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2015 자판의 설계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자판과 구체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일단 미루어 두고, 큰 특징을 살펴 봅시다.
우선, 1번 특징은 팥알님의 3–2011 및 3–2012 배열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모음 ㅓ의 빈도가 ㅐ보다 높고, ㅒ의 일관성 있는 입력을 위함입니다. 이 자리 바꿈이 왼손 검지의 이동 거리를 늘린다는 지적도 있습니다만, 저의 분석으로는 이로운 효과가 더 많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3–2011이나 3–2012 항목을 참조하세요.
2번 특징은 순아래 입력을 위한 것이며, 또 갈마들이 방식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함입니다. 한글문화원에서 제안한 314 배열에서도 부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3번 특징은 별게 아닌 것 같고 괜히 불편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받침 ㅎ이 ㄷ에 비해 자주 나오기 때문에 3–90이나 3–91 배열에서도 윗글쇠 없이 입력하도록 한 것인데, 모두 윗글쇠 없이 입력할 수 있다면 내려오는 것이 맞습니다. 실제로 무시하기 힘든 효과가 있습니다.
위의 자판만으로도 순아래 입력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겹받침을 모두 윗글쇠를 눌러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두 가지 규칙을 추가한 것이 3–2015 자판의 정식 배열입니다.
1번 규칙은 연타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손의 부담을 많이 덜어 주고, 바로 옆 글쇠와 동시에 눌러 빠르게 칠 수 있으며, 모아치기도 편해집니다. youknowone님이 제안하신 세벌식 최종 순아래 자판의 아이디어를 가져왔습니다.
2번 규칙은 신경쓰지 않고 그냥 타이핑해도 자연스럽게 예전처럼 겹받침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윗글쇠를 누르는 것이 꼭 바람직한 일은 아니지만, 일부 겹받침은 글쇠를 두 번 누르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겹받침의 배치는 최대한 세벌식 3–91(최종)을 따랐습니다. 가장 사용 인구가 많은 것이 세벌식 3–91 배열이고, 겹받침의 위치는 재조정해도 입력 속도나 피로도에 아주 미미한 영향만을 줍니다. 그렇다면 잘 외워지지도 않는 겹받침은 최대한 손에 익은 위치에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머지 세 겹받침은 워낙 빈도가 낮아서 남는 자리에 배치했습니다. 사실 어딨는지 몰라도 입력에는 지장이 없구요.
윈도우즈: 날개셋 한글 입력기를 설치하신 후 아래의 .ist 파일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팥알님의 블로그에 불러오는 방법이 있습니다.
리눅스: Ubuntu 계열의 경우, sudo add-apt-repository ppa:createsc/3beol 명령을 통해 저장소를 추가하고 libhangul 패키지를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팥알님의 블로그에 있습니다. #1 #2 #3
OS X: 준비 중입니다.
웹에서 사용해 보기: 팥알님께서 온라인 한글 입력기로 구현해 주셨습니다.
세벌식이 두벌식보다 효율적이라고 얘기하려면 첫째로 빠르고 둘째로 덜 피로하다는 얘기만 하면 되는데 아직도 사반세기 동안 창제 원리가 어쩌고 도깨비불 어쩌고 하고 있으니 참 딱한 노릇입니다. 이것은 충분한 실험 결과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량적으로 자판을 분석하지 못하는 데도 그 이유가 있습니다. 한국에서 자판의 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국내의 연구는 유독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드보락 시절의 분석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그래서, 영문 자판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사용하는 carpalx 모델을 발전시켜 비합리성을 최소화하고 인체공학적 안배를 통해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습니다. 자판의 정량적 분석 및 최적화를 위해 사용한 모델을 링크해 둡니다. 1 2 3 4 5
비록 이 모델이 속도를 예측할 수는 없지만(실험으로 뒷받침해야 하는 부분이겠죠), 자판의 피로도는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경험적인 파라미터가 들어 있고 임의성이 어느 정도 있지만, 하나의 지표는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읽기에 앞서서 한 가지 유념해 두실 것은, 피로도의 절대적인 값은 의미가 없고, 상대적인 차이만 의미가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두벌식의 피로도가 2.5가 나오고 세벌식 3–91의 피로도가 2.0이 나왔다고 해서 세벌식이 두벌식보다 20% 덜 피로하다고 말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하지만 위의 상황에서 3–2015의 피로도가 1.5가 나왔다면, 그 때는 3–91이 두벌식에 비해 덜 피로한 만큼 3–2015가 3–91에 비해 덜 피로하다고는 말할 수 있습니다.
