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秊 4月2日; 冬至로부터 102日째: 基礎韓文 第13講
扃堂 訓長 李源栽
기초한문 조회수(1강 및 2강은 분반하기 전 조회수입니다)
1강 | 2강 | 3강 | 4강 | 5강 | 6강 | 7강 | 8강 | 9강 |
271 | 246 | 96 | 77 | 32 | 47 | 67 | 45 | 28 |
2023년 1월 9일 제1강부터 3월 26일 제12강 까지 조회수입니다. 고정조회수는 30명으로 추산됩니다.
-----------------------
기초한문의 교육목표는 교육용 한자 1800자를 익히며, 간단한 문장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있습니다. 한문법은 중급에서 다룹니다.
------------
오늘은 ⽷(실 멱) / ⽹, ⺴, ⺲, ⺱, ⺵(그물 망) 부수를 살펴봅니다.
(1) ⽷ : 실 멱
① 실과 관련된 명사(실, 제품,) :
絹(비단 견), 紙(종이지; 처음 삼으로 만들었다),
緖(실머리 서), 統(통;여러갈래의 실을 한데 묶는 실머리), 線(줄 선), 縷(실 루), 經(날 경), 紀(벼리 기), 繩(줄 승), 紈(흰 비단 환), 網(그물 망), 組(끈 조), 紳(큰 띠 신)
② 동사 : 維(벼리유; 매다), 績(길쌈적;길쌈하다), 絶(끊을 절;실이 끊어지다), 繼(이을 계;실을 잇다), 紡(자을 방)
③ 형용사 : 細(가늘 세;실이 가늘다)
④ 색깔에 관한 글자(실을 물들이는 것) : 紅(붉을 홍), 紫(붉을자), 素 (흴소;물들이지 않은 것)
‣‣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 45字
綱(벼리 강) 絹(명주 견) 結(맺을 결) 經(날 경) 系(이을 계)
繼(이을 계) 給(넉넉할 급) 級(등급 급) 紀(벼리 기) 緊(굳게 얽을 긴)
納(바칠 납) 絡(맥락 락) 練(익힐 련) 綠(초록빛 록) 累(묶을 루)
綿(이어질 면) 繁(많을 번) 紛(어지러울 분) 絲(실 사)
索(동아줄 삭;찾을 색) 緖(실마리 서) 線(줄 선) 細(가늘 세)
素(흴 소) 續(이을 속) 純(생사순) 約(묶을 약) 緣(가선 연)
緩(느릴 완) 緯(씨 위) 維(바 유) 紫(자줏빛 자)
績(실 낳을 적) 絶(끊을 절) 組(끈 조) 終(끝날 종) 縱(늘어질 종)
紙(종이 지) 織(짤 직) 總(거느릴 총) 縮(다스릴 축) 統(큰 줄기 통)
編(엮을 편) 縣(매달 현) 絃(악기줄 현) 紅(붉을 홍)
* 統(큰 줄기 통), 紫(자줏빛 자)의 총획수는? <해답>統(5), 紫(5)
(2) ⽹, ⺴, ⺲, ⺱, ⺵ : 그물 망
① 명사 : 羅(새그물라), 罕(그물 한), 罔(그물 망)
② 동사 : 罹(근심 이)
③ 기타 : 署(관청 서), 罪(허물 죄), 罷(방면할 파), 羈(굴레 기)
‣‣ 常用 1800字 中 해당자 : 7字
羅(새그물 라), 罔(그물 망), 罰(죄 벌), 署(관청 서), 罪(허물 죄), 置(둘 치), 罷(방면할 파)
* 買(살 매), 罵(욕할 매), 罹(근심 리)의 부수는?
<해답> 買(貝), 罵(⽹), 罹(⽹)
< 四字小學>
* 주어 및 술어를 찾으세요 * 한문은 영어 구문과 비슷합니다.
飮食親前 毋出器聲
衣服雖惡 與之必着
飮食雖厭 賜之必嘗
平生一欺 其罪如山
若告西適 不復東往
出必告之 返必拜謁
勿與人鬪 父母憂之
見善從之 知過必改
---------------
飮(마실음) 食(밥 식) 親(친할 친) 前(앞 전) 毋(말 무) 出(날 출)
器(그릇 기) 聲(소리 성) 衣(옷 의) 服(옷 복) 雖(비록 수) 惡(악할 악)
與(줄 여) 之(갈 지) 必(반드시 필) 着(붙을 착)
雖(비록 수) 厭(싫을 염) 賜(줄 사)嘗(맛볼 상) 平(평평할 평) 生(날 생)
一(한 일) 欺(속일 기) 其(그 기) 罪(허물 죄) 如(같을 여) 山(뫼 산)
若(같을 약) 告(알릴 고,청할 곡)西(서녘 서) 適(갈 적) 不(아닐 불)
東(동녘 동) 復(다시 부,돌아올 복) 往(갈 왕) 出(날 출) 返(돌아올 반)
拜(절 배) 謁(아뢸 알)
勿(말 물) 與(줄 여) 人(사람 인) 鬪(싸움 투) 父(아비 부) 母(어미 모)
見(볼 견) 善(착할 선) 憂(근심할 우)從(좇을 종) 知(알 지) 過(지날 과)
改(고칠 개)
-----------------------
음 식 친 전 무 출 기 성
飮 食 親 前이어든 毋 出 器 聲하라.
