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식품 19개군의 생리활성
1. 녹혈분말
사슴에서 위생적으로 채취한 혈액을 동결건조한 것.
1) 녹용채취하는 사슴의 종류
1. ELK DEER(미국에서는 엘크, 유럽이나 소련에서는 와피티) 록키산맥을 중심으로해서 야생하고 소련의 시베리아에서도 야생
2. RED DEER(HORSE DEER 馬鹿, NEWZEALAND DEER) 북위46 지역에서 서식하는 사슴의 종류로 스코트랜드에서 뉴질랜드로 이주 할때 사슴을 데리고 가서 사육하는 것을 뉴질랜드 디어라 하고, 몽고의 알타이 산맥에서 서식하다 중국쪽으로 넘어가서 서식하는 것을 마록이라 하고 소련 쪽으로 넘어간 것을 RED DEER. 털 색깔은 서식지에 따라 적색, 회색, 흰색
3. SIKA(꽃사슴, 매화록, 화용) 북위45 지역에 살고 있으며 만주(길림성)에서 나오는 SIKA는 주로 三枝매화 이며 만주록 즉 꽃사슴 위의 3가지 종류중에서 요즘은 엘크와 마록이 교배한 사슴에서 채취한 뿔을 주로 수입 매화록과 마록을 교배한 것을 깔깔이라 하여 털이 까실 까실하다. 뿔이 나온지 45-60일만에 채취하는 것이 적당, 60-80일이 넘으면 골화가 진행되어 약리성분의 함량이 적어짐 좋은 녹용 - 끝이 뾰족하지 않고 둥글어야 하며 분지가 짧아야 하며 잘랐을 때 내용이 치밀
2) 함유성분 녹용의 상대에는 지질이 12-8%, 하대에는 1-2% 함유되어 있는데 이 지질의 80%가 Pantocrine Pantocrine의 주성분은 Genglioside로 49.32%가 함유되어 있고 회분(33.9%), 지질(2%), 질소(8.42%), 칼슘(14.30%), 인(6.82%), 황(0.35%), 마그네슘(0.31%), 나트륨(0.77%), 칼륨(0.28%), 철분(174mg/kg), 망간(2.7mg/kg), 구리(4.0mg/kg), 셀레늄(0.14mg/kg)
3) 생리활성작용
조혈촉진작용, 항스트레스작용, 소염작용, 생식선자극작용, 성장촉진작용 신경근 자극작용
2. 패류가공식품
굴, 갱조개, 홍합의 살 부분을 원료로 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한 것.
1) 함유 성분
① HDL-Cholesterol이 많고 아미노산이 풍부
② 비타민 B의 함량도 높아서 인체의 생리활성 증진
③ 풍부한 아미노산 함유
④ 지질은 소량함유되어 있어서 저칼로리 식품
⑤ 특히 비타민B1의 함량이 높음
⑥ 아연의 함량이 풍부( 조개 한 개당 2.4mg 함유)
2) 생리활성작용
① 비타민B1이 많아서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식욕을 증진하고 당질의 대사를 촉진하며 신경세포을 활성화
② 아연은 대사활성에 필요한 효소의 활성을 증강
③ 아미노산, 글루타민산, 이노신산 등이 있어서 간대사를 촉진
④ HDL-Cholesterol이 혈중지질을 저하
3) 적응증
① 동맥경화, 고혈압 등에 혈류를 촉진
② 간질환을 예방 및 개선
③ 전립선장애를 개선
④ 혈관장애 개선
3. 베타카로틴 함유식품
베타카로틴을 함유한 식물류, 조류 등에서 성분을 추출 분리 정제 농축한 것.
1) 함유식품
베타카로틴은 당근, 고구마, 자소, 호박, 망고, 시금치, 쑥갓, 물 냉이 등에 많이 포함 -carotene은 짙은 오랜지색의 화합물로서 필요에 따라 인체에서 Vit. A로 전환하는 항산화제의 일종 Vit. A는 과잉 섭취하면 간장해등의 부작용이 있으나 이 베타카로틴은 과잉섭취 해도 부작용이 없음
2) 생리활성작용
① 암예방 : Vit. A와는 별개의 기전에 의해 폐암의 예방효과 일본 암학회에 의하면 천연의 베타카로틴은 신종양에도 효과
② 순환기동맥질환 개선 : 하바드대학 의학부에서는 심장병환자가 1일 50mg씩 하루 걸러 섭취했는데 심근경색, 뇌졸증으로 인한 사망LDL-Cholesterol에 의한 혈관의 폐색작용을 방지
③ 항산화작용 : 유리기가 지방을 산화시켜 과산화지질을 만들어 동맥경화 ,심장발작을 유발하며 노화를 촉진하는데 베타 카로틴은 이러한 활성산소를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작용을 하여 성인병 및 노화를 예방
3) 적응증
① 암 : 항산화작용으로 유리기가 DNA를 공격하는 것을 차단하여 암발생을 예방 특히 폐암에 예방 치료효과
② 동맥경화 : 유리기가 동맥을 공격하여 동맥경화를 촉진하는 것을 예방
③ 성인병 및 노화방지 : 항산화작용으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성인병 및 노화를 방지
④ 골관절염,류마티스관절염
⑤ 만성염증
4) 섭취방법
베타카로틴은 흡수를 좋게하기 위해 기름과 같이 섭취
4. 키토산 함유식품
게,새우등 갑각류의 껍질을 분쇄하여 탈단백탈염화한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진 키토산을 효호처리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가공한 것
키토산은 게, 가재, 새우등의 갑각류의 등껍질과 곤충의 외피, 버섯등 균류의 세포벽 주성분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의 중합체 특별히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물에 용해하지 않고 가열한 진한 알카리 용액에서 용해하거나 묽은 유기산에 용해되어 키토산이 됨
키틴과 키토산을 총칭하여 키틴질이라고 함
키틴질은 식물의 셀루로즈와 같아서 지구상에서 무진장 존재하지만 딱딱하여 이용되지 못하다가 1970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개발 처음에 축산, 어업용의 사료, 살충, 살균제, 오수처리제 화장품의 용제, 각종 막과 랩, 의료용 인공피부, 수술용 봉합사등으로 개발됨
최근에 건강식품, 기능성식품으로 이용되면서 20세기 최대의 천연건강식품으로 각광
1) 생리활성작용
① 자연치유력 증강작용 - 모든 장기의 자연 치유력을 높임.
② 면역능 증강작용 - 암, 간염, 알러지성 질환에 대한 면역능을 강화하는 작용
③ 혈압강하작용 - 소금섭취를 많이 해서 고혈압이 되는 경우 종래에는 그 고혈압의 원인이 식염중의 나트륨인것으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의 愛媛大學의 奧田拓道교수의 연구에서 키토산과 키틴이 장관내에서 염소를 흡착하여 배설하고나면 식염섭취로 인한 고혈압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보고하여 식염중에서 주로 나트륨이 혈압을 높이는 인자로 알고 있었으나 염소도 혈압을 높이는 물질임이 증명 그러므로 식염섭취를 하면서도 키토산을 복용하면 고혈압을 예방.
2) 적응증
암, 간염, 당뇨병, 알러지 질환, 고혈압,고콜레스테롤혈증, 신경통, 요통, 백내장, 만성 변비, 오십견.
5. 푸로폴리스식품
꿀벌이 꽃, 화분등에서 모은 점액(수지강의 물질)과 화분및 꿀벌 자신의 분비물이 혼합된 상태의 물질에서 왁스성분을 제거하여 얻은 푸로폴리스추출물 제품을 주원료로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한 식품. 푸로폴리스는 꿀벌집의 보수, 보강에 사용되는 식물성수지성분의 총체를 말하며 벌집내부로 물, 냉기의 침입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미생물의 증식도 억제하며 벌집내부의 부패, 감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수지성분 이외에 밀납과 타액 성분도 포함되어 있다. 유카리수액의 성분만으로 만들어진 브라질산 푸로폴리스가 불순물이 적고 품질이 인정됨
1)생리활성물질
항염증작용이 강한 푸로폴리스의 주성분은 후라보노이드로 알려져 있다. 수지성분 50-55% 밀납 30% 정유 8-10% 화분 5% 기타 유기산, 지방산, 아미노산, 철, 동, 아연, 망간, 알미늄, 비소, 코발트, 비타민A, B1, B2, C, D, H, P, 엽산, 니코틴산.
2)생리활성작용
후라보노이드는 ⓐ 가수분해효소(Hydrorase) ⓑ 전이 효소(Kinase) ⓒ 산화환원효소(Oxide reductase)와 수산화효소(Hydroxyrase) 이러한 세 종류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통하여
① 항암작용 : 푸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액이 사람의 악성종양 유래 배양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푸로폴리스 음료의 지속적인 섭취로 혈중 NK세포가 증가하여 위암, 췌장암의 치료효과
② 항균작용 : 각종의 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강하다. 항생물질은 세균에 대한 항균력만 있고 바이러스나 진균에 대한 항균력은 없는데 반하여 푸로폴리스는 바이러스나 진균에 대해서도 항균작용 푸로폴리스는 알러지외에는 부작용이 없음 세균은 항생제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생기지만 푸로폴리스에는 저항력을 가지지 못함
③ 면역능증강작용
④ 혈액정화
⑤ 혈관벽 강화작용
⑥ 조직재생촉진작용
⑦ 산화방지작용
⑧ 항염증작용
⑨ 진통작용
3)적응증
관절염, 피부염, 백내장, 알러지, 치통, 치질, 당뇨등 그외 염증에 강력한 항균작용
6. 초유분말식품
젖소가 분만 후 초기에 분비한 우유를 채취하여 유지방을 분리제거한 후 저온 건조등 식용에 적합하도록처리한 초유분말유를 가공한 것 동물의 초유에는 새끼가 성장하는데 필요한 모든 영양소와 필요한 생리활성물질이 들어 있는 완전 식품. 현대에는 각종 난치성 질환이나 성인병들의 발병원인이 영양의 문제에 기인하는 경향이 강하므로 인간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건전하게 성장하는 생리활성물질로서 모유 또는 우유가 각광을 받는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그결과 특별한 물질이 발견되었다.
