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전통 장공장 탐방기
올 5월 햇빛촌, 서풍골을 시작으로 6회에 걸쳐 전국의 70여 장공장을 돌아보았다. 경기도 2회, 강원도 1회, 충청도 지역 1회, 경상 전라 지역 2회 출장 방문 하였다. 전국의 장공장이 고을마다 하나 정도씩 자리 잡고 있어, 이동시간이 많이 걸렸다. 한해에 전국의 장공장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았으나, 연해주 고려인 동포들의 실태와 이주 정착사업으로서 콩농사와 메주가공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소개하고 , 연해주메주를 통한 유기농 전통장에 대한 가능성 을 중심으로 문의하며 상황을 돌아보았다.
방문한 전통장 공장 :
경기도(14) : 가을향기, 콩예원, 석촌골, 한마당, 절골농원, 서일농원, 착한마을사람들, 산우물, 서후리, 한마당, 광이원, 숨식품, 삼화진, 서경들,
강원도(15) : 풍수원, 건봉다시마식품, 동트는 농가, 또바기, 장천마을, 해안콩단지전통장, 들미골된장, 오색옹기장, 치악싸리골된장, 백담전통장, 우리콩장사랑, 시골교회, 안흥콩터, 횡성콩마당, 철원 영농조합
충청도(7) : 서풍골, 햇빛촌, 신월식품, 꽃피는 아침마을, 울엄마된장, 김영태, 박종찬
전라도(16) : 순창 장류 사업소, 금모래 가든, 네자매, 류가네장원, 전통회문 식품, 무동골전통장 , 조진순가마솥, 보성성원식품, 옹고집장집, 순창전통장, 임실농가, 기순도전통장, 보성녹차식품, 순창장본가, 김용순전통식품, 김중길전통장
경상도(21) : 죽장연, 미성식품, 청학산, 우래원, 꽃질 장수마을, 흥국농산, 김미경전통재래장, 신안촌, 경주함께가는길, 정토회, 김실네 청국장, 지리산 알천마을, 뿔당골, 흥국농산, 짚실된장, 봉화스님된장, 청송명품된장, 장아푸드전통된장, 연꽃인연, 합천우리식품, 울어메
전주식품 박람회 : 무주반딧불콩단지, 담가, 회문산식품, 보성녹차식품, 푸른환경발효식품, 삼보식품 수 곳
강원푸드 박람회 :
장공장이 워낙 고립적이고 수입산 콩에 대한 경계가 심해서, 초반부터 마을을 열기는 쉽지 않았지만,
1) 유기농 전통장의 실태
실제 다녀본곳 중 유기농 콩과 가공인증을 통해 유기장을 판매 하고 있는 곳은 가을향기, 절골, 철원영농조합 등 3곳에 불과 했다. 모두 유기농 콩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비교적 규모가 잇고 시설이 구비된 공장은 전통장 인증을 받고 있는데, 전통장 인증을 받으면 국내산 콩만을 써야하는 규정이 있다. 그런데 국내 농업에서 콩은 고소득 작물이 아닐 뿐 아니라, 기후 변화로 인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여서 가격이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있었다 ( 올 도매시세 6000-7000원).
2) 콩및 유기농 영농의 실태
국내 콩 자급율은 현재 8% 대이고 이중 식용콩 자급율은 20% 대로 알려져 있다.
유기농 콩은 , 유기토지의 확보와 노린재 등의 문제 때문에 산량을 보장 할 수가 없어 대부분 포기하고 잇는 상황이다.
3) 전통장 공장의 실태
2010년 장류 시장의 총 규모는 1조인데 이중 10개 정도의 개량장류 기업이 9천억을 차지하고, 약 300여개의 전통장류 업체가 1천억의 시장을 나누고 잇는 형세이다 (순창장류 연구소). 개량장류를 중심으로 협동조합도 협동조합도 조직되고어 있었으나. 전통장은 그야말로 고립분산을 면하지 못하고, 지역사회에서 독자적으로 고군분투하며 우리의 전통문화를 이어가고 있다. 법률 용어로도 개량된장은 된장, 전통장류는 재래된장으로 표기 되고 있었다.
살펴본 바에 의하면 개량된장은 경상도 지역에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일본의 미소 발효의 강제 속성 발효를 참고하면서 개발되었다. 전통장의 영세성을 벗어나고, 보다 낮은 가격에 전 계층에 보급하고 , 수출 등에 이바지 할 대규모 생산 체제가 필요하면서 비교적 규모 있는 자본에 의해 급속하게 확장되었다.
4) 전통장 공장의 어려운 점, 장점
개량장에 비하여 고가의 원료, 맛에 있어서는 개량장이 접근 못함
5) non-gmo 유기농 전통장 협동조합의 필요성
- 사라져 가는 국민 건강 전통장 식품의 보급
- 유기농 원료의 확보
- 전통장 문화의 보급, 확산 :
- 전통적 문화에 대한 재인식과 신규 일자리 창출
- 법 대응 : 유기 인증 표시제, 전통장 인증제도,
5) 정책
- 전통장 문화의 부활 확산과 유기농의 대중화
- 국내 콩 보호 : 국내유기농 유기콩과 연해주 유기콩의 상생 협력 방안 : 이중 가격제,
- 메주 사용량에 따른 연해주 유기콩 콩 배당 연동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