우선 손의 이동에 의한 피로입니다(carpalx 모델의 base effort에 해당).
이 항목이 측정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두벌식이 전체적으로 이동 거리가 낮은 것이 눈에 띕니다. 숫자 자리 글쇠를 사용하지 않고 세 줄만 사용하니 당연하겠지요. 여기서는 3–2015의 장점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다음은 글쇠 위치에 따른 피로입니다(carpalx 모델의 penalty effort에 해당).
이 항목이 측정하는 것은 글쇠가 얼마나 누르기 힘든가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두벌식이 윗글쇠를 굉장히 많이 누르기 때문에 피로도가 높습니다. 반면 신세벌식이 눈에 띄는데, 글쇠를 누르기 편하게 숫자 자리에 한글 글쇠를 배치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3–2015의 경우, 공병우 세벌식 자판 중 가장 글쇠에 의한 피로가 적습니다. 3–2014에 비해서도 그런데, 그 이유는 3–2014와의 비교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손과 손가락이 얼마나 연속적인 타이핑에 부담을 덜 느끼느냐입니다(carpalx 모델의 stroke path effort에 해당).
이 항목이 측정하는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두벌식은 연타가 많고 왼손을 다소 혹사시키기 때문에 손이 쉽게 꼬입니다. 신세벌식도 왼손의 사용 비중이 높고 좌우로 오가는 경우가 많아서 피로도가 높습니다.
추가 규칙 1번(연타 없는 쌍자음 입력)에 의해, 세벌식 최종 순아래와 3–2015의 부담이 낮습니다.
이상의 항목을 더하고, 평균적인 타이핑 횟수에 곱하면 같은 글을 입력할 때 얼마나 손이 피로해지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3–2015 배열의 피로도가 제일 낮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신세벌식과 비교해서 우수한 결과가 나온 것은 3–2015뿐입니다. 3–2014도 기존의 세벌식에 비해 개선되었습니다만, 추가 규칙 없는 3–2015(간단한 배열)보다 피로도가 높습니다.
세벌식 390의 가장 큰 특징은 QWERTY 배열의 특수기호를 많이 살려서, 특수문자 입력에 일관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반면, 없는 겹받침도 있고 ㄵ 같은 겹받침을 입력하려면 상당히 피곤합니다.
세벌식 390과 3–2015 배열이 서로 다른 점은 우선 ㅓ와 ㅐ의 자리바꿈이 있습니다. 적응하는 데 한 1주일 정도는 걸릴 겁니다. 또한 왼손 받침과 겹받침 위치가 다릅니다. 홑받침이 모음 위치로 내려왔고, ㄷ이 1 자리로 이동하는 등 다소 변화가 있습니다. 또한 숫자 위치가 변한 것도 적응하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반면, 3–2015는 갈마들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윗글쇠를 누르지 않고도 겹받침 입력이 편리해졌습니다. 또 윗글쇠를 누르면 모든 겹받침을 한 번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3–2011/3–2012 배열에 가까우므로 역시 특수기호를 최대한 살렸습니다. 세벌식 390과 QWERTY는 특수기호가 여섯 군데 다른데, 3–2015는 다섯 군데 다릅니다. 따라서 일반 사무용으로도 세벌식 390만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3–2015는 390 자판에 비해 훨씬 피로하지 않습니다.
