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병원균, 기주범위 및 품종 |
|
사과점무늬낙엽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Alternaria mali Roberts 라고하는 곰팡이이며 영어로는 이 병을 Alternaria leaf spot, Cork spot라고 부른다. 기주범위는 사과나무 및 사과나무속 식물이며 사과나무 품종별 저항성 정도는 홍옥, 축, 욱과 신품종인 추광, 감홍, 화홍은 저항성이며 레드델리셔스, 스타킹델리셔스, 무쓰(육오) 및 신폼종 홍로는 감수성이고 국광, 골든델리셔스는 중정도이다.
|
|
2. 분포 |
|
중국, 인도, 일본, 한국 등 아시아 지역과 미국, 칠레 및 호주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
|
3. 병징 |
|
|
가. 잎의 병징 |
|
|
전개 직후의 어린 잎에 침입하기 쉽다. 처음에는 2~5㎜의 갈색~암갈색의 원형 병반이 형성되고 병반이 오래되면 주변은 적갈색, 내부는 갈색~회갈색으로 된다. 병반부는 파괴되어 구멍이 생기고 발병이 심하면 잎이 황화되어 낙엽된다.
|
|
|
나. 과실의 병징 |
|
|
유과기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가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병반의 형태는 감염시기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과실 표면에 자갈색의 약간 오목한 반점을 형성하게 되며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
|
|
다. 가지의 병징 |
|
|
피목을 중심으로 타원형 또는 부정형의 갈색 병반을 형성한다.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rda.go.kr%2Ftech%2Fnewinfo%2Fimage%2Fg010108_03_01.jpg) |
|
|
그림 1. 사과점무늬낙엽병 병징
|
|
4. 병원균 |
|
불완전균류에 속하며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전염한다. 분생자경에 5~13개의 분생포자가 연쇄상으로 형성된다. 분생포자는 흑갈색이고 곤봉형으로 1~수개의 격막이 있고 크기는 13~50×6~20㎛이다. 생육온도는 10~35℃이고 최적온도는 28℃이며 분생포자는 25℃에서 물이 있으면 4~6시간 내에 완전히 발아된다. 이 병원균은 Alternaria alternata와는 형태적으로 흡사하여 구분이 어려우나 AM독소를 생성하는 것이 다르다.
|
|
5. 발생생태 |
|
병원균은 병든 잎이나 병든 가지에서 균사 및 분생포자로 월동한다. 월동한 병든 잎에서 분생포자의 형성은 대개 4월 중순부터 확인되나 5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계속된다. 가지에서는 도장지나 길게 자란 발육지에서 발생이 많고 가지에서의 분생포자 형성은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도 형성되나 6~7월에 가장 많이 형성한다. 포자비산은 5월 중순부터 보이기 시작하여 6월 중순에 가장 많은 량의 포자가 비산된후 9월 중순이후에 감소한다. 발생은 5월 하순부터 처음 발병하기 시작하며 6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하순이후에 급증한다. 고온 다습한 시기인 7월 하순~8월 중순에 많이 발생한다.
|
|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rda.go.kr%2Ftech%2Fnewinfo%2Fimage%2Fg010108_03_02.jpg) |
|
|
그림 2. 전염경로(G. N. Agrios, 1988)
|
|
6. 방제 |
|
|
가. 재배적 방제 |
|
|
병든 잎에서 월동하여 다음해에 전염원이 되므로 봄철에 낙엽을 긁어모아 소각한다. 병든 가지에서 월동한 병원균은 제거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병반이 많이 있는 가지는 전정시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여름철에 발생한 도장지는 과수원 내의 병원균의 밀도를 높게 하는 요인이 되고 약제살포시 약제 도달을 나쁘게 하므로 7월~8월에 하계전정을 하여 불필요한 도장지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
|
|
나. 약제 방제 |
|
|
약제살포는 낙화 후 10일부터 장마철까지 예방 위주로 살포하는 것이 좋다.