1)생리활성물질
① 직접 생리작용을 가지는 물질로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갑상선 자극호르몬등의 호르몬과 ganglioside, oligo당, 면역 globulin등이 있고
② 카제인이 분해되어서 만들어진 2차산물로서 칼슘흡수에 깊이 관여하는 칼슘포스포펩티드와 혈압강하펩티드, 섬유아세포성장인자등 함유
2) 생리활성작용
① ganglioside - 이 물질은 당지질의 일종으로서 사람의 뇌에 많이 존재하므로 뇌의 발달과 기억에 관여 사람의 유즙에 함유된 ganglioside는 대부분 GD3 와 GM3인데 수유시기에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분비된다. 즉 수유개시기에는 GD3가 모유의 거의 전부를 점유하다가 점차 감소되면서 GM3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60일 경에는 역으로 GM3가 100%분비된다. 이 60일 간의 시기에는 신생아가 급격히 성장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ganglioside가 뇌의 발달에 깊이 관여
② Lactoferin- 철결합성을 가진 당단백질로서 모유이외의 타액에도 함유되어 있다 장관 내에서 합성 유아의 감염증에 대해 항균작용을 하는 것 외에 장관내의 비피더스균의 증식을 촉진하여 대장내의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항염작용과 면역계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작용
③ Erythropoetin - 당단백으로서 체내에서는 주로 신장에서 합성 빈혈시에는 Erythropoetin 의 혈중농도가 높으므로 적혈구가 형성되는데 중요한 역할 , 동물실험에서 저단백식을 계속하면 혈중의 Erythropoetin이 감소하고 조혈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관찰 ④ -casomorphine - 모유를 먹은 유아들이 잠을 잘 자는 것에 착안하여 진정효과를 가진 물질로서 우유에서 obioidepeptide를 분리 이 물질은 식후의 혈중 인슈린치를 상승시키고 음식의 장내통과시간을 지연시켜 소화흡수를 증강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면역작용에도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이 밝혀져서 항암물질로서 기대된다.
7. 헴철식품군
소, 돼지의 혈액을 효소등으로 처리하여 분리한 헴단백부분을 식용에 적합하도록 정제하여 철분강화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
인체내의 철분은 체중kg당 45mg 함유되어 있다 이것의 70%정도가 혈액중의 적혈구의 주성분인 헤모글로빈에 함유되어 있다. 헤모글로빈1분자에 철이 1원자 함유되어 있고 철1원자는 산소1분자와 결합되어 산소헤모글로빈(신선한 혈액)이 된다. 이 산소헤모글로빈은 폐에서 산소를 받아서 전신으로 보내고 탄산가스를 전신에서 폐로 내 보낸다.
1일 필요한 량은 약 10mg이며 철분을 많이 함유한 식품은 해조류, 효모, 맥아, 호박씨. 시금치등에 많이 함유
무기 철분만 따로 섭취하면 체내에서 헤모글로빈으로 합성되어야 하므로 무기철보다는 헤모글로빈의 형태로 섭취하면 체내에서의 생산율이 높으므로 철 결핍성 빈혈에 많이 사용
8. 옥타코사놀 ( OCTACOSANOL )
귤, 소맥배아등에서 추출, 농축, 정제한 기름을 캡슐등으로 가공한 것
옥타코사놀은 긴 사슬을 가진 지방족 고급 알콜에 속한 탄소수 28개의 말단에 수산기가 붙은 일급 지방족 고급 알콜 분자식은 CH8(CH2)26CH2OH이고 분자량은 420.77, 백색의 결정이며 융점은 섭씨 83도이다 옥타코사놀은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Physical fitness연구소의 토마스 카크 크렌박사등이 소맥배아유에서 생리활성물질의 하나로 발견 1926년에 소맥배아유가 소의 생식장애를 치료하는 것을 알게되고 1937년에는 사람에게도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이 효과가 비타민 E로 생각했다. 1939년에 Cureton 박사등이 이 것이 소맥배아유중의 옥타코사놀 때문인 것으로 밝혀내었다.
1)생리활성작용
옥타코사놀의 효과에 대해서 The Physiolosical Effect of Wheat Germ Oil in Human in Exercise라는 크렌튼 박사의 저서에 의하면 하루에 옥타코사놀1000mcg와 자연의 긴 사슬류 알콜2000mcg 를 함유하는 농축 소맥배아유를 사람에게 경구 투여한 결과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① 인내력, 체력, 정력의 증진
② 반응시간개선, 예민성향상
③ 스트레스하에서의 기초대사율 안정
④ 성호르몬의 분비자극
⑤ 근육의 글리코겐 저장율 개선
⑥ 수축기 혈압의 저하
⑦ 기초대사율 향상되어 내구력 증진
2) 적응증
① 스태미너 증진
② 운동내구성 향상
③ 혈중콜레스케롤 감소
④ 운동후의 근육통 예방
⑤ 혈액순환의 개선
⑥ 절박유산, 조산,사산,임신중독증 감소
3) 안전성 부작용
동물에대한 급성독성실험에서는 투여한계량인 1200mg/Kg이상에서도 안정성이 확인되엇음
4) 사용법
매일 3.85mg, 6주간 투여후 체력테스트에서 효가가 있는 것으로 보고
9. 달맞이꽂 종자유 ( evening primrose oil, EPO)
달맞이 종자로 부터 정제하여 얻은 달맞이유를 캡슐로 가공한 것
달맞이 꽃은 북미지방의 인디언이 1000년 전부터 진해, 진통약으로 내복하고 외상에는 외용약으로 사용해왔었다. 이것이 17세기경에 유럽에 보급되어 King's cure all(왕처럼 만능약)이라고 불리어 오다가 19세기 말경까지는 망각되어 있었다. 1930년대에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이 종자유에 γ- liolenic acid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linoleic acid는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불포화필수 지방산인데 홍화유, 대두유, 면실유에 풍부히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달맞이 꽃 종자유에는 γ- liolenic acid가 전 지방산의 7.5%가 함유되어 있고 이 성분은 다른 종자유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다. 그외에는 모유에 함유되어 있다 그러므로 달맞이 종자유의 특이점은 이 γ- liolenic acid에 있다고 하겠다. 원래 linoleic acid를 섭취하면 인체에서 δ- desaturase라는 효소에 의해 γ- liolenic acid로 합성되어 이것이 푸로스타글란딘 1 series로 되어 강한 생리활성작용을 나타낸다.
그런데 가공식품의 첨가물을 많이 복용하거나, 미식, 포식,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알콜의 多飮등에 의해 δ- desaturase의 활성이 약화되어 리놀산에서 γ- liolenic acid으로의 전환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되면 음식물로 부터 쉽게 공급받는 아라키돈산으로 부터 생성되는 PG2 시리즈가 많이 생성되는 반면 리놀렌산에서 합성되는 PG1시리즈의 생성이 억제되어 인체는 PG2 와 PG1과의 작용의 균형을 잃게 되고 여러가지 질병에 이환된다.
1) 생리활성작용
γ- liolenic acid가 효소에 의해 PG1시리즈로 전환되어 발현하는 강력한 생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① 혈압을 하강하고 혈소판 응고를 억제
② 기관지를 확장
③ 자궁을 수축
④ 장관의 연동운동능을 강화 위의 작용들은 PG1이 생성되지 않으면 생리활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γ- liolenic acid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⑤ 최근 악성종양이 δ-desaturase의 부족과 γ- liolenic acid 결핌에 의존한다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2)적응증
① 고혈압체질개선
② 항혈전작용, 항고지혈작용으로 관상동맥질환 동맥질환등을 예방, 순환기계질환에방 치료. 비만증치료
③ 알러지 체질개선
④ 월경전 증후군(생리통, 월경불순)
⑤ 알콜중독
⑥ 숙취해독
3) 안전성 부작용
급성독성 : 흰쥐에게 γ- liolenic acid으로 320mg/kg을 강제로 투여한결과 이상이 없었다, 이용량은 사용량의 약 70배에 상응하는 량임
4) 사용법
아토피성 피부의 임상례에서 γ- liolenic acid으로서 270mg/day로 투약하여 현저한 효과을 얻음
10.해조류가공식품
해조류가공식품은 주로 다시마, 파래, 톳, 미역등을 가공하여 건강보조식품을 만든것
1) 함유성분
엽록소, 아미노산, 알칼리성미네랄, 식물섬유소등
2) 생리활성작용
①식물성섬유소 ( 알기닌, 헤미셀룰로즈) 장내에서 벌크를 형성하여 배변을 원활. 당분의 흡수속도를 완만히 하여 당뇨와 저혈당을 개선. 담즙산을 흡착하여 배설하므로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저하. 발암물질등 불순물을 흡착하여 배설하므로 동맥경화와 발암을 예방
②알칼리성 미네랄(칼슘, 칼륨, 마그네슘, 요드, 셀레늄, 망간, 구리, 닉켈, 코발트등)이 풍부하여 갑상선의 대사촉진, 100g당 6600mg이나 있는 칼륨은 나트륨배설을 촉진하고, 셀레늄은 암을 예방하고, 비타민 U가 함유되어 있어서 만성위염과 십이지장 궤양을 에방. 또 이 미네랄(칼슘, 마그네슘, 구리, 철등)은 체액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뼈조직을 튼튼히 한다③ 엽록소(클로르필)이 세포부활작용을 하므로 소화기의 궤양, 염증을 수복.
