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살(天殺)
1) 천살(天殺) 찾는 법
천살(天殺) 보는 법 |
년지일지 | 寅午戌 | 巳酉丑 | 申子辰 | 亥卯未 |
천살 | 丑 | 辰 | 未 | 戌 |
2) 천살(天殺)의 개념(槪念)
천살(天殺)은 하늘이 내리는 재앙으로 수재(水災), 풍재(風災), 지진(地震)등의 천재지변(天災地變)과 같은 자연재해처럼 인간이 극복하기 어려운 신살입니다. 그러므로 천살을 받는 팔자는 자신의 무능이나 불신 등으로 탄식할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살은 기도하는 방향이 됩니다. 왜냐하면 사람이 일단 노력해도 이길수가 없다고 판단하면 이것은 종교, 철학이 되기 때문인데 천살운에는 이길 수 없는 하늘을 대적하는 격으로 하늘을 보고 통탄하는 일이 생긴다고 하여 천살이라 부르게 됩니다. 그래서 천살은 염라대왕, 임금, 사장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즉 천살을 가진 사람과는 내가 싸워서 이길수가 없기 때문에 복종이 따르게 됩니다. 보통 천살은 12운성으로 보면 양지에 해당합니다. 양지라는 것은 무럭무럭 성장한 아이와 같아서 근심 걱정이 없으니 먹고 놀기만 합니다. 그래서 천살을 가진 사람들은 임금님, 공주병 귀공자처럼처럼 살고 싶어 한다. 받기만 하고 도움을 줄 생각은 못하는 것이 양지에 있는 어린아이인 겁니다. 천살은 왕자병, 공주병 기질이 있기 때문에 브랜드나 고급 명품을 좋아하고 돈은 남이 내더라도 생색은 자기가 내기 좋아 하며 자기가 나서서 일을 주도하는데 잘 안 풀린다. 그러므로 천살띠와는 동업을 피하는 것이 좋고 천살띠는 자신이 받들어야 하는 사람이므로 만약 내가 천살띠의 자식을 두면 세상물정을 모르고 집안 제산을 흩어지게 하는 불효자가 될 수 있으니 자식이 아무리 똑똑하더라도 사업을 물려주거나 유산을 많이 상속하면 좋지 않습니다.
이 천살이 백호살이나 칠살, 형살등의 흉살을 동반하면 천살의 흉액이 가중이 되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다만 거류서배하여 구제함이 있다면 오히려 흉이 작아진다는 점을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3) 근묘화실에 다른 천살 해석
년지천살(年支天殺): 조상으로부터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위치이므로 조상의 덕이 부족하고 가난한 집안 배경이며 혹은 어릴적에는 건강이 좋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부모, 형제, 혈연관계의 덕이 없습니다.
월지천살(月支天殺): 부모나 형제와의 관계에서 부족함이 보이고 특히 형제분란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일지천살(日支天殺): 배우자가 주도권을 쥐고 나를 강압할 수 있으며 부부가 서로 부도덕적인 일로 구설수에 오를 수 있습니다.
시지천살(時支天殺): 자식을 위하느라 자식에게 주도권을 뺏기지만 혹은 부하지원의 배신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4) 육신에 따른 천살 해석
비겁(比劫)천살(天殺): 형제자매나 동료로부터의 분란이 있을 수 있으며 혹은 천살은 권력을 동반하므로 이에 순종하면 비견의 도움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식상(食傷)천살(天殺): 후배나 부하직원, 또는 처가로부터의 위화감으로 곤욕을 당할 수 있으며 이들의 영향을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만약 여자의 경우는 자녀에 해당하므로 식상천살(天殺)은 자신이 받들어야 하는 자식을 두게 되므로 육친관계가 불리하고 만약 동업을 한다고 하면 식상천살 띠와는 사업궁합도 어렵습니다.
인성(印星)천살(天殺): 모친 혹은 외가 쪽의 시달림이 있을 수 있거나 혹은 작은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천살(天殺)이 효신(梟神)을 보았다고 한다면 부모를 속 썩이게 됩니다.
