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목명 |
식품위생실험 |
학점(시간) |
1(2) |
개설학기 |
1학년 2학기 |
실험실습명 |
식품 중의 생균수 측정 |
실습 No. |
5 |
|
식품 중의 생균수 측정 |
![]() |
- 식품의 부패정도, 신선도 및 오염도를 측정하는 한 방법
- 검체와 표준한천배지를 페트리접시 중에서 혼합 응고시켜 배양 후 발생한 세균의 집락수로부터 검체 중의 생균수를 산출하는 방법
- 표준평판균수는 검체 중에 존재하는 세균 중 표준한천배지내에서 발육할 수 있는 중온균의 수이다.
- 수질검사시에는 이 균수를 일반세균수라 한다.
- 생균수의 측정에는 membrane filter법 및 희석법 등도 있다.
|
1. 사용기구 및 재료 |
- 기기 및 기구
- 항온수조, incubator, autoclave, homogenizer 또는 stomacher, colony counter, 천평
- 비이커, 삼각플라스크, 시험관, 페트리접시(지름 9∼10cm, 높이 1.5cm), 메스실린더, 가위, 핀셋, 시약스푼
- 표준한천배지:Standard Methods Agar(Plate Count Agar)
- Tryptone 5.0g, Yeast Extract 2.5g, Dextrose 1.0g, Agar 15.0g, 증류수 1,000㎖
- 시약 및 기타 재료
|
2. 배지 조제 |
- 표준한천배지(standard methods agar) 23.5g을 칭량하고 증류수 1,000㎖를 가하여 잘 흔든다.
- 중탕으로 가열 용해한다.
- pH 7.0±0.2으로 조정한 후 autoclave에서 121℃, 15분간 멸균한다.
|
2. 검체 채취방법 |
- 검체가 균질한 상태일 때에는 어느 일부분을 채취하여도 무방하나 불균질한 상태일 때에는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검체를 채취하여야 한다.
- 가능한 한 검체를 잘 섞어 균질에 가깝도록 하여 검체를 채취하여야 한다.
- 검체의 채취는 반드시 무균적으로 행하여야 하며 멸균한 용기(유리제용기, 페트리접시 등)에 넣어 원칙적으로 저온(5±3℃)으로 유지시키면서 빨리(검체 채취 후 4시간이내) 검사기관에 운반하여야 하며, 될 수 있는대로 빨리 시험에 착수하여야 한다.
- 부득이 저온으로 검체를 유지할 수 없거나 즉시 운반이 곤란할 경우에는 반드시 채취일시 및 채취 당시의 검체상태를 상세히 기록하여야 한다. 특히 신선한 어패류와 같이 세균의 증식이 적당한 검체는 채취와 운반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 검체 채취기구는 미리 핀셋, 스푼, 스파테르 등을 몇개씩 건열 및 화염멸균을 한 다음 검체 1건 마다 바꾸어 가면서 사용하여야 한다.
- 곡분이나 분유와 같이 건조되어 잘 변질 또는 부패되지 않는 검체는 냉장상태에서 운반할 필요는 없으나 2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 또는 밀폐하여야 한다.
- 냉장운반을 위하여 얼음을 사용할 때에는 2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얼음이나 그 녹은 물이 검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시험에 사용되는 검체의 균질화를 위하여 액상검체인 경우에는 강하게 진탕하여 균질화하고 고형 및 반고형인 검체는 균질기(homogenizer 또는 stomacher)를 이용하여 적당량의 희석액과 혼합하여 균질화한 것을 검액으로 용한다.
- 칼·도마 및 식기류에서 검체를 채취할 때에는 멸균한 탈지면에 멸균생리식염수를 적셔, 검사하고자 하는 기구의 표면을 완전히 닦아낸 탈지면을 무균용기에 넣어 시험용액으로 사용한다.
|
3. 시험용액 조제방법 |
- 액상검체:채취된 검체를 강하게 진탕하여 혼합한 것을 시험용액으로 한다.
- 반유동상검체:채취된 검체를 멸균유리봉과 멸균스파테르 등으로 잘 혼합한 후 그 일정량(10∼25㎖)을 멸균용기에 취해 9배 양의 멸균생리식염수와 혼합한 것을 시험용액으로 한다.