④ Polysaccaride가 혈액응고 억제작용
⑤ 항암작용
⑥ 리놀산, 리놀레인산이 혈관속의 지질 침착예방
⑦ Sterol성분(Flucosterol, Sitosterol, chondrillasterol, sitosterol)등이 콜레스테롤침착억제
⑧ Porphysoin이 스트레스성 위궤양치료
⑨ 요오드가 갑상선활성화작용, 신진대사 촉진작용, 성장발육 촉진작용
⑩ 칼슘/마그네슘이 혈압강하작용
3) 생리활성작용과 질병과의 관계
혈압강하작용
항궤양작용
항암작용
혈액청정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하여 심잔질환,
혈관질환예방작용
갑상선기능조절작용
장의 운동기능강화
11.식이섬유질(DIETRY FIBER, FOOD FIBER)
식품중에서 인간의 소화효소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 고분자성분의 총체. 갑각류능 동물성도 있으나 주로 식물세포에서 얻어지는 다당류(POLYSACCHARIDE)
1) 생리활성작용
① 물을 흡수하여 팽창
② 유기분자를 흡착하여 항독작용
③ 이온흡착과 교환능력(유리 -COOH를 가지고 있는 산성의 Polysaccaride즉 펙틴이나 리그난은 양이온 교환성질)
④ 장내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발효되어 PH를 낮춰서 장내유용균의 증식을 촉진하고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
⑤ 장내점도를 증가시켜 인슐린의 분비속도를 조절하고 소화기 염증과 궤양을 예방 ⑥ 아밀라제, 리파제, 트립신등의 소화효소제의 작용을 억제하여 식욕을 억제
2) 분류
① 불용성 밀기울, 쌀겨, 야채등에 들어있는 세포벽의 구조물질-셀룰로즈, 헤미셀룰로즈,리그닌 작용; 분변량을 늘리고 대장운동촉진하여 변비를 예방 결장의 내압을 감소시켜서 게실염예방 담즙과 발암성물질을 흡착하므로 혈중 코레스테롤치를 저하하고 발암을 예방. ②수용성 과일(펙틴)과 , 귀리밀기울, 보리밀기울, 쌀겨, 옥수수외피, 콩지게미에 등에 검과같은 끈적끈적한 물질이 함유되어있는데 이 것들에 섬유질이다.
종류 ; Pectine, Gums, Glucomannan, Alginates, Carrageenan
작용; 위와 소장에서 겔을 만들어 내용물의 배출속도를 완만하게 하므로서 영양소의 흡수를 서서히 일어나게 한다. 특히 당의 흡수를 완만하게 하므로서 혈당량을 조절하여 당뇨와 저혈당을 예방. 혈중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저하하여 고지혈증으로 인한 심장병, 동맥경화를 예방.
3) 적응증
①저혈당을 예방하여 저혈당으로 인한 정신분열증 방지(정신분열환자의 대부분이 섬유질 식사를 하지 않는 저혈당증임)
② 동물성식품섭취를 주로 하는 사람에 비해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적다
③ 당뇨를 예방
④ 콜레스테롤저하하여 심장질환과 혈관질환예방, 혈압강하작용
⑤ 십이지장궤양, 게실염, 과민성대장증후군예방
⑥ 발암예방
⑦ 비만방지
⑧ 변비치료
4) 안전성 부작용
식이섬유질은 소화관으로부터 흡수되지안으므로 부작용은 없으며 단 소화관내에서 유익한 미네랄(Ca,Fe,Zn등)을 흡착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5) 사용법
하루 25-40g 의 섬유질섭취가 적당 섬유질 섭취는 자연식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모든 음식품은 가공을 최소화하여 음식믈이 원래 가지고 있는 모든 성분을 파괴되지 않는 상태로 섭취하는 것을 자연식이라 하는데 자연식을 하면 섬유질은 자연적으로 섭취된다. 우리의 주식인 쌀과 밀은 가운데에 에너지 원인 탄수화물이 있고 바깥부분(속겨)에 그 탄수화물을 대사시키는 비타민 미네랄과 섬유질이 있으므로 모든 곡류를 되도록 가공과 도정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섭취해야 한다.
12.배아유식품( Wheat germ oil )
곡물의 씨눈에 함유된 유지 성분을 추출,농축한 것 곡물의 배아에는 그 식물의 생명을 탄생시키고 건강을 유지하며 젊고 아름답게 하는 모든 성분이 들어 있다.모든 곡물들 중에서 특히 소맥배아에 유효성분이 많이 들어있다
1) 함유성분
배아유에는 천연토코페롤복합체가 함유 감마오리자놀, 리놀산, 리놀레인산,비타민B1,B2등의 각종 비타민과 아미노산등이 함유 배아유는 현미배아유와 소맥배아유가 있는데 현미배아유에는 감마오리자놀이 많고 소맥배아유에는 천연비타민E가 많다.
2) 생리활성작용
감마오리자놀의약리작용;
①간뇌시상하부의 노화가 진행되면 자율신경실조에 걸리는데 이 물질이 노화를 지연하여 자율신경실조증을 개선
②精腺을 자극하여 성중추의 쇠약을 억제
③성장촉진작용
④체내콜레스테롤 저감작용
⑤말초혈관및 피부혈류개선작용 소맥배아유에는 천연비타민E가 7종류( )와 각각의 이성체가 있는데 이들이 서로 상승작용을 하여 천연비타민E 로서의 효능을 극대화
천연비타민 E의 약리작용;
①Homeostasis(인간의생명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힘과 노 력)를 증강
② 성호르몬, 황체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등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며 이 호르몬이 인체의 Homeostasis호를 증강하는 것을 도와서 생식능력을 강화
③세포분열을 촉진하여 장수하게 함-인체는 세포분열을 통하여 성장한다. 이 세포가 한개도 사멸하지 않고 분열하면 인체는 수명을 연장한다. 또 임파구의 운동과 분열, 분비를 촉진하여 암예방에 유효성이 있다.
④체내지질의 산화를 방지 - 인간은 폐호흡을 통하여 얻은 산소의 43%를 생체세포의 산화방지에 사용하는데 천연E복합체에 의해서 산소의 낭비가 감소되어 이 산소가 본래 필요한 곳 즉 근육에 충분한 산소공급이 되어 스태미나가 강해짐
⑤ 혈액순환촉진하여 건강미를 증강
⑥ 미소혈관의 혈전을 방지하여 동맥경화를 예방
3) 적응증
동맥경화, 뇌졸증, 고혈압. 심근경색. 간질환. 갱년기장애. 근위축증. 공해병. 손발저림. 류머토이드. 노화방지등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13. 배아식품군
곡물의 씨눈에 함유된 성분을 추출,농축한 것 곡물의 씨눈에는 그 식물의 생명체를 탄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영양분은 골고루 갖추고 있다.
1) 함유성분
비타민B1, B2, B6,셀레늄, 핵산, 감마오리자놀, 비타민B15,비타민B17, 필수아미노산, 니코틴산, 판토텐산, 엽산, 식물섬유등이함유되어있다.
배아에는 비타민B1과 B2가 백미의 20배나 들어있다.
2)생리활성작용
① B1과 B2는 당질대사를 촉진하고 변비를 치료하고 치질을 완화
② 칼슘의 흡수율을 증진
③ 비타민E는 심근의 운동능을 강화하고 모세혈관의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심장병, 혈관질환을 예방. 세포의 노화를 예방
④ B2,와B6는 피로를 회복하고 수면을 원활히 유도
⑤ 비타민과 미네랄이 관절류머티를 완화
⑥ 식물섬유는 위장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흡수를 촉진
3) 적응증
①변비
②빈혈
③불면
④사고력저하, 건망증
⑤각기
⑥자율신경실조증
⑦동맥경화
⑧만성피로
⑨견통등을 완화. .
14. 매실엑기스
청매나 오매의 씨를 완전히 제거한 후 과육을 강판에 갈아서 그 즙을 약한 불에 24시간-30시간 달여 엑기스로 만든것
1)함유성분
유기산(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카테킨산, 피크린산.칼슘,펙틴, 탄닌등이 다량 함유
2)생리활성작용
① 구연산은 인체에서 포도당이 에너지로 대사되는 과정에서 젖산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로를 회복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칼슘의 체내흡수율을 높임 TAC cycle이 순조롭지 못하면 젖산이 발생하여 근육에 축적되어 세포의 노화, 피로, 견통, 요통, 동맥경화, 고혈압, 간장병, 신경통, 류마티등의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구연산이 TCA cycle을 활성화하여 젖산의 발생을 억제.
② 카테킨산은 강한 해독, 살균효과가 있어서 장내의 살균효과를 높여서 장염을 치료하고 설사를 멎게 함
③ 다량 함유된 칼슘과, 구연산이 칼슘의 흡수를 높이므로 정신을 안정
④ 탄닌이 장내 불순물을 수렴하여 장을 정화
⑤ 유기산이 혈액을 약알칼리성으로 유지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히 하여 모든 기관을 정상화
3) 적응증
①만성대장염
②피로회복
③식욕증진
④식중독과 위경련예방
⑤신경안정
⑥노화방지
⑦동맥경화, 고혈압
⑧신경통발생억제 .
15. 자라분말가공식품
자라를 가공한후 동결건조법으로 분말화하여 제품으로 한 것
1)함유성분
①단백질, 특히 알기닌, 리신, 히스타민, 페닐알라닌, 티로신, 글리신, 알라닌등 필수아미노산이외 18종의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미네랄이 풍부
②식물성 지방과 동일한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있으며 특히 리놀산이 풍부
③칼슘함유량이 높음
④비타민B1,B2,B6 엽산, 판토텐산, 철분, 나트륨등을 함유
⑤ 자라유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
⑥ 콜레스테롤을 많이 함유
2)생리활성작용
①단백질은 생물세포를 형성하는 주요물질로서 혈액, 피부, 근육, 골수, 각질, 건, 손톱등의 구성영양소
②칼슘은 혈액을 알칼리화하고 심근의 수축력을 활발하게 하고 신경을 안정
③ 비타민, 미네랄이 증혈작용
④ 자라유에 있는 불포화지방산이콜레스테롤의 혈관침착을 예방하고 동맥경화, 뇌졸중을 예방
⑤ 콜래스테롤이 담즙의 합성원료가 되고, 세포막의 구성성분이 되며, 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의 합성원료. 이 콜레스테롤은 자라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활성비타민과 함께 정력증강작용.