표 1. 사과점무늬낙엽병 방제약제 |
|
|
적용약제(품목명) |
사용적기 |
물 20L당
사용약량 |
안전사용기준 |
시기 |
횟수 |
가벤다 이프로(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30일전 |
4회 이내 |
누리만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30일전 |
- |
디치 (액상)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20ml |
수확 28일전 |
4회 이내 |
디페노코나졸 (수) |
발병직전부터 10일간격 |
6.7g |
수확 3일전 |
6회 이내 |
리프졸 (수) |
개화 전 및 낙화후
10일간격 |
10g |
수확 7일전 |
3회 이내 |
만코지 (수) |
개화 전 및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30일전 |
5회 이내 |
부탄엠 (수) |
개화 전 및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21일전 |
- |
비타놀 프로피(수) |
개화 전 및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14일전 |
- |
스팟트 (수) |
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
25g |
수확 45일전 |
5회 이내 |
싸이프로디닐 (입상) |
6월 중순부터 10일간격 |
10g |
수확 30일전 |
5회 이내 |
아족시스트로빈 (수) |
발병초 10일간격 |
20g |
수확 7일전 |
6회 이내 |
옥시동 (수) |
낙화후 20일경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3일전 |
5회 이내 |
이미녹타딘트리스
알베실레이트 치람 (수) |
발병초부터 7일간격 |
20g |
수확 7일전 |
5회 이내 |
이미벤코나졸 치람(수) |
개화전과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10일전 |
5회 이내 |
이프로 (수) |
개화전과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17g |
수확 14일전 |
4회 이내 |
이프로 지오판 (수) |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14일전 |
4회 이내 |
이프로 치람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14일전 |
5회 이내 |
이프로 ?탄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14일전 |
4회 이내 |
이프로 ?탄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14일전 |
4회 이내 |
치람 (수) |
개화전과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3일전 |
5회 이내 |
카펜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28일전 |
- |
카프로 (수) |
낙화후 20일경부터
수확 3주전까지
10일간격 |
33g |
수확 14일전 |
5회 이내 |
이미녹타딘트리
아세테이트 (액)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13ml |
수확 30일전 |
5회 이내 |
?탄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3일전 |
- |
타로닐 (수) |
6월 상순부터
10일간격 |
33g |
수확 30일전 |
5회 이내 |
타로닐 프로피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30일전 |
5회 이내 |
타로만 (수) |
발병직전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30일전 |
5회 이내 |
표 2. 사과점무늬낙엽병 방제약제(계속) |
|
|
적용약제(품목명) |
사용적기 |
물 20L당
사용약량 |
안전사용기준 |
시기 |
횟수 |
터부코나졸 (수) |
6월 중순부터 10일간격 |
10g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터부코나졸
토릴후루아니드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10g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펜부코나졸 만코지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30일전 |
5회 이내 |
펜부코나졸 치람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14일전 |
5회 이내 |
펜코나졸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14일전 |
6회 이내 |
포리동 (수) |
낙화 20일경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14일전 |
5회 이내 |
포리옥신 (수) |
개화전 및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20일전 |
5회 이내 |
포리?탄 (수) |
개화전 및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3일전 |
6회 이내 |
포스만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21일전 |
- |
프로피 (수) |
개화전 및 낙화후
10일경부터 10일간격 |
40g |
수확 10일전 |
- |
플루퀸코나졸
피리메타닐 (액상)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20ml |
수확 20일전 |
6회 이내 |
피리메타닐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20g |
수확 21일전 |
7회 이내 |
헥사코나졸 (수) |
발병초부터 10일간격 |
8g |
수확 10일전 |
8회 이내 |
|
|
|
살포간격은 약제의 종류, 발병상황, 기상조건 및 품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대체로 10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좋다. 약제살포를 마치는 시기는 8월 하순이 일반적인 시기이나 발병상황, 기상조건 및 품종에 따라 9월 상순까지 살포할 필요도 있다. 방제약제로는 다음과 같은 약제가 등록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