- 고체검체:채취된 검체의 일정량(10∼25g)을 멸균된 가위와 칼 등으로 잘게 자른 후 멸균생리식염수를 가해 균질기를 이용해서 가능한 한 저온으로 균질화한다. 여기에 멸균생리식염수를 가해서 일정량(100∼250㎖)으로 한 것을 시험용액으로 한다.
- 고체표면검체:검체표면의 일정면적(보통 100cm2)을 일정량(1∼5㎖)의 멸균생리식염수로 습한 멸균가제와 면봉 등으로 닦아내어 일정량(10∼100㎖)의 멸균생리식염수를 넣고 세게 진탕하여 부착균의 현탁액을 조제하여 시험용액으로 한다.
- 분말상검체:검체를 멸균유리봉과 멸균스파테르 등으로 잘 혼합한 후 그 일정량(10g)을 멸균용기에 취해 9배 양의 멸균생리식염수와 혼합한 것을 시험용액으로 한다.
- 버터와 아이스크림류:버터와 아이스크림류는 40℃ 이하의 온탕에서 15분내에 용해시켜 10㎖를 취한 후 멸균생리식염수를 가하여 100㎖로 한 것을 시험용액으로 한다.
- 캅셀제품류:캅셀을 포함하여 검체의 일정량(10∼25g)을 취한 후 9배 양의 멸균생리식염수를 가해 균질기와 스토마커 등을 이용하여 균질화한 것을 시험용액으로 한다.
- 이와같이 조제된 시험용액에 대해서는 멸균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10배, 100배, 1,000배… 희석액을 만들어 사용한다.
- 시험용액의 조제시 검체를 용기 포장한 대로 채취할 때에는 그 외부를 물로 씻고 자연건조시킨 다음 마개 및 그 하부 5∼10cm의 부근까지 70% 알콜 탈지면으로 닦고, 화염멸균한 후 냉각하고 멸균한 기구로 개봉, 또는 개관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하여야 한다.
- 지방분이 많은 시료는 Tween 80과 같은 세균에 독성이 없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 냉동식품은 냉동상태의 검체를 포장된 상태 그대로 40℃ 이하에서 될 수 있는대로 단시간에 녹여 용기, 포장의 표면을 70% 알코올솜으로 잘 닦은 후 상기의 방법으로 시험용액을 조제한다.
|
4. 접종 및 배양조작 |
- 시험용액 1㎖와 각 단계 희석액 1㎖씩을 멸균 페트리접시 2매 이상씩에 무균적으로 취하여 약 43∼45℃로 유지한 표준한천배지 약 15㎖를 무균적으로 분주하고 페트리접시 뚜껑에 부착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조용히 회전하여 좌우로 기울이면서 검체와 배지를 잘 섞고 냉각응고시킨다.
- 확산집락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시 표준한천배지 3∼5㎖를 가하여 중첩시킨다. 이 경우 검체를 취하여 배지를 가할 때까지의 시간은 20분이상 경과하여서는 안된다.
- 냉각 응고시킨 페트리접시는 거꾸로 하여 35±1℃에서 24∼48시간(검체에 따라서는 35℃에서 72±3시간) 배양한다.
- 대조시험으로 검액을 가하지 아니한 동일 희석액 1㎖를 배지에 가한 것을 대조로 하여 페트리 접시, 희석용액, 배지 및 조작이 무균적이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
5. 세균수 기재법 |
- 배양후 즉시 집락 계수기를 사용하여 생성된 집락수를 계산하며, 부득이할 경우에는 5℃에 보존시켜 24시간 이내에 산정한다.
- 확산집락이 없고(전면의 1/2 이하 일 때에는 지장이 없음) 1평판당 30∼300개의 집락을 생성한 평판을 택하여 집락수를 계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전 평판에 300개 이상 집락이 발생한 경우 300에 가까운 평판에 대하여 밀집평판 측정법에 따라 안지름 9cm의 페트리접시인 경우에는 1cm2내의 평균집락수에 65를 곱하여 그 평판의 집락수로 계산한다.
- 전 평판에 30개 이하의 집락만을 얻었을 경우에는 가장 희석배수가 낮은 것을 측정하고 반드시 몇개 이하라고 보고한다.
- 1 평판에 있어서의 집락수를 상당 희석배수로 곱하고 그 수치가 표준평판법에 있어서 1㎖ 중(1g 중)의 세균수 몇개라고 기재보고하며 동시에 배양온도를 기록한다.
- 숫자는 높은 단위로부터 3단계를 4사5입하여 유효숫자를 2단계로 끊어 이하를 0으로 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