3) 적응증
①정력증강
②피로에 영양공급
③만성염증에 영양공급
④칼슘으로 신경안정작용
⑤동맥경화, 뇌졸중예방
16. 정제어유제품
다랑어 꽁치, 정어리, 고등어등 등이 푸른 생선의 지방에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인EICOSAPENTAENOIC ACID(EPA)와 DHA를 제품화한 것. 보통 농축된 Fish oil 속에 EPA가 18%, DHA가 12%들어있다
1)생리활성성분
EPA(이중결합 5개), DHA(docosahexaenoic acid, 이중결합 6개)
2)생리활성작용
① 생리작용은 EPA에서 유도된 Tromboxan-A3와 Prostaglandin I3에 의한 것이다. EPA는 육지동물의 지방에 풍부한 arachidonic acid에서 유도되는 Tromboxan-A2의 생성을 저해하는 작용이 있다. Tromboxan-A2는 혈소판을 응집시켜 혈전을 만드는 물질이다.
② 지방산은 체내에 유용하게 작용하는 반면 산화되면 독성이 생기므로, 천연항산화제인 셀레늄, 토코페롤, 베타 카로틴, 비타민 C등과 같은 영양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3)적응증
필수지방산 성분의 건강보조식품의 효과는 곧 Prostaglandins의 생리작용에 의한 것이다.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등 심혈관질환의 예방 1978년 시행된 대규모의 역학조사에서 같은 혈통의 에스키모인임에도 불구하고 EPA가 풍부한 바다동물을 섭취하는 핀란드에 사는 에스키모인에게는 없는 심장병과 혈전증이 유럽인과 같은 식생활을 하는 덴마크의 에스키모인에게는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4) 안전성 부작용
산화하여 과산화지질이 생성하는 우려가 있으므로 극단적으로 다량 EPA섭취는 좋치않다. 흰쥐에대한 급성 및 단기독성실험에서 어떤 부작용도 없었다.
5) 사용법
EPA 1.4g/day을 4주간 쥐에 투여한 결과 혈장 및 혈소판이 현저한증가와 동시에 혈소판응집능이 저하되었다.
17. 대두레시틴 가공식품
대두에서 분리한 인 지질로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로 제제화한 것
레시틴은 공업적으로 콩기릅을 짜고 남은 부산물에서 얻어진다. 레시틴은 대두유 이외에도 계란 노른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1)함유성분
Lecithine은 linoleic acid, choline, phosphoric acid, glycerol의 네가지 성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지로는 콜린대신 이노시톨이 들어 있는 인지질과 혼합된 상태로 들어 있다
2)생리활성작용
레시틴의 주요 생리작용은 다섯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 linoleic acid가 prostaglandin I series가 되어 작용하는 생리활성
* choline이 acethylcholine이 되어 작용하는 생리활성
* 레시틴이 세포막의 성분으로서의 작용
* 레시틴의 지방유화작용
* Inositol로서의 작용
① Linoleic acid로서의 작용
linoleic acid----> dihomonucleic acid----> PG I series ↑ ↑ γ-6-desaturase Zn,Vit.A,B3
① PG I series의 약리작용
ⓐ. 항 염증작용; 류머티관절염, 기타염증성 장애
ⓑ. 월경전증후군
ⓒ. cyclic AMP의 상승작용응로 항 알러지 작용; 습진, 아토피 피부, 천식등
ⓓ. 혈관확장, 동맥압저하, 혈소판응집억제, 콜레스테롤합성억제; 심장질환, 혈 관질환, 다발성 경화증, 비만
ⓔ. 정신분열증
ⓕ. 결손T임파구의 활성화작용
②CHOLINE의 작용
ⓐ choline자체로서의 작용
* 지용성 비타민 A, D, K를 혈중으로 운반
* 간에서 지방대사증진(지방간 방지)
* 골격근수용체세포를 자극하여 근육을 움직이게 함.
ⓑ acethylcholine의 작용
* 골격근수용체세포를 자극하여 근육을 움직이게 함.
* 뇌의 뇌간(간뇌, 중뇌, 연수등)에 가장 많이 존재하며 신경섬유와 다음 신경 세포사이의 시납스에 작용하여 뇌의 명령을 전달하는 물질이다. 그러므로 뇌대사를 촉진하고, 기억력을 증진하며 집중력을 강화.
*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소화관 운동능을 촉진.
③세포막성분으로서의 작용 인체는 약 60조의 세포로 구성되어있고 이 세포의 막 구성성분이 lecithin, cholesterol, protein으로 되어있다. 산소와 중요한 영양소가 세포막을 통과해서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하므로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레시틴의 역할이 세포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레시틴이 부족하면 세포막의 기능을 상실하여 불필요한 유해물질이 세포내로 유입되거나 필요한 물질이 세포내로 유입되지 못해서 세포의 기능이 저하된다. 또 신경세포막의 구성성분도 레시틴이기 때문에 레시틴은 신경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④지방유화작용
ⓐ혈중 콜레스테롤을 유화하여 콜래스테롤의 동맥벽 침착을 방지.
ⓑ담석용해작용(담석증환자의 레시틴농도는 1/3정도)
ⓒ양수에는 레시틴이 있어서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고 다세화로 성장한다 그러므로 양수에 필수 성분이다
ⓓ 지용성비틴과 베타카로틴의 흡수와 이용율을 증가한다
ⓔ 표면 활성작용으로 호흡기 점막 파괴 억제
ⓕ HDL-Cholesterol의 생성증가
⑤ Inositol로서의 작용
ⓐ 혈중콜레스테롤치 저하
ⓑ 심근기능 강화
ⓒ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대사
* 부족하면 콜레스테롤치 상승, 탈모, 습진, 변비, 눈병(노화성백내장)
* 콜린과 아노시톨은 혈중의 인(P)량을 증가시키므로 하루 1000mg복용시에는 칼슘을 동시에 섭취할 것
3)적응증
① 동맥경화, 고지혈증, 뇌졸증, 협심증, 심근경색등 모든 순환기 질환
② 기억력, 집중력저하, 두뇌 영양부족
③ 비만, 지방간
④ 신경장애
⑤ 호흡장애
⑥ 관절류머티
⑦ 알러지질환
⑧ 다발성 경화증
⑨ 월경전 증후군
⑩ 노화방지 .
18. 단백가공식품(Protein)
대두 또는 卵類단백질을 주원료로하여 분말, 과립, 정제, 糊狀, 캡슐로 가공한 것
단백질은 식물성이 있고 동물성이 있는데 동물성 단백질이 단백가가 높기는 하지만 콜레스테롤같은 원하지 않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최근에는 식물성단백질70%,동물성단백질30%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식물성단백질의 공급원은 대두, 맥주효모, 참깨, 김, 다시마등이다 단백질은 세포의 기본적인 구성물질로서 효소, 호르몬, 면역물질, 기억물질, 신경전달물질등의 원료가 되며 체단백의 구성성분이다.
단백질은 20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8종의 필수아미노산은 라이신, 트립프토판,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메치오닌, 로이신, 이소로이신, 발린이며 인체에서 합성되지않고 외부에서 섭취해야 하며 나머지 12가지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할 수 있다. 단백가란 섭취하는 단백질100g을 인체에서 사람의 체단백으로 만들 수 있는 양을 말한다. 단백가가 높을 수록 양질의 단백질이라 할 수 있으며 동물성 단백질이 식물성 단백질보다 단백가가 높다.
인간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완전단백질로서 체중1KG 당 1g의 단백질이 필요하다. 신체건조중량의 1/2이 단백질이다. 체단백의 1/3은 근육의 구성성분이고 1/5은 뼈조직과 연조직으로 쓰이고 1/10은 피부조직의 원료가 된다. 단백가가 50이라면 체중kg당 2g의 단백질이 필요하다.
1)생리활성작용
① 세포질, 세포막,내피망상조직, 핵산의 원료
② 헤모글로빈의 95%가 단백질이다. 그러므로 빈혈환자는 단백질이 모자라면 빈혈이 된다
③ 당분보다 연소율이 높으므로 겨울에는 단백질 섭취를 늘려서 열량생산을 높여야 함
④ 지방의 연소를 도우므로 다이어트식품으로 활용.
⑤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백질 소모가 늘어나므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단백질섭취를 늘려야 함
⑥ 두뇌활동증진, 성장촉진
⑦ 피부미용강화
19. 식물엑기스 발효식품
야채, 과일, 해조류등 여러 식물을 총합적으로 엑기스화하여 발효시켜만든 효소 제품 식물에는 각각 여러 종류의 효소가 존재하여 식물자체의 분해. 합성, 산화, 환원작용을 한다. 이 식물이 가진 효소의 원료를 인체에서 흡수할 수 좋게 발효시켜 만든 제품이다. 인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 많은 효소 반응을 하게 되는 데, 이때 필요한 효소의 원료를 외부에서 섭취하지 않으면 안된다. 현대인은 인스턴트 식품을 많이 섭취하게 되고, 이 인스턴트 식품은 주로 가열 처리해서 가공하므로 식품이 원래 가지고 있는 효소의 원료들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분실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의 원료를 소화, 흡수, 연소, 배설이 잘되는 형태로 만들기 위해 효소발효시켜서 섭취하게 된다. 특히 가공식품은 인체의 효소 활성을 저하하므로 효소제품의 섭취는 더욱 필요하게 된다.
1) 생리활성물질
효소는 Apo-enzyme인 단백질과 Co-enzyme인 비타민, 미네랄로 구성.
2) 생리활성작용
① 단백질, 아미노산이 흡수되기 좋은 형태로 인체에 들어 오므로 영양의 보충작용.
② 체내의 신진대사를 활성화하고 체력을 증진
③위장, 폐, 간, 신장등의 기능을 강화하고 이들 장기의 장애를 개선
④혈압을 하강
⑤변비를 해소
⑥소화 효소의 원료가 되어 타액속에서 전분을 분해하는 아미라제, 위액중의 단백질을 분해하는 펩신, 트립신, 장내에서 지방을 분해하는 리파제등이 활성화 되어 영양분의 소화, 흡수를 촉진
3)적응증
①변비
②체력저하(영양보충과 대사기능강화로 저하된 체력을 강화)
③고혈압
④소화불량
⑤각각의 장기의 기능 강화
20. 효소식품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등 효소의 원료가 되는 성분이 충분히 들어 있는 식품을 발효시켜 그 식품이 가진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제제화 한 것 인간이 어떤 식품을 섭취하면 그 식품에 들어있는 성분이 소화되고, 흡수되고, 분해되고 합성되어 체세포에 필요한 물질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기 까지의 과정에는 수많은 효소가 매개체가 되어야 하며 이 효소가 없으면 인간의 대사기능에 결함이 생기고 기능의 부조화로 인한 질병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체의 대사기능에 관여하는 효소를 완벽하게 섭취해 주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한다.
