙, 정수연(동화 3명), 9월 입회 윤자명(동화)
3월 13일 부산남부교육청에서 재능기부<토요동시교실> 협약식 체결
3월 25일 일요일 향파묘소 참배(22회) 28명 참석, 정관면 병산 <하늘 아래 첫동네>
2012년 5월22일 어린이글잔치 시상식 거행(이주홍문학관) 오후 5시
2012년 5월 25일(금) 이주홍문학상 아동문학부문 박지현
2012년 11월 26일 제4차 이사회(신입 인준:엄성미(동화), 김진숙(동시)
2012년 12월6일(목) 이주홍문학관에서 오후 5시30분에
제34회 부산아동문학상(동화 : 허명남)과
제15회 부산아동문학신인상 당선자(동시:박민애, 동화:유영주)
★손수자 집행부 (2013년~2014년)
2013년도 12월 정기 총회에서 차기 회장단과 사무국이 구성되었습니다.
회장:손수자, 부회장:김영호, 안덕자
사무국장:김춘남, 사무차장:양경화, 재무간사:김자미,
출판간사:한 아, 정보간사:최 명, 홍보간사:조무호
2013년 어린이회관 동시 동화의 길 전시
2013.5. 부산아동문학 페스티벌
2013.5 찾아가는 아동문학 교실
2013.10 가을문학기행(창원 이원수 문학관, 고성 동시 동화의 숲)
2013년 11월11일(월) 제4차 이사회 개최(서면 남대문 한정식) : 16명 참석
신입회원 인준(동시 : 이서영/천강문학상 동시 당선, 동화 : 김현정/창주문학상 동화 당선, 강미정/2012불교신문 신춘문예 동화 당선)
2014년 1월 2일 강구중 고문 별세 (향년 74세) /제7 동심시집 <고향은 지도 위의 한 점> 발간. 세종출판사. 2013.
2014년 1월 7일 주성호 이사 별세 (향년 68세)/ 부산아동문학인협협장으로 영결식 거행(1월 9일, 맑음, 대동병원)
2014년 5월 16일 동시인 이세경 선생님 별세
2014. 어린이 날 부산아동문학 페스티벌
214.10 가을 체육대회
2014년 12월 22일(월) 해암뷔페 오후 6시, 총회, 66명 참석
회장 :김영호, 부회장 : 허명남, 오선자, 감사 : 김자미, 하 빈, 사무국장 : 김미숙 /회칙 개정
2015년 수고해 주실 회장단과 사무국이 구성되었습니다.(이하 존칭 생략)
★김영호 집행부 (2015~2016)
회장: 김영호(동화) 부회장: 오선자(동시) 허명남(동화)
사무국장: 김미숙(동화) 사무차장: 최혜진(동화) 재무간사: 정미혜(동시)
출판간사: 한아(동화) 정보간사: 박경효(동화) 홍부간사: 강기화(동시)
신입회원/ 동시 : 김현수, 윤 여(본명 영호), 동화 : 이마리, 박미정
2015.5 부산아동문학 페스티벌
2015.5 어린이회관 동시 동화의 길 전시
2015.4 기장 빛 물 꿈 학교 (부산시 교육청 주관,기장 군청 후원)
2015.6.29 최영희 작가 별세
2016.10 가을 독서문화 축제 협업
2016. 가을 문학기행(창녕 우포늪)
★구옥순 집행부 (2017~2018)
구옥순 회장님, 한정기,김승태 부회장님, 이자경 사무국장님
양경화 재무간사님, 강기화 출판간사님
주순옥 정보간사님, 박미라 홍보간사님
2017.5.5 부산아동문학 페스티벌
2017.5 어린이회관 동시 동화의 길 전시
2017.10 가을 독서문화 축제 협업
2017. 가을 문학기행(청도)
2018. 부산아동문학 페스티벌
2018 어린이회관 동시 동화의 길 전시
2018. 가을 독서문화 축제 협업
2018. 가을 문학기행(경주)