어버이 앞에서 먹고 마실 때, 그릇 소리를 내지 말라
* 飮食: 동사 / 親前 : 부사/ 勿: 금지사 —말라/
의 복 수 악 여 지 필 착
衣 服 雖 惡이라도 與 之 必 着하라.
의복이 비록 나쁠지라도,주시거든 반드시 착용하라(입어라).
* 주어(부모)생략 /與 :동사 /之(의복): 목적/着: 명령
음 식 수 염 사 지 필 상
飮 食 雖 厭이라도 賜 之 必 嘗하라.
음식이 비록 싫을지라도,그것을 주시거든 반드시 맛보아라.
평 생 일 기 기 죄 여 산
平 生 一 欺하면 其 罪 如 山이니라.
평생에 한번 속이면, 그 죄가 산과 같으니라.
* 平 生 一 欺의 주어 및 목적생략/其罪 :주어/如 山: 술어
약 곡 서 적 불 부 동 왕
若 告 西 適하면 不 復 東 往하라.
만약 서쪽으로 간다고 청했으면, 다시 동쪽으로 가지 말라.
*若告西適 :가정/ 不: 부정
출 필 곡 지 반 필 배 알
出 必 告 之하고 返 必 拜 謁하라.
나갈 때는 반드시 (나가기를) 청하고,돌아오면 반드시 절하고 뵈어라.
* 父母 생략
물 여 인 투 부 모 우 지
勿 與 人 鬪하라 父 母 憂 之시니라.
남과 더불어 싸우지 말라, 부모가 그를 근심하시니라.
鬪; 동사/ 之 :人 鬪
견 선 종 지 지 과 필 개
見 善 從 之하고 知 過 必 改하라.
착한 것을 보면 그를 따르고,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라
1. 주어가 될수 있는 것 : (1) 명사및 명사성 短語 (2) 代詞 (3) 形容詞 (4) 數量詞 (5)동사 (6) 主述短語 (7) 述目短語
2. 술어가 될 수 있는 것 : (1)동사 (2) 형용사 (3) 명사 (4) 수량사 (5) 代詞 (6) 부사 (7) 主述短語 (8) 述目短語
|
<읽을거리 >
1. 東方에 初無君長이러니 有神人이 降于太白山檀木下어늘 國人이 立以爲君하니 與堯로 竝立하야 國號를 朝鮮이라하니 是爲檀君이라
2. 新羅始祖赫居世는 都辰韓地하야 以朴으로 爲姓하고 高句麗始祖朱蒙은 至卒本하야 自稱高辛氏之後라하야 因姓高하고 百濟始祖溫祚는 都河南慰禮城하야 以扶餘로 爲氏하야 三國이 各保一隅하니라.
3. 其後에 新羅文武王이 滅百濟高句麗하니 百濟는 歷年이 六百七十八年이오 高句麗는七百五年이라
4. 新羅之末에 弓裔叛于鐵原하야 國號를 泰封이라하고 甄萱은 叛據完山하야 自稱後百濟라하다 新羅亡하니 朴昔金三姓이 相傳하야 歷年이 九百九十二年이라
5. 泰封諸將이 立麗祖하야 爲王하고 國號를 高麗라하야 剋剗群兇하고統合三韓하야 移都松嶽이러시니 至于季世하야 恭愍이 無嗣하고 恭讓이 不君하야 遂至於亡하니 歷年이 四百七十五年이라
6. 天命이 歸于眞主하니 定鼎于漢陽으로 聖子神孫이 繼繼繩繩하여 重熙累洽하여 式至于今하니 實萬世無疆之休라
7. 於戱라 我國이 雖僻在海隅하여 壤地褊小나 人倫이 明於上하고 敎化가 行於下하여 稱之曰錦繡江山이라 玆豈非檀君聖祖之遺化耶아 嗟爾小子는 宜其觀感而興起哉인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