1) 효소식품의 원료 효소의 원료가 될정도로 영양분이 골고루 들어있는 식품으로는 현미가 가장 적당하고 그 이외 율무, 해조, 알로에 등이 이용. 현미효소는 배아부분에 비타민과 미네랄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고 수십종의 활성효소군이 함유.
2) 생리활성 성분(현미효소)
① 조단백질 25.41%
② 조지방과 식물성지방 26.6%
③ 비타민B1 100g 중 2mg
④ 비타민 B2 100g 중 0.6mg
⑤ 비타민 E 100g 중 65.8mg
⑥ 비타민 Nicotinic acid 46.7mg
⑦ 이외 활성효소군
3) 생리활성작용
① 조직과 세포를 활성화
② 인체의 모든 대사기능을 증진
③ 호르몬의 생성을 촉진
4) 적응증
① 체질개선
② 건강증진
③ 인체대사기은 촉진
④ 소화기능강화
21. 버섯 가공식품
포고, 또는 영지버섯의 자실체 또는 균사의 건조물을 액상, 분말, 과립, 정제, 캡슐로 가공한것
1) 생리활성성분
버섯의 자실체에는 Polysaccaride라는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어서 이 다당체가 다양한 생리활성작용
2) 생리활성작용
① 면역기능을 강화하여 발암을 억제하고 각종염증에 저항력을 증진
② 항혈전작용
③ 혈액순환 촉진작용
3) 적응증
① 혈전과 혈액순환부전으로 인한 탈모, 눈 충혈, 이명, 견통, 피부건조, 생리통, 치질
② 면역능저하로 인한 간염, 암, 각종 염증
22. 로얄제리제품( Royal jilly )
일벌의 인두선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동결건조 또는 생로얄제리를 분말, 과립, 허상, 정제, 캡슐로 가공한 것 로얄제리는 벌중에서도 유일하게 생식능력이 있는 여왕벌의 먹이이다. 여왕벌은 일벌의 3-5배의 체구를 가지고 40배나 오래 산다. 로얄제리는 불노장수의 약으로 불리워지며 현재에는 강장, 강정의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1) 생리활성성분
①로얄제리의 성분은 꿀보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수분을 다량 함유
②지방산등 각종의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
③비타민 B복합체가 벌꿀의 수십배나 들어있음
④ 니코틴산, 판토텐산등이 아주 많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A, C, E등이 다량 함유.
⑤미량 미네랄(K, Ca, Mg, Cu, Fe, P)이 균형있게 들어있는 것이 특징
⑥특히 페로몬이라는 성선 자극 호르몬함유.
⑦아세틸콜린이 로얄제리 1G당 1mg함유
2) 생리성분의 생리활성작용
① 판토텐산은 성장을 촉진하고 노화를 방지
② 간뇌의 노화를 방지하여 자율신경실조증상을 억제
③ 유아의 발육을 촉진하고 소아의 허약체질을 개선
④ 중년층의 정력을 증강하고 불면증, 피부의 노화, 빈혈을 억제
⑤ 류마티 식욕부진등에 좋은 영양소
⑥ 간뇌, 뇌하수체, 부신을 자극하여 이 기관들의 호르몬 분비를 활성화
⑦ 인간의 생명력을 새롭게 하는 물질이 있는 것 같다고 하여 연구중임.
⑧ 아세틸콜린이 뇌신경게를 안정시키고 활성화하며 소화기관운동증을 강화하여 소화를 증진 영양적으로 필수 아미노산종류가 풍부하고 이 필수아미노산이 각각 중요한 작용을 한다 lysine은 성장촉진작용을 하고, methionin은 간 해독작용과 간지방의 침착을 억제 valine은 체력을 회복하여 건강을 증진
23. 알로에 제품
알로에베라 또는 알로에 아보라센스를 가공하여 액산, 호상, 캡슐, 또는 정제로 한 것 알로에는 남아메리카 지중해 연안원산으로 열대지방에 자생했으나 요즘은 세계각지에서 재배하는 생명력이 강인한 식물 알렉산더 대왕이 원정군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휴대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네로의 시의가 알로에 의약효를 기록한 책이 있음
1) 생리활성성분
엽록소, Aloin, Alosin, Aloe-emodin등
2)생리성분의 생리활성작용
① 건위작용-알로인은 고미성분이 있어서 건위제로 작용하며 연용하면 장에 작용하여 위장병에 효능을 발휘
②변비완화작용- 알로신은 담즙의 촉매에 의하여 알로에에모딘으로 변하여 자극성물질이 되어 대장 특히 S상부, 직장에 작용하여 8-12시간 후에 효과
③항궤양작용-알로에울신은 항궤양작용
④항균작용-안트라 퀴논, 알로인은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이 강하고 항생제의 작용을 증강 항생제를 장복하여 균내성이 생기는데 이때 알로에와 병용하면 균내성이 없어짐
⑤보습작용-단당류와 포도당과 만노스의 분자로 된 겔이 외피의 즉은 세포를 밀착시키는 접착성을 가지고 있어서 차단막을 형성하여 외부로 부터 피부에 침투하는 이물질을 막아주고 수분의 발산을 보호하는 보습작용이 강함
⑥소염작용-브라딘키닌의 방출을 억제하여 소염작용, 혈관투과성 억제작용, 통증완화작용
⑦티로시나제 억제작용- 티로신이 멜라닌으로 대사되는 과정중에서 티로시나지를 억제하여 기미생성을 방지.
⑧노화방지-알로에겔을 매일 바르면 콜라겐 농도가 증가되어 피부의 노화를 방지
⑨상처치유- 궤양의 치유속도를 촉진하며 머리카락을 빨리 자라게 하고 지루성 탈모증을 개선. ⑩동맥경화예방- 혈청 콜레스테롤과 인지질,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효과
3) 적응증
①알로에 베라; 급성위염, 위산과다증, 변비, 변비로 인한 치질,피부및 일반외괴질환
②알로에 아보라센스; 신경성위염, 위산저하증, 위무력증, 급성장염, 만성장염, 만성 이완성 변비, 저혈압, 동맥경화증, 피부및 일반외괴질환(창상, 화상, 염좌, 동상, 독충, 습진 무좀등),
③알로에베라와 알로에 아보라센스병용; 급만성간염, 간경화, 다석증, 식중독, 천시, 감기, 늑막염, 폐결핵, 심혈관계질환,, 신, 방괌질환, 당뇨병, 교원병, 각종 염증.
금기
①알로에베라는 위산과다에 작용하여 위산을 저하시키므로 산저하증에 베라는 사용 못함 ②소화성 궤양환자는 알로에 아보라 센스를 사용하지 못함
③아보라센스는 월경중이거나 출혈시에 사영하면 출혈을 과다하게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면 안 된다. 수유부는 베라를 복용하면 아기가 설사할 가능성이 있다.
④ 베라와 아보라센스양쪽 모두에 알러지를 유발하면 알로에 사포나리아를 사용하면 좋다.
Aloe ( 알로에 )
알로에는 백합과에 속해 있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주서식지는 열대지방,현재 500여종이 넘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약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6-7종에 불과,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알로에는 아로에 베라(Aloe barbadensis Mill)와 알로에 아보라센스(Aloe arborescens Mill)의 주종류가 있음 베라는 과산증을 치료하며 아보라센스는 저산증에 효과
1.Physiological mechanism
① 항생작용 - 황색수액에 존재하는 Anthraquinone은 무좀,백선등 곰팡이류에 의한 환부에서 항생작용이 있음
② 뛰어난 수분공급 - 두종의 단당류와 포도당과 만노즈의 분자로 된 내부 겔의 다당류는 긴 고리로 결합되어 느슨한 외피의 죽은 세포를 밀착시키는 접착성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피부로부터 외부의 수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촘촘하고 단단한 차단막을 형성
③ 소염작용 - 내부겔에는 Bradykinin(혈관확장,혈관의 투과성 증가작용)의 방출을 억제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
④ Thyrosinase 억제 - 멜라닌 표피의 기본 배종층에 있는 메라닌 세포에 작용하여 그 형성속도를 늦춰줌
⑤ 신체의 정상세포로 하여금 같은 성질의 세포를 형성케하는 능력 부여,체내의 유독물질을 분해 배출시킴
⑥ 알로에의 성분별 효능 ˙알로인 :변비개선 ˙알로에미틴 :건위작용 ˙알로에틴 :세균의 살균작용 ˙알로미틴 :종양 억제 ˙알로에울신 :궤양치료작용
2.Therapeutic use
① 변비
② 저산증(알로에 아보라센스)
③ 과산증(알로에 베라)
④ 위,십이지장궤양,위염
⑤ 숙취
⑥ 방광염
⑦ 화상,창상등
24. 화분제품
화분을 주원료로 하여 유효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하여 제품화한것. 화분은 그 영양가가 높아서 유럽에서는 완전식품 러시아의 코카서스 지방의 글루시아 족이 장수족이라고 알려져 있어서 조사를 했더니 모두 양봉업을 하고 있으며 매일 화분이 혼입된 꿀로 식사를 하고 있었다. 이 사실에서 화분이 건식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1) 생리활성 성분
① 아미노산이 소고기에 있는 량보다 5-8배나 많고
② 비타민류는 미타민B군을 중심으로 A, C, E, H, Rutin이 풍부
③각종 효소와 호르몬성분
④항바이러스성항생물질
⑤성장촉진에 작용하는 성분 등이 있어서 Perfect food 라 불리운다.
2) 생리활성작용
1957년 프랑스의 화학자 레미 쇼팡이 임상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①장의 기능을 정상화(변비나 하리에 유효 )
②혈중 헤모글로빈증가
③병후 조기 회복하여 체력증진, 체중증가
④정신안정작용
3)적응증
① 변비 또는 설사
② 빈혈
③ 병후회복
④ 신경 정신질환
⑤ 전립선염
⑥ 동맥경화
⑦ 기관지염
⑧ 오래된견통
⑨ 성기능증강
⑩ 성장촉진
25. 알콕시글리세롤( Alkoxyglicerol )
상어 간유등의 동물성 원료로 부터 농축, 탈취, 정제하여 얻은 기름을 캡슐로 가공한것.
