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는 구례 읍에서 동쪽으로 5.4km 떨어진 곳,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천년 고찰로 544년(백제 성왕22년)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다하여 절의 이름을 화엄경(華嚴經)의 화엄 두 글자를 따서 붙였다고 한다. 처음에는 해회당과 대웅상적광전만 세워졌고 그 후 643년(선덕여왕 12년) 자장율사에 의해 증축되었고 875년(신라 헌강왕1년)에 도선국사가 또 다시 증축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30년(인조 8년)에 벽암선사가 절을 다시 세우기 시작하여 7년만인 인조 14년(1636년)에 완성하였다.
사찰 내에는 각황전을 비롯하여 국보 4점, 보물 5점, 천연기념물 1점, 지방문화재 2점등 많
은 문화재와 20여동의 부속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건물의 배치에 있어서는 일주문을
지나 약 30˚꺽어서 북동쪽으로 들어가면 금강역사, 문수, 보현의 상을 안치한 천왕문에 다
다르는데 이 문은 금강문과는 서쪽 방향으로 빗겨 놓은 것이 독특한 특징이다. 이 천왕문을
지나 다시 올라가면 보제루에 이르고 보제루는 다른 절에서 그 밑을 통과하여 대웅전에 이
르는 방법과는 다르게 누의 옆을 돌아가게 되어 있다. 절 내에서는 동.서 두 개의 탑이 사선 방향으로 보이며 동측탑의 윗부분보다 한단 높은 더위에 대웅전이 있고 서쪽탑의 윗부분에는 각황전이 위치하고 있다.
화엄사 부도군
화엄사 일주문
조선 인조18년(1640년)에 벽암선사가 중건 했고 고종3년(1866년)주지
지선스님과 도감 회성스님이 연목과 부연보수, 1919년에 진응스님이 도리일부,
부연, 연목보수, 1998년 종걸스님이 보수을 하였다. 글씨는 선조대왕의
네 번째 부인의 네째 아들인 의창군의 글입니다.
벽암국일도대선사비
이 비는 임진왜란때 소실된 화엄사를 중창하신 벽암스님(1575~1660)의 비이다
금강문 내에 밀적금강상과 보현동자상
금강문 내의 문수동자와 나라연금강상
화엄사 천왕문
용 두마리와 거북 두마리로 조성된 화엄사 수조
화엄사 당간지주
높이 2.9미터 이 당간지주는 화엄사 앞뜰에 있는 보제루의 오른쪽에 있다. 그런데 이것은 일반적인 당간지주와는 달리 지주의 끝부분이 앞뒤로 둥글게 깎여 있다. 뿐만 아니라 옆면 모서리의 모를 죽이는 방식이 중간부 까지만 나타나고 있어 색다른 느낌을 준다.
보제루
지방문화재 제49호
누각은 정면7칸, 측면4칸의 맞배지붕 누각형식의 건물로 인조때 벽암선사가 중창하시고 순조27년(1827)에 금봉우익선사가 크게 고치고 1974년 12월에 리산 도광선사께서 중수하셨습니다.
화엄사 보제루 현판
현판위에 벌들이 집을 지었네요.
화엄사 서오층석탑
동탑에는 아무런 조식이 없는데 비하여 서탑에는 조각과 장식이 가득찬 장엄한 탑으로 2중기단 위에 세워진 5층방형탑이다. 특히 하대석과 중대석은 한 돌로 붙여서 만들고 각 면에는 안상(眼象)을 새기고 그 안에 12지신상을 방향에 따라 우수한 솜씨로 조각하였다.
상층기단 중석의 각면에도 귀기둥과 탱주로 구분한 다음 각 구분된 면내에 8부신장 입상 1구씩을 조각 배치하였다. 그리고 옥개석은 각층마다 5단의 받침을 갖추고 추녀밑은 수평이 되게 했다. 전각의 반전이 경쾌하고 체감률도 우수하다.
상륜부에는 2층단이 있는 노반과 함께 그 위에 보주가 남아있다. 고준하면서도 상하의 체감률이라든지 유연한 지붕돌이 잘 조화되어 경쾌하면서도 우아한 모습을 갖춘 서오층석탑은 높이 6.4m이며, 보물 제133호로 지정돼 있다. 또 석탑 남면 중앙에는 측면에 안상과 함께 윗면에 연꽃 3개가 예쁘게 조각된 배례석이 있다.
1995년 8월 1층 몸돌에서 통일신라시대인 8-9세기의 것으로 보이는 흰색 종이 1점과 두 귀가 달린 청자병 등이 발견되었다. 이 종이뭉치는 폭 6cm, 길이 27cm로, 손으로 쓴 사경일 가능성이 높으며, 화엄종찰에서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화엄경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화엄사 동오층석탑
보물 제132호
화엄사 대웅전 앞에는 동서로 쌍탑이 서 있다. 그 중에 동쪽에 서 있는 것이 이 탑으로 크기는 서로 비슷하지만 서탑이 조각과 장식이 화려한 반면, 동탑은 아무런 장식 없이 단정하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서탑의 기단이 2단인 것과는 조금 다른 모습이다.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탑신부는 1층 몸돌이 높이에 비해 넓어 안정감이 있다. 또한 각 층 몸돌 너비의 줄어드는 정도에 비해 높이의 줄어드는 정도가 적어서 늘씬해 보인다. 지붕돌은 매우 평평하고 얇은데 몸돌을 따라 너비의 줄어드는 정도가 큰 편이며, 그 중 1층과 2층의 차이가 한층 크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있고, 다시 사잇기둥을 두어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를 올려놓았다.
이 탑은 일반적인 통일신라시대의 탑이 2단 기단인데 비해 1단 기단으로 되어 있고, 기단부의 돌구성이 다소 느슨해진 경향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만들어진 시기는 서탑과 비슷한 9세기 경으로 짐작된다.
요사
운고각
지방문화재 제175호
운고각은 1918년 금정암에 계시는 세월(世月)비구니께서 중건하시고 1976년 명선(明煽)스님이 중수를 했으며 1998년 종열(宗烈)스님이 기와번와와 단청불사를 했다.
명부전
조선 16대 인조대왕 8년 경오(1630) 벽암선사(碧岩禪師)가 중건하였고 1970년 경술 리산도광 화상 중수 지장보살(地藏菩薩)과 명부십대왕(冥府十大王)을 봉안(奉安)하고 있다. 액(額)은 1788년 조종현의 글씨이고 불화는 1862년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