3–2015는 갈마들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윗글쇠를 절반만 입력해도 됩니다. 물론, 원한다면 윗글쇠를 하나도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연타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가 있으므로 연타가 사실상 없습니다.
같은 손가락을 거듭해서 사용하는 비율도 390 자판은 49번에 한 번 정도인데, 3–2015 자판은 131번에 한 번 꼴로 훨씬 낮습니다.
글쇠가 더 편한 위치에 자리했고 윗글쇠를 덜 쓰기 때문에 글쇠 하나하나를 누를 때 덜 피로합니다.
연타가 적고 자판 배치가 효율적이니 계속 타이핑해도 손이 덜 꼬이고, 덜 피로합니다.
두벌식에서 세벌식으로 옮기고 나서 손이 덜 피로해졌다면, 3–2015를 사용하시면 그에 못지않은 향상을 또다시 경험할 수 있습니다.
세벌식 391 자판은 세벌식 중 가장 사용 인구가 많은 자판일 겁니다. 문장 입력에 특화되어, 한글 입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짜인 자판입니다.
다만, QWERTY 자판과 오가면서 특수기호 위치가 달라져서 다소 고생하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세벌식 최종을 10년 넘게 썼더랬지만, 아직도 특수기호 자리는 다 못 외웠습니다.
세벌식 최종에서 3–2015로 갈아탄다면 제일 먼저 어색하게 느끼는 것은 ㅓ와 ㅐ의 위치일 것입니다. 1주일 정도는 적응 기간이 필요합니다. 왼손 홑받침 위치도 조금 달라졌습니다.
반면, 3–2015의 겹받침 위치는 세벌식 391의 겹받침 위치와 아주 비슷합니다. 세벌식 최종을 오래 쓰면서 겨우 손에 익은 겹받침 배치가 물거품이 되는 일은 없습니다. 또한 모든 겹받침이 있기 때문에 여태 하시던 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숫자의 위치도 그대로입니다.
3–2015는 특수기호 배치가 QWERTY와 거의 동일합니다. 처음에 물음표나 느낌표를 칠 때 다소 낯설 수도 있겠습니다만, QWERTY와 특수기호 배치가 거의 같으니 금방 적응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일단 적응하고 나면, 세벌식 최종의 장점도 가지고 있으면서 놀랄 만큼 편할 겁니다.
3–2015는 갈마들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윗글쇠를 절반만 입력해도 됩니다. 물론, 원한다면 윗글쇠를 하나도 누르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연타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가 있으므로 연타가 사실상 없습니다.
같은 손가락을 거듭해서 사용하는 비율도 391 자판은 50번에 한 번 정도인데, 3–2015 자판은 131번에 한 번 꼴로 훨씬 낮습니다.
글쇠가 더 편한 위치에 자리했고 윗글쇠를 덜 쓰기 때문에 글쇠 하나하나를 누를 때 덜 피로합니다.
연타가 적고 자판 배치가 효율적이니 계속 타이핑해도 손이 덜 꼬이고, 덜 피로합니다.
한 단계 더 편해진 3–2015를 써 보시는 건 어떨까요?
세벌식 최종 순아래는 391 자판과 호환되면서도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규칙으로 손의 부담을 많이 덜어낸 배치입니다. 굉장히 완성도가 높은 배열이지요.
3–2015 배열도 된소리에 비슷한 규칙을 적용해서 연타를 거의 없앴습니다. 갈마들이 입력 때문에 연타가 있지 않느냐구요?
물론 연타가 아예 없지는 않습니다만 2,500번 꼴에 한 번이니까 무시해도 괜찮은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같은 손가락을 연속해서 사용하는 비율은 3–2015가 최종 순아래보다 조금 높지만, 심각하게 큰 차이는 없습니다.
반면, 순아래 입력을 한다면 최종 순아래 자판은 손을 조금 더 움직여야 합니다. 3–2015로 순아래 입력을 하면 이동 거리가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또, 갈마들이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글쇠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었습니다. 글쇠 하나하나를 누를 때 부담이 덜합니다.