Alkoxyglicerol은 1762년에 간유에서 발견했다. 이 성분은 북대서양의 그린랜드부근에 서식하는 상어 간유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후 스웨덴의 아스트리트 부르홀트 박사가 백혈병에 걸린 어린이에게 송아지의 연골을 특수처리하여 복용시켜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는데 그 성분이 알콕시글리세롤로 밝혀졌다. 알콕시글리세롤은 Triglyceride 유도체로서 그 분자구조는 CH2OH- CHOH-CH2O-R로, 지질의 분자구조에 산소원자 하나가 독특하게 결합되어있다. 이 성분은 동물성 음식에 많이 존재하는데 특히 소와 상어의 간유에 많고 인체중에서는 골수, 비장, 간장, 백혈구 및 모유에 있으며 모유중에는 우유의 10배이상 많은 량이 포함되어있다.
1)생리활성성분
Chimylalcohol, BaTYL Alcohol, Selachyl alcohol의 혼합물
2) 생리활성작용
① 인체의 골수세포를 자극하여 백혈구, 혈소판등 인체 면역인자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활성형 생체방어인자로서 저항력을 증강
② 장내 유익균의 생성을 강화
3) 적응증
① 암, 종양, 백혈병등의 질환에 면역능을 증강
② 각종 알러지 질환
③ 간염
④ 만성 염증
26. 포도씨유
포도씨 기름을 캡슐등으로 가공한 것
포도씨유의 주성분은 카테킨과 피크나게놀로 이름지어진 proanthocyanidins이다. 1534년에 자크카티어 일행이 프랑스의 퀘백반도를 탐험하다가 식량이 떨어져서 모두 괴혈병에 걸리게 되었다. 운 좋게 살아남은 사람들이 퀘백의 인디언을 만났는데 이들이 아네다 소나무로 끓인 차를 마시고 습포를 시켰는데 치료가 되었다. 이 아네다 소나무의 잎에는 소량의 비타민C가 포함되어있고 껍질에는 후라보놀이 있다.
400년 후 프랑스보르도 대학의 자크 마스킬리어교수가 퀘백에 교호나교수로 있으면서 소나무껍질, 포도껍질, 여러가지의 견과류의 껍질에 있는 후라보놀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1966년 마스킬리어교수는 이 생리활성리 좋은 후라보놀을 피크나게놀이라고 명명하고 프로안소시아니딘의 미세한 혼합물임을 알아내었다. 프로안소시아니딘은 바이오후라보노이드 중에서도 독성이 없고 수용성이 좋고 높은 생체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크나게놀이라는 바이오후라보노이드는 포도, 크랜베리, 콩, 야채또는 과일등에서 추출 된다.
1)성분 카테킨과 피크나게놀
2) 생리활성작용
카테킨- 항산화작용과 콜라겐의 안정소로 작용하여 피부 단백결합을 강화
피크나게놀-
①항산화작용(후리래디칼청소)
②피부의 부드러움과 탄력증진
③모세혈관, 동맥 정맥의 강화
④순환을 돕고 세포활성을 증진
⑤염증효소의 억제
⑥관절의 유연성증진
⑦기억력감퇴의 회복
⑧히스타민형성억제
3) 적응증
①뇌일혈에 대한 저항성증진
②다리의 부종, 정맥류감소
③시력증진
④당뇨성망막증과 백재장 증상 감소
⑤항스트레스
⑥관절염에 항염작용
27. 스쿠알렌제품( Squalene )
상어간으로부터 정제하여 얻은 스쿠알렌을 주원료로한 제품으로서 캡슐등으로 가공한것 스크알렌은 산소와 빛이 희박하고 40기압이상의 고압상태인 500-1000m의 깊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심해상어의 간에 함유된 기름의 주성분으로 triterpenoids계의 불포화 탄화수소. (C30 H50)의 불포화탄화수소로서 화학구조상 이중결합이 6개가 된다. 상어의 간은 전체체중의 25%, 전체내장의 90%를 차지하고 간유는 상어간의 90%를 차지한다. 1906년 일본의 유지화학자인 쓰지모도 미쓰마루박사가 상어의 간에 존재하는 Squalene이라는 물질을 발견하였고 화학구조식은 1935년 스위스추리히대학의 칼라교수에 의해 밝혀졌다. 불포화탄화수소계열인 스쿠알렌은 이중결합이 6군데나 있으므로 체내에서 이 이중결합의 자리에 체액중의 수소이온과 결합하거나 물을 환원시켜 수소이온(H+)과 결합하여 자신은 포화돠고 물분자로 부터 수산이온(OH-)을 발생시킴으로써 산소를 풍부하게 한다. 물은 보통방법으로는 분해가 되지않고 전기로 분해하거나 자외선등의 강력한 광선이 작용해야 분해된다. 그런데 스쿠알렌은 이렇게 강려한 화합물을 분해시켜 산소를 발생시킨다.
1)생리활성성분
SQUALENE (C30 H50)
2) 생리활성작용
① 산소공급작용 :
H2O--->H+ + OH-
4(OH-)---> 2H2O + O2 + 4e-
스쿠알렌은 인체의 물분자에서 수소를 결합하고 산소를 방출한다. 이렇게 방출된 산소가 체내의 60조개의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여 세포를 활성화한다. 그러므로 산소공급이 필요한 모든 질병에 산소공급목적으로 복용
② 살균작용 : 발생기산소를 발생시켜 이 산소가 활성산소가 되어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각종염증에 대한 살균효과가 높다. 그러나 이 살균작용을 하는 유리기가 세포상해를 입힐 수가 있으므로 여기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③ 체액의 산성화예방 : 인체의 조직세포가 병적인 환경에 놓이게 되면 그 부위의 원상회복을 위해서 산소의 집중적인 공급이 요구되고 이때 산소가 부족하면 인체는 체액의 산소를 조절하는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중 수산이온을 이용하여 스스로 산소를 만들어 공급하므로서 결국 수산이온은 줄어들고 산성체액을 되게하는 수소이온만 남게된다.체액이 산성화되면 산성의 부패변이 발생하고 산성의 부패변은 장에서 아미노산을 탈탄산 효소에 의해 암민을 만들고 이 암민류는 혈액에 유입되어 적혈구를 손상하고 혈관을 수축하며 경련을 일으키는 유해작용을 하여, 심장발작, 혈압상승, 뇌졸증, 적혈구생산활동저해, 반혈등을 유발. 또 이 산성부패변이 생성하는 유독물질은 간장에 운반되어 해독되어야 하는데 이때문에 간 기능이 손상되어 간염이나 간경화가 된다. 스쿠알렌은 체액중의 수소이온과 결합하여 수산이온을 생성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체액을 약알칼리(PH 7.4+-0.05)로 유지하여 유독물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물질대사의 주역인 효소가 가장 적극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줌.
④ 세포부활작용 : 피부의 심부에 침투하여 피하조직세포를 부활하고 기능을 증진시키므로 상처나 화상에 바르면 빨리 회복.
⑤ 혈중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준을 낮춘다. 그러나 스쿠알렌은 콜레스테롤의 원료로 사용되므로 과잉 복용은 삼가
3) 적응증
① 암, 간경화
② 간염, 폐결핵 등의 염증성질환
③ 심장병, 고혈압, 동맥경화
④ 담석증, 신장결석
⑤ 변비, 숙취 이중결합에 수소원자가 모두 채워지면 스쿠알란(C30 H62)이 된다.
이 스쿠알란은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
28. 유산균이용식품
유산균, 비피더스균등 식용가능한 생균을 배양하여 식품에 혼합한 것을 분말, 과립, 정제, 캡슐로서 일반 발효식품 이외의 것. 인간의 체내에는 수많은 세균이 살고 있다. 그 전체의 수를 알기는 어렵지만 말과 같은 큰 동물에서도 세균의 수는 많다. 세균은 몸의 전체에 있지만 특히 구강에서 항문까지 의 과정에 있는 소화기에 집중되어 살면서 증식과 되풀이 하면서 몸에 해를 입히기도 하고 좋은 일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세균이라고 모두 나쁜 것이 아니고 대장균이나 적리균처럼 해로운 균도 있고 요구르트나 김치에 함유된 유산균이나 젖산균처럼 좋은 균도 있다. 이들 세균은 음식물과 공기로 부터 접촉이 제일 많은 입을 통해서 인체에 들어간다.
입안에 있는 세균은 타액 1ml 중에 일천만개가량의 세균이 들어있으며 특히 잇빨과 잇빨사이의 치석에 그 1/3이 존재한다. 잇빨표면, 치근, 연조직표면에도 많은 수가 존재한다. 식후에 양치질을 하는 이유가 이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세균도 위장으로 들어가면 위산에 의해서 거의 전부 사멸한다. 타액속에 존재하는 1천만개의 세균도 공복시의 위액에 의해서 조절되어 1ml당 일천개 이하로 감소한다. 이 때문에 몇몇 대장균등의 유해균이 음식에 섞여서 들어가도 인체에 큰 해를 끼치지 못한다. 이와같이 위액은 유해한 균도, 유익한 균도 살멸시키지만 살아남는 균도 있으니 이들이 비피더스균, 유산간균, 스트렙토코커스등 인체에 유용한 유산균이다. 그런데 공복시에 믾은 음식물이 한꺼번에 많이 위속으로 들어가면 위의 산도가 저하되어 위속의 세균수는 급격히 늘어난다.
