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고(古)의 치법(治法)을 기술(述)하다
설입재(薛立齋)가 이르기를 "여양(癘瘍)에는 당연히 변(變)이 있고 종류(類)가 있어서 부동(不同)하다.
치법(治法)에는 한(汗)이 있고 하(下)가 있으며 폄자(砭刺)가 있고 공보(攻補)가 있어 불일(不一)하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겸증(兼證)은 당연히 경중(輕重)을 살피고, 변증(變證)은 당연히 선후(先後)를 살피며, 유증(類證)은 당연히 진위(眞僞)에 상세히 살펴야 한다.
한(汗) 하(下) 폄자(砭刺) 공보(攻補)의 법(法)은 또한 당연히 그 사람의 허실(虛實)을 헤아리고 그 병(病)의 원위(原委)를 궁구(:究)하여 시치(施治)하여야 한다.
허(虛)는 형기(形氣)가 허(虛)한 것이지만, 실(實)은 병기(病氣)는 실(實)하여도 형기(形氣)는 반드시 실(實)한 것은 아니다." 하였다.
一. 여양(癘瘍)에 폄자(砭刺)하는 법(法)
장자화(張子和) 선생(先生)이 이르기를 '한 번의 한(汗)은 천 번의 침(針)에 해당(:抵)한다.' 하였다. 폄(砭)의 혈(血)은 발한(發汗)이 주편(周遍: 고루 미치다)하는 것만 같지 않다. 그래서 발한(發汗)은 곧 출혈(出血)이고 출혈(出血)은 곧 발한(發汗)이니, 두 가지는 하나의 진(津)이다.
만약 악혈(惡血)이 기표(肌表) 경락(經絡)에 응체(凝滯)하면 마땅히 자(刺)하여야 하고 마땅히 한(汗)하여야 하니, 위중(委中)을 취하여 출혈(出血)하면 효(效)한다.
만약 악독(惡毒)이 장부(臟腑)에 온결(蘊結)하면 그 내(內)를 탕척(蕩滌)하지 않으면 나을 수 없다. 만약 독(毒)이 외(外)에 있으면 편신(遍身)의 환처(患處) 및 양비(兩臂), 퇴완(腿腕), 양(兩) 수족(手足)의 지봉(指縫)에 폄자(砭刺)하여 각기 출혈(出血)하지 않으면 그 독(毒)을 반드시 산(散)할 수 없다. 만약 표리(表裏)가 모두 독(毒)을 받으면 외(外)로 폄(砭)하고 내(內)로 설(泄)하지 않으면 그 독(毒)이 결코 퇴(退)할 수 없다.
만약 상체(上體)에 많으면 마땅히 취선산(醉仙散)을 써서 그 내축(內蓄)한 악혈(惡血)을 취하고 치봉(齒縫) 중으로 출(出)하게 하며, 수지봉(手指縫)과 비완(臂腕)을 자(刺)하여 기표(肌表)의 독혈(毒血)을 거(去)하여야 한다.
만약 하체(下體)에 많으면 마땅히 재조산(再造散)을 써서 악혈(惡血) 진충(陳蟲)을 곡도(穀道) 중으로 출(出)하게 하고 지족봉(指足縫)과 퇴완(腿腕)을 침(針)하여야 하니, 1~2일(日)을 격(隔)하여 다시 자(刺)하고 혈(血)이 적(赤)할 정도로 한다.
만약 한열(寒熱) 두통(頭痛) 등의 증(證)이면 당연히 기혈(氣血)의 대보(大補)를 위주로 하여야 한다.
一. 여양(癘瘍)에 경분(輕粉)의 제(劑)를 복용하므로 만약 복통(腹痛)이 거(去)한 후에 농예(膿穢)의 물(物)을 겸(兼)한다면 용약(用藥)을 그치면 안 된다.
만약 구설(口舌)이 종통(腫痛)하고 예수(穢水)가 시(時)로 유(流)하여 갈(渴)을 작(作)하고 발열(發熱)하며 희냉(喜冷)하면 이는 상초(上焦)의 열독(熱毒)이니 마땅히 사황산(瀉黃散)을 써야 한다.
만약 한열(寒熱)이 왕래(往來)하면 마땅히 소시호탕(小柴胡湯)에 지모(知母)를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만약 구(口)나 치봉(齒縫)에 출혈(出血)하고 발열(發熱)하면서 대변(大便)이 비결(秘結)하면 이는 열독(熱毒)이 내음(內淫)한 것이니 마땅히 황연해독탕(黃連解毒湯)을 써야 한다.
