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암면 방전리方田里 유래
진보에서 영양으로 들어오는 입구이며 동쪽은 석보면, 북쪽은 영양읍, 서쪽은 진보면 광덕리로 연접하여 있으므로 교통이 아주 편리한 마을이다. 또한 기름진 밭이 많은 까닭에 방자 밭이라고 하였으며 이를 한자로 뒤쳐서 방전리라 하여 부른다.본래는 진보현 북면의 지역이었으나, 지금은 석보면과 입암면의 경계가 된다. 1914년 행정 구역을 고칠 때 흥구동과 월전동의 일부를 떼어다가 합하여 방전동이라고 불러 입암면에 들게 돤다. 마을에는 방전초등학교가 세워져 있었다.
[마을의 특징]
마을에 널리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부사공(府使公) 안내비와 동신목(洞神木)이 있다. 부사공의 안내비는 조선조 태종 임금 시절에 청송부사 및 경상우도 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를 지낸 경주 이씨(慶州李氏) 봉은(鳳隱) 이주(李?) 선생의 안내비가 세워져 있다. 방밭 가운데 세 아름이나 되는 큰 뢍버들나무가 있느데 해마다 정월 보름이면 고사(告祀)를 올린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유래]
*방밭ㆍ방전(方田ㆍ芳田)ㆍ방전리(芳田里)
본래 진보현 북면의 지역으로 약 200여년 전 조선조 영조 때 울진 임씨(蔚珍林氏)가 입향 할 당시는 논이 없었고 화전(火田)을 일으켜 넓고 좋은 밭이 많이 만들어짐에 따라 마을 이름을 방밭ㆍ방전이라 하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방전이라 개칭했다(김시태(49) 제보).
*옻밭골ㆍ옷밭골
잠목 동쪽 긴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다. 방전동과 진보면 월전동 계곡 일대를 차지하고 있는 경계지역으로 옻나무가 계곡 주위에 많이 산재해 있으므로 옻밭골로 부르게 되었다(신중기(63) 제보). 옻은 칠감으로 널리 쓰였기 때문에 옻나무의 관리는 상당한 관심거리일 수 밖에 없었다. 흔히 한자로 뒤쳐서 칠전(漆田)이라고 이른다.
*잠목
방전리와 청송군 진보면과의 경계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며 작은 고개에 골짜기를 이루고 있으므로 잠목이라 하였다. 그러나 현재 사람은 거주하지 않고 농토로 경작되고 있다(신돌암(63) 제보).
*갯마을ㆍ갯마
방밭 동쪽 도로변에 있고 갯밭(沙田)과 갯논(沙畓)이 많이 있어서 마을 이름을 갯마을이라 하였다 한다(심돌암(63) 제보). 갯마을 곹 강가에 있는 마을이다. 강가이니 모래가 많음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긴밭골ㆍ진밭골
방밭 북쪽에 위치하고 이 마을 안에 긴 골짜기와 긴 밭이 많이 있으므로 긴밭골 또는 진밭골로 불렀다(김중기(69) 제보). 긴밭의 긴-의 소리가 구개음(口蓋音)으로 되면 진이 되니 결국 같은 이름이라고 하겠다.
*학교마
방밭 서쪽에 있는 마을로 학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학교마로 부렀다. 현재 방전초등학교가 있는 곳이다(신중기(63) 제보).
[참고문헌 ; 영양군지]
----------------------------------
(영양말캉 역사 알고 가시더/창태118, 195) 입암면 방전리(方田里)가 궁금니껴?
※되집어 보는 영양말(사투리)※
가세, 몰개미, 입새, 이까(이사), 억수로, 옻낭.
----------------------------------
방전리(方田里)는 교통이 좋코
진보서 영양으로 들어오는 입새에 있꼬.
동쪼구로는 석보면(지경)캉
서쪼구로는 진보면(광덕)캉 이까졌니더.
홍수가 일어나 논밭에는 파도같은 큰물이
자꾸 범란해가꼬
기름진 뜰에 네모난 밭들을
많이 맹글게 되었따꼬
방전(방자밭)이라카니더.
방전(方田)은 방자밭을 한자로 쓴거시더.
(방밭ㆍ방전)
본새 진보현(북면) 땅이었니더.
조선 영조때 울진임씨(蔚珍林氏)가
마실캉 기름지고 네모난 디게 좋은 밭을
많이 맹글면서 방밭(方田ㆍ芳田)이라
카게 된니더.
방전(方田)은 방밭을 한자로 쓴거시더.
(옻밭골ㆍ옷밭골)
잠목 동쪼구 질따란 골짝에 있니더.
방전캉 진보(월전계곡)로 이사져있꼬
계곡 근바는 옻낭기 쌔배따꼬 옻밭꼴로
부르게 된니더.
옻은 칠감으로 널리 쓰였는 거시고
칠전(漆田)은 옻밭을 한자로 쓴거시더.
(잠목)
방전캉 진보로 이까진 쬐메한 마실로
나즈막한 고개에 있는 마실이라꼬
잠목이라꼬 카니더.
(갯마을ㆍ갯마)
방밭 동쪼구에 길 옆이자 그랑 가세에
있는 마실이라꼬 갯마라 카니더.
그랑 가세라 갱변에 있는 몰개미가
쌔배가꼬 갯밭(沙田)캉 갯논(沙畓)을
많이 맹글었니더.
(긴밭골ㆍ진밭골)
방밭 북쪼구에 있꼬.
질따란 골짜기따라 밭들이 쭉 이까져
있따꼬 긴밭골(진밭골)이라 카게 된니더.
(학교마)
방밭 서쪼구에 있는 마실로
과거에 학교(방전초등)가 있었떤 데라꼬
학교마라 카게 된니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