관성(官星)천살(天殺): 남편이나 조직 내에서의 위해 위협이 있고 혹은 순종하므로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천살(天殺) 백호(白虎) 괴강(魁罡)이 정관(正官)이면 관재(官災)를 당할 우려가 많습니다.
편재(偏財)천살(天殺): 천살(天殺)이 편재(偏財)이면 부친이 피를 흘려 다칠수 있습니다. 또한 백호(白虎) 천살(天殺)이 형충(刑沖)을 보면 해당하는 부친은 그 흉의(凶意)가 드러나게 됩니다.
【예시1】정사(丁巳)와 정미(丁未)가 오(午)를 공협(拱夾)하므로 매우 신강한 팔자이다. 그런데 신왕(身旺)을 설기하는 무진(戊辰)은 진상관(眞傷官)을 구성하면서 사주가 두 개의 기운으로 이루어진 양기성상으로 흘렀는데, 진사(辰巳)라망(羅網)에 천살(天殺)백호가 갇혀 있었다. 라망(羅網)은 그물망을 뜻하므로 보통 사물을 강제적으로 억압, 통제 또는 구속, 고정시켜 놓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상관(傷官)이 천살(天殺)백호(白虎)라는 것은 공주병, 왕자병으로 특화가 된 상관기질이므로 말을 듣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이것으로 나의 용신 상관으로 삼는다는 말인 즉, 마땅히 내가 맡아 관리해야 할 단속(團束), 체포(逮捕) 등의 교정직(矯正職) 무리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교정직 근무중]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비견 | 일간 | 상관 | 식신 | 六 神 |
丁 | 丁 | 戊 | 己 | 天 干 |
未 | 巳 | 辰 | 巳 | 地 支 |
식신 | 겁재 | 상관 | 겁재 | 六 神 |
월살 | 지살 | 천살백호 | 지살 | 신 살 |
【예시2】진토(辰土)는 칠살(七殺)인데 천살(天殺)백호(白虎)괴강(魁罡)으로 진진형(辰辰刑)이 되어 있다. 칠살(七殺)이 백호(白虎)괴강(魁罡)과 어울리면 악살(惡殺)이 천살(天殺)에 몰려 있기 때문에 백호(白虎)의 혈광사(血狂死)가 발생할 수 있다. 유유형과 진진형(辰辰刑)이므로 이미 백호천살은 동(動)해 있다고 보면 된다. 그러므로 임진년(壬辰年)에 3개의 진토 칠살을 만나 삼봉칠살이 형을 크게 범했으므로 임진년에 심신 미약을 이유로 아내를 살해하였다고 한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식신 | 일간 | 겁재 | 정관 | 六 神 |
甲 | 壬 | 癸 | 己 | 天 干 |
辰 | 辰 | 酉 | 酉 | 地 支 |
편관 | 편관 | 정인 | 정인 | 六 神 |
천살백호 | 천살괴강 | 장성도화 | 장성도화 | 신 살 |
【예시3】2개의 정관(正官)이 진진(辰辰)형살하는데 천간에는 겁재(劫財)와 상관(傷官)이 모여 중관(重官)을 구성하였다. 이것은 정관이 관형(官刑)에 걸린 것인데 월일지(月日支)가 진사(辰巳)라망으로 연결이 된 것이니 관형(官刑)으로 곧 어두워지는 것이다. 곧 그물에 갇히는 물상이 된다. 이것은 시지의 묘(卯) 재살(災殺)과는 묘진해(卯辰害)로 상천살(相穿殺)을 형성했으므로 평생에 감옥에 한번은 들어간다는 물형이다. 그러므로 이 사람은 채권추심 중 채무자를 때려 죽이고 주범으로 인정되어 사형(死刑)을 당하게 되었다. [하중기]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식신 | 일간 | 상관 | 겁재 | 六 神 |
乙 | 癸 | 甲 | 壬 | 天 干 |
卯 | 巳 | 辰 | 辰 | 地 支 |
식신 | 정재 | 정관 | 정관 | 六 神 |
재살 | 겁살 | 천살백호 | 천살괴강 | 신 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