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을 쓰기전에 많은 정정과 잘못 판담됨이 있다는것을 먼저 말하면서
가능한 객관적인 자료에 준하여 쓴다는것을 말한다
또 잊어져 가는 역사의 한 편이 아쉬워 이글을 쓰는 것이다
단 많은 자료를 수집,정리를 하지 않고 썼음을 이해를 바라는 것이다




구댐완공시 상판이 유수로 인해 유실되었으며 지금은 땜 교각의 기둥도 없는 상태다


섬진강댐이 건설되기 이전 일제 강점기에 건설한 운암제가 (지금 구댐)
현 섬진강댐 2Km앞 현 행정주소 정읍시 산내면 종성리 835-7번지 앞) 있었다
위 사진은 지금의 섬진강댐 완공후 물이 빠진상태에서 구댐의 잔존물이 온전한 상태(현재 보기에는 물을 저장하는 보로 보임 현재는 위 사진의 흔적이 없다)일때 촬영된것 같고
밑에 적은 사진은 그당시 만수때 방류하는 사진으로 생각된다
윗 사진과 밑에 적은사진을 비교 하자면 삼각형콘크리트는 물흐름의 보를 잡아주는기둥이고 위 상판이 소실된 상태
같으며 상판을 놓았던이유는 그 당시 일본 천왕인 싸이또가 쓴 "운암대제" 친필글씨의 존경함이라는 생각과
댐 운영상의 문제해결을 위함이지 결국 우리 민족의 농사를 생각한것이 아니다 생각이 된다 산새의 지형적으로 봐서.
그당시 일본이 한국을 침략한 근본을 보면 식량 부족 해결을 해 보려는 것으로 볼때 운암제를 이용하려 함이다
전라북도를 서 남류하여 흐르는 동진강유역의 대부분이 평야지대로 김제평야,호남평야 한편으로는 서해안 해안선
일대가 간척이 가능한 평야지대임을 그들은 그당시 남의 땅인데도 우리보다 더 잘알고 있었던 것이다
한마디로 부안의 계화도를 그당시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동진강은 자체 유량이 적어 관계용수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수자원이 풍부하고 지형이 높은 섬진강물을 유역변경
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1925년 8월 동진수리조합을 설립하고 같은해 11월 동진강유역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운암제 공사를 착수하여 1928년 12월에 준공하여 이듬해 4월부터 운정리 운암취수구와 방수로를 통해 동진강유역으로
물을 보냈으며 3년뒤 1931년 10월 칠보취수구및 6.2Km 도수터널을 뚫어 유효낙차를 이용한 남한 최초의 수력발전소인 운암 발전소(칠보 발전소)를 건설하게 된다

정읍시산내면 종성리에 있는 구댐의 흔적





산내면 마을에서 터널을 파서 모래와 자갈을 확보하여 철로를 이용 운반하여다 한다 ---마을 원로






오준이가 쓴 "운암호" 라는 글씨와 하단에 공사 시공일과 준공일이 각인 되어 있음
이 기년비는 땜 시작지점이고 땜 끝 부분에는 바위에 "운암대제" 라는 글씨가 각인되어 있는데
그당시 일본 사이또 천왕의 친필이 글자당 1m 크기로 각인 되어 있다 한다
이사진 찍기전에도 일본인 사학자들이 왔다 갔다는 현지인이 귀뜸해주었다


하단부에 기공일 단기 4258 년11월 준공 4262년 11월 공사비 2백5만원 라고 각인으로 표기되어있음
첫댓글 숨겨진 역사 이야기,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