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전참묘(南泉斬猫)
남전선사가 고양이를 베다.
선원(禪院)에서 선승(禪僧)들이 묻고 답하는 것을 선문답(禪問答)이라고 한다. 중국(中國) 선사(禪師)들의 선문답은 방할(棒喝)부터 가지가지 물건이 등장한다. 백장선사는 여우를 등장시켰고, 남전선사(南泉禪師)는 고양이가 등장을 한다. 남전선사 회하(會下)에 동당(東堂) 서당(西堂)이 있었는데 두 당 스님들이 고양이 한 마리를 가지고 서로 자기들 당 고양이라고 박이 터지게 싸웠다. 얼마나 소란을 피웠는지 조실(祖室) 방(房)까지 싸우는 소리가 들렸다. 남전선사(南泉禪師)께서 싸우고 있는 대중(大衆) 속으로 나와 보았다. 조그만한 고양이 한 마리를 가지고 서로 동당 고양이다. 서당 고양이다 눈을 부릅뜨고 입에 버끔을 물고 싸우고 있는 꼴이 수행자들이 아니였다. 한심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라, 조실인 남전선사가 싸움을 종결시킬 방법을 찾았다. 싸움의 발단은 수행자들의 집착에서 비롯된 헛된 마음인데, 그 헛된 마음의 발단은 눈앞에 있는 고양인지라, 남전선사는 고양이를 움켜쥐고 가지고 다닌 계도(戒刀) 칼을 빼어들고 싸우는 대중에게 물었다. 대중들아! 자~ 일구(一句)를 던져보아라! 온전히 말하는 사람이 있으면 이 고양이를 살려줄 것이지만 만약에 일구(一句)를 말하는 사람이 없으면 그냥 이대로 목을 베어버릴 것이다. 박이 터지게 싸우던 대중 스님들 중에 한마디도 말하는 사람이 없었다. 누구하나 고양이를 살릴 방법을 말하는 사람이 없는 것을 간파한 남전선사는 칼로 고양이 목을 베어 버렸다. 싸우던 대중들은 파랗게 질려서 조용했다. 남전선사는 곧장 바로 조실 방장실로 가버렸다. 이렇게 해서 동당 서당 고양이 싸움은 끝이 났다. 싸움은 끝났으나 죄없는 고양이만 죽고 말았다. 그날 밤늦게 외출했다가 귀사(歸寺)한 조주선사(趙州禪師)를 남전사사가 조실방으로 불러서 낮에 있었던 일을 물었다. 조주(趙州)야! 만일 네가 그때 있었다면 어떻게 하였겠느냐? 묻자, 조주선사(趙州禪師)는 신고 있던 신발을 벗어서 머리에 이고 나가 버렸다. 이것을 물끄럼히 보고 있던 남전선사께서 하시는 말씀이 그때 네가 있었더라면 고양이는 죽지 않았을 터인데 했다는 선화(禪話)이다.
이 선화의 핵심은 어디가 있는가? 고양이를 두고 싸우는 어리석은 수행자들의 수행 작태이고, 이런 작태를 종식(終熄)시키려고 죄 없는 고양이 산목숨을 살생한 조실의 특단(特段) 조치(措置)가 불살생(不殺生)을 금계(禁戒)로 하는 사찰(寺刹) 도량에서 일어난 일인데, 옳은 방법이냐? 이다. 출가 수행자가 출가 목적은 견성성불(見性成佛)에 있다. 고양이를 두고 싸움이나 하는 꼴이 한심하고 우습지 아니한가? 그 꼴사나운 것을 단칼로 잘라 버린 것이 수행자들의 집착심두(執着心頭)다. 그러나 남전 선사는 낮에 행했던 일이 걸렸던지 눈 밝은 제자 조주선사에게 낮에 있었던 일로 탈출구(脫出口)를 찾았다고 자위(自慰) 위안(慰安)을 삼는 말이 그때 네가 그곳에 있었더라면 고양이는 죽지 않았을터인데 이다. 남전참묘(南泉斬猫)를 두고 무문혜개(無門慧開)는 송(頌) 하기를 조주가 만일 있었더라면 도리어 이 영(令)을 행하였을 것을, 칼을 빼어 든다면 남전은 목숨을 빌었으리라, 송으로 평(評)을 하였다. 남전참묘(南泉斬猫) 선화는 제자 조주선사가 남전선사를 살렸다고 본 것이다. 정말 그런가? 현문우답(賢問愚答)도 있고, 우문현답(愚問賢答)도 있다. 남전(南泉) 물음에 조주(趙州)는 더러운 신발을 머리에 이고 밖으로 나갔다. 무언질타(無言叱咤)다. 동자(童子)때 부터 모신 스승이 산 고양이를 베어버렸다. 동서당(東西堂) 싸움은 종식됐는데 살생(殺生)한 스승을 말해 본들 시간 낭비다. 그래서 무언연극(無言演劇)이 울림이 크다. 출가 수행자들이 출가의 목적은 냉동댕이 치고, 고양이를 두고 서로 도끼눈 뜨고 박이 터지게 싸움질이나 하는 꼴이 한심작태(閑心作態)라 남전참묘(南泉斬猫)라는 선화가 나오게 된 것이다. 오늘날 절집에도 대상만 달라졌지 똑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지 아니한가? 수행 성불에는 뜻이 없고 감투 자리, 주지 자리를 두고 박이 터지게 싸우는 꼴도 현대판 남전참묘가 아닐까? 각자 마음에 새겨볼 선화(禪話) 화두(話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