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보 도 자 료 |
| ||
배포일시 |
2013. 5. 2(목) 총 6매(본문 3, 붙임 3) | |||
담당 부서 |
도로운영과 |
담 당 자 |
∙과장 박명주, 사무관 김종오, 주무관 이경록 ∙☎ (044)201-3909, 3912, 3916 | |
보 도 일 시 |
2013년 5월 3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통신․방송․인터넷은 5. 2(목) 11:00 이후 보도 가능 |
졸음운전 말고 쉬어가세요 ! ...졸음 쉼터 ,“ 더 많이 더 편리하게 ”
▶ 국토교통부, ‘13년 고속도로 23개소, 국도 9개소 등 졸음쉼터 추가 조성
▶ 기존 졸음쉼터에 화장실 설치, 주차장 확장 등 편의시설 확충키로
□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예방에 효과가 큰 졸음쉼터를 고속도로
23개소, 국도 9개소에 올해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ㅇ 올해, 고속도로에는 교통량, 설치 여건 등을 감안하여 경부선 (3개소), 영동선(3개소),
중부내륙선(2개소), 중앙선(7개소), 호남선 (5개소), 순천-완주선(1개소), 남해선(2개소) 등
총 23개소를 설치하고,
- 그동안 교통량이 많으나 휴게소가 없어 이용객이 불편했던 자유로(국도77호선 경기 파주시)와
국도34호선(충북 괴산군) 등 국도 9개소에도 졸음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ㅇ 2011년에 설치한 졸음쉼터 40개소의 설치구간을 대상으로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분석한 결과,
사망자수가 전년대비 14명, 34% 감소(‘11년 41명→’12년 27명)되어 교통사고 예방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그동안 졸음쉼터의 추가설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었다.
□ 국토교통부에서는 또한, 현재 운영 중인 고속도로 110개소의 졸음쉼터에 대해서도 화장실과
주차장을 추가 설치하는 등 졸음쉼터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계획이다.
ㅇ 우선, 하루 200대 이상으로 이용이 많은 졸음쉼터 12개소에 화장실을 추가 설치하고, 화장실이
없는 다른 졸음쉼터도 이용자 증가 추이, 휴게소간 간격 등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화장실을
확대․설치할 계획이다.
- 이와는 별도로 명절․휴가철 등 한시적으로 이용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에는 졸음쉼터에 임시화장실을
추가로 배치할 계획이며,
- 금년 5월말까지는 운전자가 도로상에서 쉽게 졸음쉼터 화장실 설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졸음쉼터 안내표지에 화장실 표시를 추가하고, 졸음쉼터 이용이 편리하도록 네비게이션을 통해
위치를 안내할 계획이다.
ㅇ 또한 경부선 검단 졸음쉼터 등 주차장이 부족한 4개소에 대하여는 도로부지를 추가 확보하여
47개 주차면을 확충하고,
- 중부선 오창 졸음쉼터 등 5개소에 대해서는 가드레일, 충격흡수시설 등을 보강하여 졸음쉼터를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 앞으로도 국토교통부에서는 교통량이 많고 휴게소간 거리가 먼 고속도로 69개소와 국도 13개소에
대하여 2014년부터 연차적으로 졸음쉼터를 추가 설치하고,
ㅇ 교통량이 많은 서울외곽, 서울-춘천 민간투자고속도로 등을 대상으로 졸음쉼터 설치를 추진하는 등
