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르주나 『중론』 (해제) 2004.
서정형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나가르주나 『중론』
머리말
일러두기
제1부 『중론』의 저자 및 작품 해제
Ⅰ. 나가르주나의 생애와 저술
1. 생애
2. 저술
Ⅱ. 『중론』 개관
1. 역사적 배경
(1) 유부의 실재론
1) 실재의 범주 : 오위칠십오법
2) 본체
(2) 반야사상
2. 중론의 구성
(1) 중론 27장의 주제
(2) 기존의 분석 사례
(3) 텍스트 분석
3. 중론의 중요 주제
4. 『중론』에 대한 연구
5. 중관학파의 역사
(1) 초기
(2) 중기
(3) 후기
제2부 『중론』의 주요 주제어 분석목록펼침
1. 이제론
1.1. 이제(二諦)의 구분
1.2. 이제의 상즉(相卽)
2. 제일의제
2.1. 제일의제의 의미
2.2. 공성의 근거
2.2.1. 무자성
2.2.1.1. 자성의 부정
2.2.1.2. 무자성이므로 적멸(寂滅)하다
2.2.1.3. 무자성이므로 생멸변화가 있다
2.2.1.4. 등불의 비유
2.2.2. 연기
2.2.2.1. 깨달음의 내용
2.2.2.2. 불생
2.2.2.3. 중도
2.2.2.4. 공
2.2.2.5. 상호 의존
2.3. 현상의 공성
2.3.1. 팔불중도
2.3.2. 생멸의 논파
2.3.2.1. 사인(四因)의 고찰
2.3.2.2. 사연(四緣)의 고찰
2.3.2.2.1. 인연(因緣)의 고찰
2.3.2.2.2. 소연연(所緣緣)의 고찰
2.3.2.2.3. 등무간연(等無間緣)의 고찰
2.3.2.2.4. 증상연(增上緣)의 고찰
2.3.2.3. 화합의 고찰
2.3.2.4. 인과의 고찰
2.3.2.5. 생주멸의 고찰
2.3.2.5.1. 생겨남의 고찰
2.3.2.5.2. 머뭄의 고찰
2.3.2.5.3. 소멸의 고찰
2.3.3. 거래(去來)의 논파
2.3.3.1. 삼시(三時)의 불가득
2.3.3.2. 가는 자[去者]와 가는 운동[去法]의 불가득
2.3.4. 단상(斷常)의 논파
2.3.4.1. 논의의 배경
2.3.4.2. 단상의 논파
2.3.5. 일이(一異)의 논파
2.3.5.1. 논의의 배경
2.3.5.2. 인과의 일이
2.3.5.3. 주체와 작용의 일이
2.3.5.4. 일이의 논파
2.3.5.4.1. 일(一)의 논파
2.3.5.4.2. 이(異)의 논파
2.4. 개체의 공성
2.4.1. 작용주체의 부정
2.4.1.1. 개인아[pudgala]의 부정
2.4.1.1.1. 오온의 공성
2.4.1.1.2. 푸드갈라는 윤회의 주체가 아니다
2.4.1.1.3. 푸드갈라는 열반의 주체가 아니다
2.4.1.2. 아트만의 부정
2.4.1.2.1. 아트만은 오온이 아니다
2.4.1.2.2. 선행하는 존재의 부정
2.4.1.2.3. 아트만은 존재하지 않는다
2.4.1.3. 불과 섶의 비유
2.4.1.3.1. 불은 섶을 태우지 않는다
2.4.1.3.2. 불과 섶은 서로 의존한다
2.4.2. 인식의 고찰
2.4.2.1. 인식주체의 문제
2.4.2.2. 인식의 성립
2.5. 시간의 공성의 논증
2.5.1. 시종(始終)의 고찰
2.5.2. 삼세(三世)의 고찰
2.6. 속박의 공성
2.6.1. 탐욕과 탐욕하는 존재의 공성
2.6.2. 행(行)의 공성
2.6.2.1. 행은 무자성이다
2.6.2.2. 변화의 고찰
2.6.2.2.1. 우유와 낙(酪)의 비유
2.7. 번뇌의 공성
2.7.1. 번뇌는 자성이 없다
2.7.2. 번뇌의 불생(不生)
2.8. 열반의 공성
2.8.1. 속박의 공성
2.8.2. 업의 공성
2.8.3. 괴로움의 공성
2.8.3.1. 자인(自因)의 고찰
2.8.3.2. 타인(他因)의 고찰
2.8.4. 여래의 공성
2.8.4.1. 여래는 오온에 의존한다
2.8.4.2. 여래의 사후
3. 세제
3.1. 진리는 존재한다
3.1.1. 이제
3.1.2. 삼제게
3.1.3. 사성제
3.2. 속박은 존재한다
3.2.1. 업과 과보
3.2.2. 부단불상
3.2.3. 업의 무생(無生)
3.2.4. 업은 무명에서 생긴다
3.3. 해탈은 존재한다
3.3.1. 십이인연
3.3.1.1. 순관
3.3.1.1.1. 무명과 행
3.3.1.1.2. 식과 명색
3.3.1.1.3. 육입과 촉
3.3.1.1.4. 명색(名色)의 식(識, vijnana)
3.3.1.1.5. 촉과 수
3.3.1.1.6. 애와 취
3.3.1.1.7. 유
3.3.1.1.8. 생과 노사
3.3.1.2. 역관
3.3.2. 희론의 적멸
3.4. 잘못된 견해의 논파
3.4.1. 아트만을 논파함
3.4.2. 단견과 상견을 논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