그리고, 계속 타이핑할 때 손가락에 부담이 덜합니다.
만일 순아래 입력을 주로 하시고, 다른 사람 컴퓨터로 타이핑할 일이 적다면 3–2015 배열을 써 보시는 건 어떨까요?
3–2011 사용자셨나요? 그렇다면, 가장 큰 진입장벽인 ㅓ/ㅐ 위치는 걱정이 없겠군요.
3–2011과 3–2015는 뿌리가 비슷하므로 많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숫자도 두 줄이고, 특수기호 위치도 비슷하구요. QWERTY 자판과 특수기호 배치가 비슷하니, 특수기호는 금방 적응하실 수 있을 겁니다.
달라진 점은 받침입니다. 갈마들이 방식을 썼으니 홑받침이 내려갔고, 그래서 그 부분은 적응하셔야 합니다. 겹받침은 비슷비슷한 위치에 있으니 금방 적응하실 겁니다. 혹시나 사라진 겹받침 셋이 그립다면, 그것도 3–2015에는 있습니다.
3–2015는 갈마들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윗글쇠를 절반만 입력해도 됩니다. 순아래 입력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사실상 연타가 없습니다.
같은 손가락을 거듭해서 사용하는 비율도 2011 자판은 50번에 한 번 정도인데, 3–2015 자판은 131번에 한 번 꼴로 훨씬 낮습니다.
3–2011에서는 모음 위치가 살짝 바뀌어서 글쇠를 치기 약간 편해졌는데, 3–2015에서는 훨씬 눈에 띄게 향상됩니다.
또 계속 타이핑해도 손가락이 덜 꼬이고 덜 피곤합니다.
3–2011의 장점은 그대로 가져오면서 새로운 장점이 늘어난 3–2015, 써 보시면 어떨까요?
저도 3–2012 사용자였습니다. 3–2012 사용자셨다면 ㅓ/ㅐ 위치는 따로 적응하실 필요가 없으니 한 고비 넘겼네요. 3–2015는 3–2012와 대부분 비슷하고, 받침 위치만 달라졌습니다. 갈마들이는 따로 적응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편하게 타이핑하시면 됩니다.
혹시 세벌식 최종을 쓰다 3–2012로 넘어오셨나요? 그래서 가끔 겹받침이 그립다면, 3–2015에는 모든 겹받침이, 세벌식 최종과 비슷한 위치에 있습니다.
3–2015는 원하신다면 순아래 입력도 가능합니다. 윗글쇠를 아무리 많이 써도 3–2012의 절반만 쓰구요.
연타를 훨씬 적게 해도 되는 점도 이득입니다.
같은 손가락을 연달아 쓰는 비율도 1/3 수준이지요.
또 글쇠가 치기 편한 곳으로 옮겨갔습니다.
그리고 3–2015는 손가락이 덜 피곤합니다.
3–2012를 쓰고 계시다면, 3–2015는 더욱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겁니다.
다른 자판이 3–2015의 친척이라면 3–2014는 형제겠지요. 받침 위치가 조금 바뀐 거 빼고는 거의 똑같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받침 위치 때문에 3–2015는 3–2014보다 조금 더 편해졌습니다. 사실 좀더 편하게 만들려고 했는데, 3–2014와 가급적 호환성을 높이고자 일부 배치를 고정시켰습니다. 그리고 된소리 입력할 때도 손이 한결 편하구요.
된소리 입력 규칙은 같은 손가락을 계속 써서 생기는 부담을 굉장히 낮춰 줍니다. 갈마들이 방식 때문에 원래는 올라가는 건데, 된소리 규칙이 전체적인 부담을 낮춰 줍니다.
3–2015의 비교우위는 순아래 입력에 있습니다. 3–2014에서는 순아래 입력을 하면 손이 더 움직여야 했는데, 3–2015는 오히려 손을 움직여서 쌓이는 피로가 감소합니다.
