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자동차 관세 긴급 대응...정부 "유동성 3조원·투자환경 개선"
(취재=남진희)
9일, 정부는 미국의 자동차 25% 관세부과에 관한 대처 방안으로 3조원의 유동성 지원과 투자환경 개선을 발표했다. 국내 자동차·부품은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산업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정부와 현대·기아차는 기업 경영위기 회복을 위한 유동성 지원에 나섰다. 정부는 정책금융 13조원에서 2조원을 추가 공급하고, 현대 ·기아차는 1조원 규모의 상생 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사의 대출 · 보증 · 회사채 발행을 돕는다. 여기에 정부는 관세 피해 중소기업 대상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확대하고 법인· 부가 ·소득세 납부기한도 최대 9개월까지 연장해 조세부담 완화를 지원한다.
그리고 수출 다변화를 위해 수출 바우처 예산과 무역보험 지원을 확대한다. 수출 바우처 예산은 기존 2,400억원에서 1,000억원 이상 오른다. 무역보험은 한도를 최대 2배 상향함과 동시에 단기수출에 한해서는 보험료 60%를 할인한다. 또, 관세를 피할 수 있는 신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 UAE, 멕시코, 필리핀 등과도 협정을 가속한다.
내수 시장을 위해서는 기업할인에 연동하는 전기차 보조금을 금년 상반기에서 연말까지 운용한다. 동시에 정부 매칭지원비율도 기존 20~40%에서 30~80%로 대폭 확대했다. 신차 구매를 장려하기 위해 개별소비세도 기존 5%에서 3.5%로 낮춰 적용한다.
정부는 R&D 지원에도 나섰다. 자율주행을 국가전략기술로 추가 지정하고 레벨4 이상 자율주행차 판매를 허용한다. 자율주행 레벨4단계는 차량의 인지 및 판단 능력이 레벨3보다 향상되고, 비상 시에도 운전자 개입없이 대처하는 단계를 말한다. 여기에 '자율주행 통합기술 로드맵'과 '미래차 부품산업 기본계획'을 올해부터 마련할 계획이다.
작년, 자동차 대미수출은 완성차 347억불, 부품 82억불로 큰 흑자를 거두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관세 대응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첫댓글 지원정책 내용이 핵심인 기사로 읽힙니다. 제목, 리드와 전체 내용이 다 조응해서 깔끔한 기사라 느꼈습니다.
2조, 투자개선이 제목과 리드인 만큼 나머지 내용도 이에 맞춰주는 건 어떨까요? 내수~알앤디까지는 제목, 리드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는 것 같아서요.
그래서 제목은 쌍따옴표라 괜찮을 것 같고 리드에는 2조와 투자개선 이외 내용을 더 포괄, 요약하는 표현을 쓰는 건 어떨지 제안해봅니다.
고생하셨습니다!
핵심이 잘 드러난 깔끔한 글이었습니다!
그다지 고칠 부분이 보이지 않네요.
자율주행레벨에 관한 설명 부분은 중요한 부분은 아니라 생략해도 될 듯합니다!
더불어 마지막 문단은 도입부에 제시되면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 같네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어려운 보도자료라고 생각했는데, 읽기 쉽게 풀어낸 기사입니다.
지원 정책 내에서도 핵심적인 내용만 잘 정리한 거 같습니다.
리드에서 한번, 마지막에서 다시 한국의 자동차산업(대미수출)을 언급한 것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