★한정기 집행부 (2019년 ~2020년)
한정기 회장, 김춘남 부회장, 정미혜 부회장
한 아 사무국장, 황선애 사무차장, 박미경 재무간사
김정애 출판간사, 전자윤 정보간사, 김현정 홍보간사
2019. 부산아동문학 페스티벌
2019. 어린이회관 동시 동화의 길 전시
2019.11 동동동BOOK을 울려라(감만 창작촌)
2020. 작가아 함께하는 행복한 북토크(부산교육청 사업)
★김승태 집행부 (2021년~2022년)
회장: 김승태, 부회장: 이상미, 이자경
사무국장: 양경화 사무차장:박미라
재무간사: 최현진 출판간사: 한세경
정보간사:박그루 홍보간사: 홍정화
2021. 작가와 함게하는 행복한 북토크(교육청 연계사업)
2021.창비 부산 부산작가의 서재
2022. 작가와 함께하는 행복한 글쓰기(교육청 연계사업)
2022.5. 부산창의영재교육관 아동문학페스티벌
★통합 단체 후 회장 명단
이주홍(1984~)
안수희(1987-)
강현호(1989-)
최만조(1991-)
민흥우(1992-)
공재동(1993-)
김상남(1995-)
박지현(1997-)
강구중(1999-)
박일(2001-)
주성호(2003-)
선용(2005-)
김문홍(2007~2009)
소민호(2010~2012)
손수자(2013~2014)
김영호(2015~2016)
구옥순(2017~2019)
한정기(2020~2021)
김승태(2021~2022)
★통합 단체 후 연간집 발간
1984, 무지개 뜨는 바다
1986, 꿈이 피는 바다
1987, 해가 사는 바다
1989, 별이 내리는 바다
1990, 은빛 흐르는 바다
1991, 꿈이 자라는 바다
1994, 동백섬 아기 바람
1995, 바닷속 작은 마을
1996, 바다를 담은 풍선
1997, 바다와 해바라기
1998, 반딧불이 사는 바다
1999, 꿈이 열리는 바다
2000, 바다로 소풍가는 우주선
2001, 해를 삼킨 아이
2002, 걸어다니는 바다
2003, 바다 일기
2004, 햇살 내리는 바다
2005, 독도가 떠 있는 바다
2006, 바다라는 책
2007, 을숙도 아침
2008' 숨은그림 찾기
2009' 교실 안 풍경
2010년 '바다 속 풍경
2011년 '인어와 고래?'
2012년 교실 안 풍경
2013년 무지개를 풀어라[해성]
2014년 빗방울의 덧셈[해성]12월 17일 발간
2015년 봄을 파는 가게, 그후 이야기
2016년 빨간 신호등
2017년 별이 열리는 나무
2018년 사거리 팬시점
2019년 하늘 깨뜨리기
2020 털머위꽃
2021 모험을 떠나는 단추
★부산아동문학작가상
제1회 1961년 이영찬
제2회 1962년 손동인
제3회 1963년 국제신문(단체상)
★부산아동문학상
제1회 1979년 선 용
제2회 1980년 안수휘
제3회 1981년 김용석
제4회 1982년 노금섭, 민홍우
제5회 1983년 박지현
제6회 1984년 강현호
제7회 1985년 최만조
제8회 1986년 윤옥자
제9회 1987년 최향숙
제10회 1988년 주성호
제11회 1989년 최영희
제12회 1990년 이국재, 곽종분
제13회 1991년 최장길, 이금옥
제14회 1992년 김종완, 배홍태
제15회 1993년 손수자, 성성모
제16회 1994년 박안숙
제17회 1995년 배소현
제18회 1996년 강구중
제19회 1997년 서하원
제20회 1998년 배혜경
제21회 1999년 이상문
제22회 2000년 류석환