만약 대변(大便)이 조화(調和)하면 국방서각지황탕([局方]犀角地黃湯)을 써야 한다.
만약 예수(穢水)가 비록 다하여도 구설(口舌)이 낫지 않거나 발열(發熱) 작갈(作渴)하면서 음냉(飮冷)하지 않으면 이는 허열(虛熱)이니, 마땅히 칠미백출산(七味白朮散)으로 하여야 한다.
一. 여양(癘瘍)으로 수족(手足)이나 퇴비(腿臂)나 각 지권(指拳)이 연(攣)하면 음화(陰火)의 치성(熾盛)으로 기혈(氣血)이 휴손(虧損)하므로 말미암으니, 당연히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에 생지황(生地黃)을 가한 것을 쓰고 환기산(換肌散)을 겸복(兼服)하여야 한다.
一. 여양(癘瘍)에 충(蟲)이 생(生)하는 것은 오방(五方)의 풍사(風邪)가 합(:翕合)하기 때문이다. 상화(相火)는 금(金)을 제(制)하니 금(金)이 쇠(衰)하여 목(木)을 평(平)하지 못하므로 충(蟲)으로 화(化)하고, 내(內)로 오장(五臟)을 식(食)하므로 증(證)이 외(外)로 나타난다. 마땅히 승마탕(升麻湯)으로 사청환(瀉靑丸)이나 화피산(樺皮散)을 송(送)하여 폐간(肺肝)의 사기(邪)를 청(淸)하고, 외(外)로 승장(承漿)을 구(灸)하여 양명(陽明) 임맥(任脈)을 소(疏)하면 풍열(風熱)이 식(息)하면서 충(蟲)이 생(生)하지 않다.
만약 간경(肝經)의 허열(虛熱)이면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으로 좌(佐)하여야 한다.
서동고(徐東皐)가 이르기를 "경(經)에 이르기를 '한(汗)하면 창(瘡)이 낫는다.' 하였다. 하물며 나(癩)의 풍(風)은 특히 창(瘡)에서 가장 악(惡)한 것이므로 여풍(癘風)이라 한다. 제창(諸瘡)에 열(熱)이 구(久)하면 열(熱)은 풍(風)을 생(生)하고 또 여풍(癘風)은 특히 숙살(肅殺)하는 기(氣)에 감염(:染)된 것이므로, 한법(汗法)이 아니면 어찌 독풍(毒風)을 거(去)하겠는가? 따라서 한(汗)하는 일법(一法)은 여(癘)를 치(齒)하는 가장 요(要)한 것이고, 나머지 제방(諸方)은 차제(次第)에 써야 된다. 환자(患者)의 신상(身上)에 양(癢)이 심(甚)하면 풍사(風邪)로 기울(氣鬱)하여 혈(血)이 영부(榮敷)하지 못하여 그러한 것이다. 마땅히 사물탕(四物湯)에 황금(黃芩) 백지(白芷)를 가한 것으로 하여야 하니, 부평(浮萍) 가루를 개어서 복용하니 발한(發汗)하면 낫는다." 하였다.
一. 여풍(癘風)에 구(灸)하는 법(法)
먼저 화피산(樺皮散)을 복용하되, 소(少)에서 다(多)하게 복용하여 5~7일을 복용한다.
승장(承漿)의 혈(穴)에 7장(壯) 구(灸)하고 구창(口瘡)이 나은 후에 다시 구(灸)한다.
이렇게 3회 구(灸)한 후에 이성산(二聖散)을 복용하여 설열(泄熱)하고 혈(血) 중의 풍사(風邪)를 거(祛)한다. 때로 다시 승마탕(升麻湯)으로 사청환(瀉靑丸)을 송하(送下)하면 좋으니라.
혹 년(年)이 심(深)하고 일(日)이 구(久)하면 곧 유풍단(愈風丹) 환골단(換骨丹) 등의 방(方)에서 자세히 살펴서 사용할지니라.
一. 대풍(大風)의 초기(初起)에 두면(頭面)이 소양(搔癢)하고 게다가 홍자(紅紫)한 진괴(疹塊)가 기(起)하면 곧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에 고삼(苦蔘) 천마(天麻) 선태(蟬蛻)를 가한 것 수십(數十) 첩(貼)을 복용(服用)하고 외(外)로는 칠진탕(七珍湯)을 써서 욕세(浴洗)하니, 발한(發汗)하면 쉽게 낫느니라.
대기(大忌)할 것은 오신(五辛) 훈성(葷腥) 후미(厚味)이니, 반년(半年)은 기(忌)하여야 결코 재발(再發)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