순아래끼리 비교하면, 둘 다 윗글쇠를 누르지 않는데 3–2015의 피로도가 낮습니다. 이것은 글쇠가 조금 더 효율적으로 배치되었다는 뜻입니다.
3–2015가 훨씬 손이 덜 꼬이는 것도 빼놓을 수 없죠. 이건 된소리 추가 규칙만으로는 설명이 안 됩니다. 3–2014는 순아래 입력을 하면 손이 더 꼬이는데 3–2015는 그렇지 않다는 것은, 받침 위치의 차이가 원인이겠죠.
3–2015는 3–2014에 비해 조금 더 편해졌습니다. 특히 순아래 입력을 하려면 3–2015가 정답입니다.
신세벌식은 굉장히 참신하면서도 능률적인 자판입니다. 실제로, 피로도 측정을 하면 웬만한 공병우 세벌식은 신세벌식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3–2015는 신세벌식의 요소, 즉 갈마들이 입력 방식을 받아들여서 효율을 높였습니다. 그런데 어떤 분이 물으시더군요. 그럴 거면, 그냥 신세벌식 쓰는 게 낫지 않느냐?
결론부터 말하자면, 신세벌식의 배치가 이상적인 것은 아닙니다. 중성과 종성 영역이 완전히 겹쳤다는 것은 흐름을 끊을 수도 있고, 왼손의 부담이 커질 수도 있는 요인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세벌식은 매력적입니다. 데이터를 통해 살펴볼까요?
우선 신세벌식의 연타 비율이 높은 것이 흠입니다. 물론 원인은 왼손이죠. 반면 3–2015는 연타가 거의 없죠.
같은 손가락을 연속으로 쓰는 비율도 3–2015가 훨씬 낮습니다.
반면 신세벌식은 입력할 때 손을 조금 덜 움직여도 되는 것이 첫째 장점입니다.
또한 숫자가 있는 줄에 한글 글쇠를 놓지 않고 글쇠가 전반적으로 치기 편한 위치에 있는 것이 둘째 장점이겠구요.
반면 신세벌식은 왼손에 부담을 많이 주는 것이 최대의 약점이겠네요.
종합적으로 보면 3–2015가 신세벌식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만, 사실 이것은 파라미터와 분석할 텍스트에 따라 뒤집어질 수도 있을 정도의 차이입니다.
정리하면, 신세벌식은 손을 덜 움직여도 되고 숫자 글쇠를 쓰지 않아도 되므로 글쇠 하나 당 손가락에 가해지는 부담은 적습니다만, 반대급부로 연속된 타이핑에서는 손가락이 더 잘 꼬이고 피로해질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가 자판 선택의 열쇠가 되겠네요.
만일 왼손이 힘들어한다면 3–2015를 써 보시는 건 어떨까요?
3–2014와 3–2015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점은 없습니다. 차이는 둘뿐입니다.
그럼 각각의 효과를 보도록 할까요?
손의 이동에 의한 피로를 감소시키는 요인은 받침의 자리가 바뀐 것입니다. ㅎ이 D 자리로 내려오고 ㄷ이 1 자리로 올라감에 따라 생기는 긍정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역시 글쇠 위치에 따른 피로가 적어지는 요인도 받침 자리 바꿈입니다.
된소리 조합 규칙이 일단 연타를 없애기 때문에 손가락을 거듭해 써서 생기는 피로를 줄였고, 받침 자리를 재조정한 것도 손가락이 덜 꼬이도록 도와줍니다.
이상의 효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두벌식에 비해 3–2015(순아래)가 3–2014(순아래)보다 46% 더 향상되었고, 세벌식 3–91(최종)을 기준으로 하면 2.5배 더 향상되었습니다.
수정 1(150209): 날개셋 파일을 수정했습니다. 모아치기가 제대로 안 되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
3-2015는 아무래도 391 등에 비해서는 모아치기가 불완전합니다. 물론 391 자판도 모아치기가 완전치 않구요. 3-2015는 일단 더 편하게 이어칠 수 있는 자판을 목표로 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