제23회 2001년 오선자, 오정임
제24회 2002년 소민호
제25회 2003년 김종순
제26회 2004년 손월향
제27회 2005년 구 용
제28회 2006년 김승태(동시집:그런 재미 모를거야)
김인봉(동화 : 돌이 된 머슴)
제29회 2007년 한정기(장편동화『플루토비밀결사대2 팔색조의 비밀』-비룡소-)
제30회 2008년 김상곤(동화집, 웅어의 전설-해성-)
제31회 2009년 윤동기(동시집, <소 모는 아이>-아동문예-)
제32회 2010년 최경희(동화집, <꽃물요정>-아동문예-)
제33회 2011년 5월 26일 구옥순(동시집, <오른손과 왼손)
제34회 2012년 5월 22일 허명남(동화집 <사라진 김서방을 찾아라>) : 협회보 제32호(2012/5.22발행)
제35회 2013년 5월 23일(목) 정갑숙 동시집 <말하는 돌> 협회보 33호
제36회 2014년 6월 12일(목) 김춘남 동시집 <앗, 앗, 앗>
제 37회 2015년 양경화 못골 뱀학교
제 38회 2016년 안덕자 아빠와 나의 행복한 방
제 39회 2017년 김영호 개를 찾아라, 김자미 달복이는 힘이 세다
제 40회 2018년 정미혜 꼴뚜기의 의리, 최미혜 앵무새별에서 온 무무
제 41회 2019년 신주선 귀신 은강이 재판을 청하오, 김정순 혼자가 아니야
제 42회 2020년 안미란 동동이 실종사건
제 43회 2021년 박선미 먹구름도 환하게, 이자경 거북이가 간다
★부산아동문학신인상
1998, 제1회 동화부문 황미숙, 동시부문 김승태
1999, 제2회 박혜자, 박선미
2000 제3회 허명남 (없음)
2001 제4회 이자경 이민화
2002 제5회 안덕자 박정숙
2003 제6회 배영순 (없음)
2004 제7회 (없음) 조무호
2005 제8회 우경신 (없음)
2006 제9회 동화 : 강 숙 (꽃씨를 품은 강물) 동시 : 정미혜 (낚시 외 5편)
2007 제10회 동화부문 (없음) 동시 : 김자미(5월의 숨바꼭질 외 2편)
2008 제11회 동화 : 양경화(고양이 사진사) 동시 : 주순옥(왠지 미안해 외 5편)
2009 제12회 동화 : 곽미영(지붕 위의 고물자전거 외 1편) 동시 : 김성애(봄 외 4편)
2010 제13회 동화 : 정희경(나무가 된 나무의자 외 1편) 동시 : 이범숙(까치집 외 4편)
2011 제14회 동화 : 황선애(엄마는 얼리맘) 동시 (없음)
2012 제15회 동화 : 유영주(노거수 은행나무) 동시 : 박민애(다슬기와 나사못 외 4편)
2013 제16회 동화 : 최미정(교환일기) 동시 : 당선작 없음
2014 제17회 동화 : 정현정「강아지꽃이 피는 나무」
2015 제18회 동화 :김정애 <아기 여우와 괴물 울퉁불>, 동시: 홍정화 <엄마밥>
2016 제19회 동화 :김영주 <H마트 시식 원정대>
2017 제20회 동화 :박그루 <까쥬의 보물창고>
2018 제21회 동화: 김수연 <우리는 비밀동지> 동시:전자윤 <할머니의 공책>
2019 제22회 동화: 정현진 <상자를 풀지 않은 아이> 동시: 김대성 <풀꽃> 2020 제23회 동화: 정영혜 <누리끼리와 멋진 수색견>
2021 제24회 동화: 지숙희 <캣 드림빌 옥탑방> 동시:오라경 <5월>
♣자료제공: 주성호 전 회장.집행부~ 김승태 회장 집행부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