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희팔괘도
[1] 복희 팔괘의 배치
역은 방향이 중요하다. 역에 나타난 방위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방향과는 정 반대다.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 우리는 북쪽 방향을 정면에서 바라보지만, 역은 북을 등지고 남쪽을 바라보며 그렸기 때문에 방위가 정 반대로 됐다. 즉
현대의 방위표시 - 북쪽을 바라보고 표시
팔괘의 방위표시 - 남쪽을 바라보고 표시
1 乾(天) - 南
2 兌(澤) - 東男
3 離(火) - 東
4 震(雷) - 東北
5 巽(風) - 西南
6 坎(水) - 西
7 艮(山) - 西北
8 坤(地) - 北
[2] 복희팔괘를 해석하는 기준
복희는 고대 중국 중원을 중심으로 괘를 배치하는데, 8방향의 특징을 대칭으로 배치한다. 우선 4정(四正)에 해당하는 배치를 보면, 乾(하늘) 坤(땅) 離(태양. 불) 坎(달. 물)이다. 천지일월이다.
1. 사정위(四正位) - 십자(十) 방향으로 천지일월을 나타낸다.
천지정위(天地定位)
남쪽을 바라보면 위에는 하늘이 있어 건(乾)이고 아래는 땅이 있어 곤(坤)이다. 그래서 건(乾)은 위에 배치했고 곤(坤)은 아래에 배치했다.
수화불상사(水火不相射)
리(離)는 불(火)이고 감(坎)은 물(水)다. 리화(離火)가 동방에 있는 것은 붉은 태양이 그 곳에서 떠오르기 때문이고, 감수(坎水)가 서방에 있는 것은 차가운 달이 있기 때문이다.
2. 사간위(四間位) - 대각선 방향으로 중원을 중심으로 지형의 모양을 그렸다.
산택통기(山澤通氣)
태(兌)는 간(艮)과 상대를 하는데, 이를 가리켜 '산택통기(山澤通氣)'라고 한다. 간(艮)은 산(山)이고, 태(兌)는 택(澤. 습지)이라고 한다. 간산(艮山)이 서북에 있는 것은 서북방이 본래 높은 산악지대이기 때문이고, 태택(兌澤)이 동남방에 있는 것은 동남방이 본래 지대가 낮아서 습기가 많으며 수상도시(水上都市)가 많기 때문이다.
뇌풍상박(雷風相搏)
진(震)은 손(巽)과 상대를 하는데, 이를 가리켜 '뇌풍상박(雷風相搏: 번개와 바람은 서로 크게 부딪힌다)'이라고 한다. 진은 뢰(雷)이고, 손은 풍(風)이라고 한다. 진뢰(震雷)가 동북방에 있는 것은 그 곳이 유목민들의 강한 기운이 모여 있는 곳이기 때문이고, 손풍(巽風)이 서남방에 있는 것은 그 곳이 바람(태풍)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
상하좌우 사정위(四正位)에는 천문적인 현상이 나타나 있고, 사간위(四間位)에는 산해(山海) 뢰풍(雷風)이라는 지리적인 현상이며, 이와 같이 복희팔괘에 나타나 있는 괘상(卦象)은 만물을 생성 자양하는 자연의 본상(本象)이 되는 것이며 자연의 법으로 된 팔괘는 자연계의 체상(體象)과 부합된다.
[3] 복희팔괘의 괘. 효
복희팔괘는 하늘의 사상(四象)과 땅의 사상(四象)을 나타낸다.
하늘사상(四像) - 건태리진(乾兌離震) - 밑바닥(시)에 양효 (태양, 소음)
땅의사상(四像) - 손감간곤(巽坎艮坤) - 밑바닥(시)에 음효 (태음, 소양)
3효(爻) : 괘를 이루는 3개의 요소. 밑바닥부터
(시가 양효면 陽, 음효면 陰이다)
복희팔괘는 사물의 형상을 기준으로 하므로, 변화의 기준인 오행과 차이가 있다. 또한 오행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는 음양오행은 복희 팔괘도 이후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복희팔괘는 하늘에서 땅의 형상을 그린 것이고
문왕팔괘는 땅에서 하늘을 그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