이 위액과 질병과는 대단히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위산과다의 사람은 위궤양이 되기쉽고 위산 저하인 사람은 위암이 생기기 쉽다.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위산의 작용이 충분하지 않으면 균이 번식하여 니트로소암민등 발암물질이 생성되어 이 것이 위암의 원인이 되지않나 생각된다. 위에 연결된 소장에서는 세균의 수는 적지만 대장에서는 아래로 갈수록 세균의 수가 증가하여 우리의 장내에는 유해균과 유익균이 그 종류가 백종이상이며 그 수는 수백조개 이상이 살고 있다. 장내 유산균으로서 비피더스균은 1899년 프랑스의 파스퇴르연구소에서 모유 영양아의 사망률에 비해 인공영양아의 사망률이 2.5-3배 높은 원인의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건강한 모유영양아의 변에서는 혐기성유산균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균의 형태가 나무의 가지처럼 뻗어있다하여 비피더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소련의 코카사스지방, 남미의 에콰도르의 빌카밤바, 파키스탄의 펀잡지방등 장수촌의 공통점은 식생활의 소재로서 보리, 밀, 옥수수등 잡곡류, 두류, 야채, 과일등밸런스가 좋은 식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코카사스, 불가리아등 최장수촌에서는 요구르트등 발효유를 상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산균 음료의 활용과 장수사이에는 밀접한 괸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1)생리활성성분 TOP
유산균에 속하는 주용세균은 Lactobacillus acidophillus(유산간균), Stretococcus faecalis(유산구균), 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더스균) 유산균은 발효유, 유산균음료, 치즈, 된장, 김치등의 식품에서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그 유용성이 광범위하다.
2) 생리활성작용
① 비타민 B군을 생성 : 백종류의 장내균의 작용을 구분해보면 유산균과 부패균, 병원균과 비병원균, 비타민생성균과 소비균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산균은 세균의 일종이지만 인체에는 무해한 비병원균이다. 장내에서 유해균과 싸워서 비타민 B군을 생성해서 건강을 유지해주는 중요한 유용세균이다. 무균의 흰쥐에게 엽산 결핍성 사료를 투여하여 사육했더니 이윽고 엽산결핍증이 나타났다. 이 사료를 보통의 흰 쥐에게 투여했더니 엽산결핍증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장내균에 의해서 엽산이 합성되어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실험에서 비타민B1, B2, B6, B12,니코틴산, 판토텐산, 비오틴, 이노시톨, 엽산등의 비타민B군과 비타민K등이 장내상주세균에 의해서 합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장내 상주세균에는 비타민을 분해하는 유해한 세균도 있다. 이와 같은 세균이 번식하면 비타민 결핍증에 걸린다. 또 건강한 사람은 소장의 상부에는 세균수가 적고 유산간균과 연쇄구균등이 많이 있다. 그러므로 위장을 수술하여 절제하고나면 나쁜 세균이 이상 증식하여 지방, 단백질, 당질, 비타민등 영양소의 흡수부전과 설사를 유발 대표적인 예가 비타민B12의 흡수부전에 의한 거대적아구성빈혈이다.
② 유해한 균을 제거하여 발암물질 생성억제 : 장내균에는 유용한 균과 유해한 균이 있어서 건강한 사람은 일정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장내세균총은 개인차가 심하다 즉 동일한 사람에게서도 생활상태와 건겅상태에 따라서 변화가 심하고 연령에 따라서도 변화가 심하다. 유산균이 장내에서 우세하면 장내부패를 주도하는 대장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사멸하여, 발암물질인 암모니아와 독성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구나 유산균이 증가하면 탄수화물으 소비하여 초산등의 유기산을 만든다. 이 것은 장내 PH를 저하시켜 병원균(병원성 대장균, 적리균, 티브스균, 콜레라균, 포도상구균당)에 대하여 강한 항균작용을 발휘하여 이들 병원균의 감염을 방지한다.
또 유기산이 장내 연동운동능을 강화하여 배변을 촉진시켜 세균성 하리에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동물성식품을 많이 섭취하면 육류에 포함된 단백질이나 지방이 장내에서 유해한 세균에 의해 나이트로소암민으로 변하여 강력한 발암성을 갖게 된다. 지방을 과다하게 섭취해도 소화를 위해 다량의 담즙이 분비되고 분비된 담즙이 유해균에 의해 발암물질로 전환된다. 이러한 나이트로소암민은 비피더스균, 유산간균등 유산균에 의해 분해되며 유해한 세균도 유산균에 의해 증식이 억제됨으로 암예방효과가 있다. 유산균은 탄수화물을 소화하여 유산, 초산등 유기산을 만들어 장내PH를 저하시키며 낮은 PH에서 약한 균은 이때 증식이 억제되거나 죽게된다. TOP
③ 장내독소 생산억제 : 유해한 장내의 세균에는 대장균과 포도상구균이 있다. 대장균도 여러 종류가 있어서 적리균이 들어오면 싸워서 제거하는 균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해수랑, 풀장물, 생선식품의 오염지수로 유명하다. 어떤 종류의 대장균, 살모넬라, 적리균등의 유해균은 아미노산(단백질이 분해된 것)에 작용하여 각종 암민을 생성한다. 이 암민은 체내에서 유독한 것이 많고 혈압을 높이기도 한다 그외에 초산염과 결합하여 강한 발암성을 가진 니트로소암민이 된다.
이 외에 이들 유해균은 인체에 유해한 암모니아, 인돌, 훼닐등을 만든다. 이들은 간성 뇌증. 발열, 순환기계의 이상등을 유발하여 발암을 촉진. 그러나 이러한 유해물질도 건강한 사람은 간장에서 해독된다. 병약하거나 극도의 피로시, 약 복용시 등으로 대장균이 증가하면 유해물질이 대량 생산되어 간 해독작용이 일어나므로, 간장장해, 설사, 변비, 대사장해가 생기기 시작하고 빈혈등의 원인
④ 노화억제작용 : 모태내에 있을 때는 세균이 전혀 없는 무균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분만때에는 산도에서 부터시작하여 외부의 세균을 접하게 되어 분만 후에는 여러가지 세균이 체내에 들어가있다. 생후 1 - 2일 경에는 대장균, 장구균, 웰시균(크로스 트리움속) 박테로이디스균등이 장내에서 발견된다. 3-4일이 되면 비피더스균이 나타나고, 앞의 균은 감소한다. 5일경에는 비피더스균이 압도적으로 우세하게 된다. 이와같은 균형에 의해 균총이 유지된다.
이유기에 들어서면 유아형 비피더스균에서 성인형비피더스균으로 변환되어 새로운 박테로이디스, 혐기성연쇄구균등의 혐기성균이 증가한다. 이와같이 이유기에는 장내균총도 크게 변화 . 2-4세부터 성인이 될때까지 장내균총이 동일하게 유지. 노년기에 접어들면 장내균총에 또한번 변화가 온다. 혐기성 균이 우세한 것은 성년기와 변화가 없지만 비피더스균이 감소하고 대장균이랑 웰시균등 유해균이 급속히 증가한다. 여기에서 " 노화는 장내에서 시작한다 "라는 말이 생겼다. 유해균은 장관내의 음식물 특히 단백질, 지방을 부패시켜 유해물질을 만들어 혈액으로 들어와서 전신을 운행하면서 노화를 촉진
⑤ 감기증상완화 : 감기에 걸리면 위장의 운동이 약해지고 위산분비가 적어지게 되어 소화력및 살균력이 저하되게 된다. 소화가 되지않은 음식물이 대장으로 가게 되면 건강할 때는 문제가 없던 유해균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장내의 독소 , 유해물질을 대량으로 생산하면서 설사를 하게 된다. 따라서 유산균을 먹게 되면 장내균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감기로 인한 소화불량, 설사등을 완화.
⑥ 스트레스완화 : 스트레스가 걸리면 감기와 비슷한 상황이 위,장에서 일어나게 되고 그 결과 장내균의 균형이 무너지게 된다. 그러므로 평소에 유산균을 상복하면 스트레스에의한 소화기 증상을 완화. TOP
⑦ 변비치료작용 : 여성의 경우 내분비기능이 대장의 운동을 강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남성에 비해 민감하게 변비에 걸리게 된다. 월경직전에 설사가 되거나 월경직후에 변비가 되거나 하는 현상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나이가 들게 되면 누구나 타액분비, 위산분비의 저하, 장운동의 약화로 인해 비피더스균은 감소하고 웰시균등 부패균은 증가하여 변비가 나타나게 된다. 비피더스균은 정상적인 사람의 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변비인 사람의 변에서는 50%만 볼 수 있다. 비피더스 균에 의해서 변비가 개선되는 것은 장내애서 유산균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유산 및 초산이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켜주기 때문이다. 변비가 되면 대장내에서의 변의 정체때문에 이상발효에 의해 암민, 암모니아, 트리프토판등 유해물질이 다량 생산되어 직장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⑧ 내인성감염 억제작용 : 자발성감염(내인성감염)이라고 하는 것은 체내에서 약한 병원성을 가진 세균이 건강할 때는 억제되어있다가 몸의 저항력이 약해지면 증식하여 여러가지 해를 입히는 균이다. 자발성 감염을 일으키는 균은 대장균, 포도균, 녹농균, 박테로이디스등이다. 건강할 때는 장내균등이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가 저항력이 약할 때 병으로 나타난다. 또한 항생제를 장기간 투여하게 되면 비피더스균은 감소하게 되고 항생제에 내성이 생기기 쉬운 대장균, 녹농균, 박테로이드스등 잠재성 병원균이 증식하게 되어 폐염, 방광염등이 일어나게 된다.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유산균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은 이때문이다.유산균음료는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위내용물의 PH를 상승시켜줄 수 있으므로 살아있는 채로 유산균을 장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⑨ 간경화의 개선작용 : 간 경화가 진행되면 말기로 갈수록 암모니아의 생성량이 증가하여 간성 뇌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간성뇌증의 치료를 위해 유해무질이 있는 장관을 세척하거나 세균이 많은 결장을 잘라내거나 장에서 요소를 분해하여 암모니아를 생성하는 우레아제생성균을 없애는 방법을 사용한다. 유해한 우레아제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비피더스균의 증식인자인 락튜로즈의 투여가 효과적이라는 임상보고가 있다. 알콜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간만 나빠지는 것이 아니라 장내 유해균의 증식도 돕게 되므로 유산균을 평소에 섭취해 두면 좋다.TOP
3) 적응증
① 간경화, 간염
② 변비, 설사와 소화기계의 모든질환
③ 각종염증, 암예방
④ 만성감기, 만성염증
⑤ 담석증, 담도질환
⑥ 식욕부진
⑦ 구내염, 피부염 유용균의 대표 비피더스균 우리들의 건강에 정말 좋은 균은 어떤 균일까. 유산균도 구균이 있고 간균이 있다.
