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산(龍門山)-602m
◈날짜 : 2016년 3월12일 ◈날씨 : 맑음
◈들머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 반송4교앞정류장
◈산행소요시간 : 4시간04분(10:44-14:48)
◈찾아간 길 : 팔용중정류장-115번-합성동터미널-시외버스(08:20-09:32)-대구서부정류장-650번-화원초교건너정류장-달성2번환승-반송4교앞정류장
◈산행구간 : 반송4교앞정류장→반송→둘레길이탈→묘지군→기산→함박산→기내미재→갈림길→화장실→용문산→갈림길→갈림길→용문산삼거리→닭지먼당(671m)→673봉→687봉→청룡산·정대갈림길→약수터갈림길→용연사약수터→갈림길→용연사석조계단→용연사→용연사매표소→용연사집단시설지구건너정류장
◈산행메모 : 국제신문에서 소개한 산이다.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시외버스로 이동하는 거리가 시내버스이동거리보다 길지만 소요시간은 짧다. 반송4교건너정류장에서 하차한다.

왼쪽으로 도로를 건너 지나온 반송삼거리로 향하며 산행시작. 반송교를 앞두고 오른쪽으로 작업 중인 포크레인. 포크레인 왼쪽으로 잠시 후 만날 반송이 보인다. 포크레인 오른쪽으로 보이는 길도 곧 지나간다. 위로 볼록한 부분은 기산, 오른쪽으로 오목한 부분은 기내미재.

반송교를 건너면 이정표(뒤로 용연사2.4, 앞으로 용연지3.6, 오른쪽으로 기내미재2.1km). 오른쪽 기내미재로 향한다.

정면으로 보이는 쌍봉에서 왼쪽이 용문산이다.

주민들의 보살핌으로 자라는 마을이름의 유래가 된 반송.

정면에 보이는 전봇대 뒤에서 산길로 올라서며 둘레길에서 이탈한다.

소나무가 빽빽한 숲길 오름이다.

왼쪽으로 사면을 따라가서 묘지군을 만나 오른쪽으로 올라간다.

기산에 올라선다.

낮은 봉이라도 이름이 있으니 반갑다.

오른쪽 아래로 모습을 드러낸 기내미재, 고개를 들면 용문산이다.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흐릿하게 스카이라인을 그리는 비슬산.

함박산에 올라선다. 대구의 산꾼도 만나는데 국제신문리본을 따라간다니 반갑다.

이정목에 함박산표지.

오른쪽으로 내려서는 길도 울창한 소나무다. 평상을 지나니 기다란 목계단도.

아래로 기내미재, 그 위로 용문산과 오른쪽으로 지나갈 능선이다.

생태통로가 지나는 기내미재.

내려온 길이 달성보녹색길이구나!

생태통로 아래는 2차선도로가 지난다. 기내미재에서 돌아본 함박산.

등산안내판에는 용문산표시가 없다. 6-12쯤 되겠는데.

왼쪽으로 화장실을 만나고 이어서 오른쪽으로 열리는 산길.

넓은 길은 묘지까지다. 묘지를 지나서 돌아본 모습.

눈길을 붙잡는 바위를 심심찮게 만난다.

길바닥에 떨어진 국제신문 용문산출력물도 보인다. 앞서간 산꾼이 떨어뜨린 것인데 국제신문근교산행팀에서 소개하는 산을 찾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다.

나무허리에 매인 로프도 만나며 바위사이로 올라가니 지나온 길이 한눈에 드러난다. 가운데 왼쪽으로 기산, 그 오른쪽으로 함박산, 그 앞으로 기내미재, 재에서 여기로 이어지는 능선이 아래로 드러난다.

왼쪽 까치봉에서 올라오는 길이 합치며 용문산에 올라선다.

진행방향으로 이어지는 능선. 오른쪽이 닭지만당이다.

여기저기를 살피지만 삼각점이나 표석은 없다. 난간로프 말뚝에서 찾은 용문산이름표.

내려가니 삼거리이정표다. 뒤로 까치봉 2.2, 앞으로 비슬산능선 1.4, 왼쪽으로 자연휴양림 1.64km, 비슬산방향으로 진행한다. 돌아보니 나무뒤로 저만치 멀어진 용문산이다.

바위사이로 이어지는 길.

오른쪽 기내미재에서 오는 길이 합치는 용문삼거리.

갈림길에서 오른쪽 통나무계단으로 올라서니 닭지만당이다.

김문암님의 목판표지가 반갑다.

암릉보다 산책길이 많아진다.

여기서 오른쪽으로 비슬산을 바라보며 점심.

돌아본 밥상자리.

약수터가 가까워진다.

2012년 8월5일에 지났던 청룡지맥을 다시 만난다.

낯익은 안내판을 보니 길은 여기서 오른쪽으로 내려선다. 용연약수터가 2분 거리다.

약수터에 내려선다.

탐방객의 발길에 흙이 씻겨 V자 모습에 돌이 드러난 길이 S자를 그리며 내려간다.

마른 계곡을 건너니 돌계단으로 정비되어 넓어진 길이다.

목교도 통과하고.

부드러운 길이 시작되더니 오른쪽 나무뒤로 기와집도 보인다. 적멸보궁이다. 산불감시초소에 내려서니 삼거리. 오른쪽 적멸보궁으로 향한다. 적멸보궁.

건물 뒤로 석조물.

삼거리로 되돌아와서 직진하는 돌계단으로 내려가면 왼쪽에 적멸보궁안내판.

적멸보궁일주문을 돌아본다.

용연사자운문을 지나 왼쪽으로 반송저수지.

용주사를 지나니 달성2 버스가 올라간다. 곧 돌아내려올 거라 생각하니 쌓인 피로가 사라지는 기분이다. 용연사집단시설지구건너정류장에 도착한다. 달성5 버스도 올라온다. 산행은 여기까지.

올 때는 기다리는 시간이 많았는데 갈 때는 오전의 보상을 받는 기분이다.
#용연사집단시설지구건너정류장-달성2번-화원초교앞-600번환승-대구서부정류장-시외버스(16:00-17:03)-합성동터미널-108번-팔용중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