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2호 |
북이면 영농정보지 (카페 : http://cafe.daum.net/shdalstkdeka) |
발행일: 2009. 6.15(월) (매월1일,15일, 2회발행) |
발행인: 상담소장 노대우 ☎ 사 043-251-4394 핸 010-8841-0975 |
벼농사 분야
1. 벼 생육단계별 논물관리
생육시기 |
물대는 요령 |
물깊이(㎝) |
효 과 |
활착기 |
깊게 댈 것 |
5~7 |
식상경감, 증산억제, 활착촉진 분얼촉진 |
분얼성기 |
얕게 댈 것 |
2~3 |
분얼촉진 |
무효분얼기 |
중간물떼기 (출수전40 ~ 30일)(5 ~ 10일간) |
0 |
무효분얼억제, 유해물질 제거 도복방지 |
수잉기 |
물 걸러대기 (출수전 30 ~ 출수기) (3일 관수, 2일배수) |
2~4 |
뿌리기능 촉진, 유해물질 제거촉진 |
2. 벼 병충해방제
가. 벼 잎도열병(예보)
○ 일찍 모낸 논에서는 새끼치기 거름효과가 나타나는 시기임
○ 거름끼가 많은 논에서 비가 자주 오면 발생하기 쉬움
○ 잎이 짙고 아래로 처지는 논에서는 침투이행성 약제로 예방
○ 병무늬가 나타나는 논은 비가 개인 틈을 이용 적용약제를 뿌려줌
- 적용약제
․수화제 : 올타, 라브사이드, 다코스, 동부베노밀, 베노밀골드, 아미스타,
영일아족시스트로빈 등
․입 제 : 다수왕, 두베로, 오리단, 농자왕, 후지왕, 카메나, 투캅스,
알알이, 무사미, 뉴명콤비 등
나. 벼 물바구미(예보)
○ 5월부터 성충이 모낸 논에 벼 잎을 가해하고 6월 하순부터 유충이 벼 뿌리를 잘라서 벼의 자람과 새끼치기를 억제함
○ 육묘상자에 모내기 당일 입제 농약을 처리하거나, 모내기 당일 방제를 하지 못한 농가에서는 모낸 후 2주경에 적용 약제를 뿌려줌
- 적용약제
․상자처리입제 : 듀엣, 다카바, 상자탄, 자스, 해오름, 리베로, 카메나, 칼립소, 리전트, 뉴명콤비, 신드롬, 풀코스, 온콜, 후라단, 큐라텔 등
․모낸 후 2주경 : 큐라텔, 트레본, 두레, 마샬, 쌀지기, 박멸탄, 대쉬, 영의정 등
다. 벼 이화명나방(예보)
○ 연 2회 발생하며 월동한 성충은 6월 상순이 최성기임
○ 1화기와 2화기로 나누어 방제를 실시하는데 1화기 방제적기는 발아 최성일후 11~17일 사이로 6월 중순경에 해당함
○ 발생이 우려되는 논에서는 벼물바구미와 동시방제가 가능한 적용약제를 뿌려줌
- 동시적용약제 : 큐라텔, 박멸탄, 마샬, 쌀지기, 대쉬, 청실홍실 등
3. 왕우렁이 사후관리
○ 물관리 : 높은곳은 제초작업 않됨, 낮은곳 벼잎이 물에 잠겨 왕우렁이 먹이가 됨
○ 가지거름 : 화학비료 사용시 논물 2~3회 물갈이 한후 방사, 질소가스 발생시 왕우렁이 폐사 위험
밭농사 분야
1. 고추 역병.탄저병(예보)
○ 역병은 토양전염성병으로 물 빠짐이 나쁜 밭에 빗물에 의해 전염됨
○ 배수구 정비를 하고 역병에 걸려 시드는 포기는 뽑아 없앤 후 적용약제를 뿌려줌
○ 탄저병은 연작하거나 밀식하여 통풍이 잘 되지 않을 경우 병에 잘 걸림
○ 장마가 오기 전 적용약제를 잎 뒷면까지 충분히 묻도록 뿌려주고, 방제시기를 놓쳤을 때는 비가 그치는 대로 바로 적용약제를 뿌려줌
- 동시적용약제 : 포룸만, 균자비, 포리오골드, 세이브, 오티바, 오비바옵티, 앙콜, 크린힛, 캐스팅, 카브리오팀, 후론사이드, 모두랑 등
2. 참깨병해충 방제
○ 역병(리동밀, 산도판 등), 잎마름병(안트라콜, 프로피, 다코닐 등)
3. 콩밭관리
○ 본엽 5~7매때 순치기와 북주기 같이 실시
4. 대학찰옥수수 관리
○ 추비(본엽 7~8매시) : 요소 30kg,가리 20kg/10a당 혼합시용 → 겹순제거 실시
○ 키가 1m 정도 자랐을 경우 카보 입제 등을 생장점 부위에 소량 투여
재배면적이 클 경우 비료살포기로 약제 살포를 하면 생력화 가능
※ 다량 투여 시 약해발생 우려 (불임우려)
5. 땅콩밭 관리
○ 첫꽃 필때 : 진딧물약 필수 방제
○ 병충해방제 : 갈색무늬병, 검은무늬병(흑반병), 그물무늬병
- 6월 중순이후 10일 간격으로 보호살균제 살포
- 다코스,두루다,베노밀,벤레이트,바이코,톱신엠,코사이드,쿠퍼,다코닐 등
※ 방제 소홀시 여름철 장마기 후 병발생 확대되어 땅콩품질 및 수량감소
6. 과원병해충 방제
○ 사과 점무늬낙엽병(예 보)
- 5월 하순부터 발병하고 6월에 증가하기 시작하며, 고온 다습한 시기인 7월 하순~8월 중순에 많이 발생
- 적용약제 : 델란, 푸르겐, 보가드, 살림꾼, 바이코에이, 유닉스, 젤존, 스트로비, 해비치, 돌풍, 실바코, 프리트, 에이플, 포그탄, 참조네 등
○ 배 : 겹무늬병, 심식충류, 가루깍지벌래, 복숭아순나방(아타라, 아세타미프리드)
○ 복숭아 : 잿빛무늬병, 흑성병, 탄저병, 세균성구멍병(안트라콜, 벨쿠트 등)
- 심식나방,굴나방,유리나방,응애류(닛소란, 메치온, 디디브이피, 보라매 등)
※ 기타사항 : 2010년 산업기능요원 모집/09년 6.15~6.30(15일간) 전화문의 251-4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