ㅇ 전국 주요 간선도로의 졸음쉼터 설치계획을 마련․시행하여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교통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토교통부 도로운영과 김종오 사무관(☎ 044-201-391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1 |
|
졸음쉼터 설치 광경 |
□ 졸음쉼터 설치 광경
|
|
|
|
참고2 |
|
‘13년 졸음쉼터 설치대상 현황 |
□ 고속국도
본부 |
지사 |
노선 |
이정 |
방향 |
비고 |
계(23개소) |
| ||||
경기 |
소계 |
3개소 |
|
|
|
수원 |
경부선 |
379.6 |
부산 |
| |
수원 |
경부선 |
361.1 |
서울 |
| |
군포 |
영동선 |
30.2 |
강릉 |
| |
강원 |
소계 |
8개소 |
|
|
|
대관령 |
영동선 |
167.3 |
강릉 |
| |
대관령 |
영동선 |
167.3 |
인천 |
| |
충주 |
중부내륙선 |
257.8 |
마산 |
| |
홍천 |
중앙선 |
333.6 |
부산 |
| |
홍천 |
중앙선 |
340.4 |
춘천 |
| |
홍천 |
중앙선 |
347.2 |
부산 |
| |
홍천 |
중앙선 |
353.4 |
춘천 |
| |
홍천 |
중앙선 |
354 |
부산 |
| |
충청 |
소계 |
1개소 |
|
|
|
대전 |
경부선 |
280.1 |
부산 |
| |
전북 |
소계 |
6개소 |
|
|
|
전주 |
호남선 |
118.9 |
순천 |
| |
전주 |
호남선 |
137.8 |
순천 |
| |
전주 |
호남선 |
137.8 |
천안 |
| |
전주 |
호남선 |
168.4 |
천안 |
| |
전주 |
호남선 |
172.1 |
순천 |
| |
진안 |
순천완주 |
116 |
완주 |
| |
경북 |
소계 |
2개소 |
|
|
|
영주 |
중앙선 |
243.8 |
춘천 |
| |
영주 |
중앙선 |
243.8 |
부산 |
| |
경남 |
소계 |
3개소 |
|
|
|
진주 |
남해선 |
86 |
순천 |
| |
진주 |
남해선 |
44.5 |
순천 |
| |
창녕 |
중부내륙선 |
39 |
양평 |
|
□ 일반국도
노선번호 |
구간 |
연장(km) |
차로 |
77호선 |
(하행) 경기.파주.신촌 |
49.8 |
4∼10 |
7호선 |
(하행) 강원.삼척.근덕 |
48.3 |
4 |
34호선 |
(상행) 충북.괴산.사리 |
26.0 |
4 |
38호선 |
(상행) 충북.이천.장호원 (하행) 충북.충주.앙성 |
27.0 |
4 |
21호선 |
(상.하행) 전북.전주.완산 |
40.0 |
4 |
20호선 |
(상.하행) 경북.경주.안강 |
32.9 |
4 |
참고3 |
|
‘13년 졸음쉼터 주요 개선내용 |
□ 화장실 설치('13년 12개소)
위치 |
이정 |
방향 |
위치 |
이정 |
방향 |
경부선 |
131.5 |
서울 |
호남선 |
137.8 |
천안 |
131.5 |
부산 |
137.8 |
순천 | ||
280.0 |
부산 |
남해선 |
87.0 |
부산 | |
371.8 |
부산 |
86.0 |
순천 | ||
379.6 |
서울 |
영동선 |
99.0 |
인천 | |
울산선 |
4.0 |
울산 |
99.0 |
강릉 |
□ 주차면 확충 및 안전시설 보강
위치 |
이정 |
방향 |
이용량 (대/일) |
개선내용 |
비고 | |
현재 |
개선안 | |||||
경부선 |
131 |
서울 |
350 |
주차면 7 |
주차면 25 |
주차면 확충 |
131 |
부산 |
300 |
〃 7 |
〃 20 | ||
영동선 |
99 |
강릉 |
237 |
〃 7 |
〃 17 | |
남해선 |
86 |
부산 |
200 |
〃 6 |
〃 12 | |
중부선 |
263 |
양방향 |
94 |
시선유도 표시 |
가드레일․충격흡수 시설 설치 |
안전시설 보강 |
279 |
하남 |
98 | ||||
293 |
하남 |
104 | ||||
306 |
하남 |
108 |
□ 화장실 유무 안내
졸음쉼터 안내표지(당초) |
졸음쉼터 안내표지(개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