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일제시대부터 내려온 국내 장례문화는 바로잡아야 할 부분이 많다.
삼베로 만든 수의와 유족 완장과 리본, 영좌의 국화꽃 장식, 시신 결박, 검은색 상복 등 장례 모습은 조선총독부가 제정한 ‘의례준칙’에서 비롯됐다.
삼베 수의.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1934년 <의례준칙>을 공표하며 값비싼 비단과 명주 사용을 금지하고 삼베로 수의를 만들 것을 강제하면서 보편화된 장례문화이다. 삼베옷은 조선 시대 죄수나 노비들이 입던 옷으로 살아생전 이 옷을 입는 것은 가장 천한 신분을 나타내는 것이었으나 일제가 이를 수의로 입도록 강제한 것은 우리 전통문화를 격하시키고 더욱 악랄하게 수탈하려는 의도였다고 한다.
우리전통은 평소에 입던 옷 중 소중하고 귀한 옷으로 입혀 보내드렸다.
#자유게시글
유족의 완장, 리본
왼쪽 가슴에 다는 검은 리본과 왼쪽 팔에 차는 완장은 조선총독부의 ‘의례준칙’을 따른 방식이다. 의례준칙에는 전통 상복인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생략해 머리에는 두건을 쓰고 두루마기를 입도록 했다.
완장을 찬 것은 상주, 가족, 그리고 문상객을 구분하기 위함이었다
항일투쟁을 하는 독립군이나 항일 투쟁가들이 상가에서 비밀리에 모였기 때문. 이를 감시할 수단으로 일제가 상주를 이용한 것이라한다.
영좌의 국화꽃 장식
국화(菊花)는 일본 황실의 상징이다. 장례 제단에 국화꽃으로 장식을 하고 국화꽃을 헌화하는 것은 이 죽음을 일본 황실에 바친다는 의미이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시신 결박.
염습’이란 시신을 목욕시키고 일체의 의복을 갈아입히는 것이다. ‘염’은 소렴(小殮)과 대렴(大殮)으로 구별하는데 소렴은 옷과 이부자리로 시체를 묶는 것이고, 대렴은 시체를 완전하게 묶어서 관에 넣는 것까지를 말한다.
하지만 이렇게 시신을 꽁꽁 묶어 ‘결박’하는 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밖에 없다. ‘염습’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장례방법으로 알고 있지만 이것은 잘못된 상식이다.
염습의 유래 그 원인 중 하나는 전염병이라 할 수 있다. 의술이 발달하지 못한 시대에는 전염을 막으려면 환자를 격리하거나 매장하는 수밖에 없었다.
검은색 상복
전설 속에 억울하게 죽은 여인들의 이야기 소복 비단 한맺힌 여인의 복식이었을뿐 아니라 상을 당했을때 고인의 죽음을 위로하기 위한 상복의 색이 기도 하다
유족들 중 맏상제는 의례히 삼베옷을 입었고 나머지 유족들은 흰색 베옷을 입었다. 우리 전통에서 흰색은 이렇듯 죽음과 관련된 색이었다 .
검은색 상복은 서양에서 일본으로 또 우리나라로 의미없이 들여온 장례문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