비피더스균은 간균으로서 1974년까지는 유산간균(락토바칠러스)에 분류되어왔지만 1974년부터는 유산간균에서 독립하여 새로운 속(비피더스균속)으로 분류되었다. 이 속도 유산균의 일종이다. 한편 유산간균에는 불가리스와 아시도필러스가 있다.그런데 이들균중에서 가장 유용한 균은 무엇일까. 이제까지는 좋은 작용을 하는 균이 좋은 자균으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에는 오랫동안 장내에 살수 있으면서 좋은 작용을 하는 균이 좋은 균이라고 밝혀졌다. 장내에 살고 있는 세균을 조사해 보면 동일한 유산 간균중에서도 사람과 동물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돼지와 닭에도 다른 균종의 유산 간균이 살고 있다. 이 것은 장내에 살면서 오랫동안의 진화과정을거쳐 사람과 동물에 적응하는 균종과 균의 형태가 달라졌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식품에 함유된 유산균을 음식물로 섭취해도 장내에 살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
예를 들면 요구르트에 함유된 불가리아균은 위액과 담즙에서 전부 사멸된다. 구미에서는 아시도필러스균을 사용한 우유도 개발되었지만 이 균도 장내에서 번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요즘 장내세균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비피더스균의 중요성이 주목되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장내에는 비피더스균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태로 살고 있다. 이 비피더스균은 장내의 환경에 잘 적응하여 정착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비피더스균의 작용의 효용에 대해서는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지만 현 단계에서는 장내에서 가장 유용한 균이 비피더스균임으로 알려졌다.
29. 조류가공식품
클로렐라, 스피루리나를 주원료로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등으로 가공한 것 스피루리나 스피루리나는 따뜻한 호수에서 번식하는 알칼리성 해조 보통 해조류는 청,록,적과 갈색으로 분류된다. 스피루리나는 청-록의 일종으로 그색은 세포속의 엽록소인 피코시아닌의 색갈이다. 이런 것을 청록조류(blue-green algae)라 한다. 스피루리나가 번시하는 호수는 담수보다 훨씬 짜다. PH는 8-11이므로 다른 종류의 미소생물은 존재할 수 없다. 온도또한 35-45도 정도의 고온에서 살고 있으며 60도에서도 살 수 있다. 이런 환경하에서는 미생물의 오염이 없으므로 시피루리나의 위생상태를 좋게한다.
1)함유성분
스피루리나의 특이성은 65-70%가 필수아미노산의 조성이 극히 우수한 단백질이라는 점이다. 또 비타민 B12의 함량이 특히 많아서 한 스푼의 스피루리나가 1일 섭취권장량의 2.5배라 한다. 그외 엽록소, 아미노산, 킬레이트 미네랄, 효소, 람노오스당류등이 흡수하기 좋은 형태로 함유되어있다. 킬로그램당 미네랄 함유량을 보면 칼륨(15400mg), 칼슘(1315mg), 아연(39mg), 마그네슘(1915mg), 망간(25mg), 셀레늄(400mcg), 철(580mg) 인(8942mg), 이노시톨(350mg), 루틴 289mg, 비오틴(0.4mg), 판토텐산(11mg), 베타카로틴이 킬로그램당 1700mg이나 들어있다.
2) 생리활성작용
①완전 단백원 : 필요한 모든 단백질을 완벽하게 함유하고 있고, 클로렐라와는 달리 딱딱한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고기나 콩단백질보다 5배 이상 쉽게 소화할 수 있음.
②엽록소
㉮ 빈혈을 치료.
㉯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히 하여 변비를 개선.
㉰ 위산의 과다분비를 억제하고 위염을 개선.
㉱ 살균작용이 강함.
㉲ 상처의 재생촉진
㉳ 혈관을 넓혀 모든 장기에로의 혈류증가
㉴ 심장의 수축을 강화.
③ 필수지방산(7%정도 함유) 혈중의 콜레스테롤 저하하고 산소의 이동을 활성화한다.
④ 당뇨환자의 에너지원 탄수화물의 함유량은 적지만 주로 람노오즈와 글리코겐이므로 인슈린의 도움 없이 흡수되므로 당뇨환자의 에너지원으로 작용
3) 적응증
① 당뇨병에 안정된 혈당치 유지
② 엽록소가 적혈구생성증가하여 빈혈개선
③ 간염에 영양보급
④ 위궤양수복
⑤ 췌장의 소모를 방지하여 만성췌장염을 개선
⑥ 시력저하예방 : 종합적인 영양의 부족으로 시력이 저하되는데 스피루리나를 상복하면 시력저하를 예방
⑦ 백혈구감소방지
⑧ 노화와 알츠하이머 방지
클로렐라
1)함유성분 50%이상의 양질의 단백질, 5%의 엽록소, 풍부한 핵산(DNA,RNA), 그외 스피루리나와 비슷한 미네랄을 함유하고 특효성분으로 C.G.F(chlorella growth factor)와 -glucan이 있다.
2) 생리활성작용
① C.G.F와 베타글루칸의 작용
㉮ 세균을 잡아먹는 망내계세포를 활성화하여 항균작용이 강함.
㉯ 강력한 해독작용으로 방사선, 중금속등의 부작용에 대해 신체방어작용.
㉰ 적혈구회복을 촉진.
② 혈중콜레스테롤치를 저하.
③ 간장, 신장등 장기의 기능을 향상.
④ 단백질의 합성과 지방대사를 증진.
⑤ 식물다당체가 종양세포억제작용.
⑥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
30. 칼슘함유식품
Calcium
인체의 미네랄중 가장 많이 존재 : 체중의 1.5∼2.2%,골격에 99%,체액에 1%존재 공급원:낙농품,연어,정어리,해산물,녹색잎 채소,아몬드,아스파라거스,당밀,맥주 효모,브로콜리,버터우유,양배추,치즈등
1.Physiological mechanism
① 체내 칼슘의 대사 diet blood bone Vit D3 calcitonin PTH estrogen intestines Ca++ Ca++ PTH feces Vit D3 kidney PTH urine *PTH = Parathyroid Hormone
② 강한 뼈와 치아 형성에 필수적, 골다공증과 관련된 뼈 손실 방지 ˙경구피임제 복용경력자,골절기왕력자 : 폐경기후 골다공증 원인이 됨 ˙폐경기 직후에 골밀도 감소가 급격함. 이때 Ca손실량은 폐경기 후 10년간의 손 실량의 62%에 해당 ˙에스트로겐은 부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여 뼈에서 칼슘의 저장을 촉진 ->여성운동선수와 월경중지 여성에게는 에스트로겐치가 낮기때문에 더 많은 양 의 칼슘이 필요 ˙나이를 먹을수록 위액의 산도 저하:단백질과 칼슘의 흡수율 떨어짐
③ 규칙적인 심박동 유지
④ 신경전달에 필수 미네랄 ˙천연의 정신신경안정제로 작용 ˙뱃속의 태아 골형성 때문에 Ca 뺏기는 임신부의 히스테리 성격,Ca 부족한 지역 민족도 성격 급하고, 다혈성
⑤ 근육성장과 수축에 필요하고 근육경련 예방
⑥ 혈액응고에 필수적
2.Defficiency
① Tetany(근육의 경련과 통증증세) : 혈중의 칼슘이온농도 저하에 기인
② Ricket(구류병) : 주로 비타민 D3결핍으로 칼슘의 흡수가 저해되어 뼈의 발육부진및 뼈의 기형
③ Osteoporosis(골다공증) : 노령화 특히 폐경기후의 estrogen결핍으로 야기
④ Osteomalacia(골연화증) : 성인의 구루병,뼈의 절대량은 변화없이 칼슘함량감소
⑤ 고혈압,동맥경화등의 순환기 질환 : fatty acid와 결합, calcium soaps형태로 배설하여 콜레스테롤과 TG를 감소시키고 혈전의 생성을 방지
⑥ 임신시 칼슘의 요구량 2배로 증가되며 칼슘의 결핍은 pregnancy toxemia유발 (Nutrition for pregnancy,Brit.Med.J.1985)
⑦ 불안,초조,우울증 특히 갱년기로 인한 정신신경 질환은 Hypocalcemia와 깊은 연관 (Psychol.Med.7 : 557-60,1977)
3.Ca supplement의 분류 및 특징
Calcium carbonate Natural From limestone Calcium lactqte Natural A salt of acid from milk,easily absorbed:low potency Calcium gluconate Natural A salt of gluconic acid from glucose, easily absorbed, one needs to take more to got eqivalent potencies Calcium oxide Natural Bone meal Natural Dried bones of cattle:type of Ca closest to Ca found in human bones and teeth:high potency with other trace minerals Dolomite Natural Ca and Mg,not to be used by elderly or persons with poor hydrochloric acid secretions Di-cal phosphate Co-Natural Bone meal or bone ash with additional 22% phosphorus Eggshell Calcium Natural Dried eggshell Oystershell Calcium Natural Nature calcium form with mineral phosphorus interference but with natural trace minerals Liquid Calcium Natural Good for person who has Ca absorption problems
4.Bone meal칼슘제제의 특징
① 천연 어린 송아지의 뼈를 회화하여 살균처리후 미세분말화
② 다른 칼슘제제와 비교하여 체내이용성이 높음
③ 위점막을 자극하는 이온칼슘과 달리 위장장애가 없음
④ 화학합성된 칼슘의 단일염과 달리 많은 종류의 trace mineral을 함유하여 칼슘의 흡 수율과 동화율을 높임
5.Dosage
① 골다공증 : 1000∼2000 mg/day
② 퇴행성 관절증 : 1000mg/day
③ 심장질환 : 1000mg/day (마그네슘 500mg/day 병용)
④ 고혈압,동맥경화 등의 순환기 질환 : 1000∼1500mg/day
⑤ 불면증,우울증 :1000∼2000mg/day(나이아신 100mg과 마그네슘 500mg병용)
⑥ 충치 :1000∼1500mg/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