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사님은
최광식님이시다.
곤충관련공부를 하셨고
국립수목원에서 정년까지 일하셨고
지금은 ㅇㅇ협회의 나무의사관련
일을 하고 계신다.
* 강의는
실습과 실내강의를 병행했는데
강사님이 곤충관련 학식도 뛰어나고
처음 듣는 얘기이기도 하고
재미있게 이야기로 강의를 풀어가시는
능력이 출중하시어
대단히 유용한 시간이 되었다.
곤충관련 이야기를 모아
책을 내셨으면 좋으련만...
* 강의내용
1. 바퀴벌레
_ 은행나무가 살아있는 화석나무라면
바퀴벌레는 살아있는 화석곤충이다.
_ 영하 40도의 극한의 남극기지에서도
5년간 알상태로 생존하다가 깨어난
사례도 있다.
2. 개미
_ 지구상의 살아있는 개미의 수는
약 10경마리라 한다.
_ 지구상의 개미의 몸무게의 합과
사람의 몸무게의 합이 같다고 하니
놀라운 일이다.
3. 벌
_ 일벌은 약 3개월을 살고
여왕벌은 약 3년을 산다
_ 여왕벌은 로얄제리를 먹어서
오래살 수 있다
_ 로얄제리는 온도가 안 맞으면
금방 변하는데 꿀과 섞어서 먹으면
변하지 않고 잘 먹을 수 있다.
4. 유시류, 무시류
_ 날개가 있고 없고에 따른 곤충분류
_ 유시류는 고시류, 신시류로 나뉘는데
날개를 폈다, 접었다를 하느냐
못하느냐로 분류
_ 신시류는 외시류, 내시류로 분류하는데
내시류는 완전변태하는 곤충
_ 정보전달기능을 하는 곤충을
사회성곤충이라 하는데
벌과 개미가 있다.
5. 진득이와 응애
_ 동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이 진득이
_ 식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은 응애
6. 소형인 곤충의 생존능력
_ 극한의 상황에서도 살아 남아 있다.
_ 쌀 한톨은 0.02g /
한끼식사는 쌀 6,000톨을 먹는다.
_ 소형인 곤충은 쌀 한톨가지고도
많은 곤충이 오랫동안 먹고
살아남을 수 있다.
7. 농약
_ 정식명칭은 작물보호제,
수목보호제다
_ 벼농사를 많이 하는 곳이 많이 쓴다.
_ 1위는 중국이고
일본, 한국, 베트남순으로 많이 쓴다.
_ 농약의 대부분은 수입해서 쓰는데
사람치료제인 약을 만드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
8. Tse Tse파리
_ 아프리카에사는 곤충인데
_ K전략곤충...새끼를 많이 두는 전략곤충
_ 새끼를 7일만에 한번씩 7번을 낳는다.
9. 모기
_ 모기기피제 : 뿌리는 잠깐만 효과
뿌린 성분 날아가면 효과없음
_ 모기 물린 곳에 바르는 약은
통증을 멈추는 역활만 한다.
차라리 깨끗히 씻는게 가장 좋다.
10. 격발 [激發] 되는 곤충
농약을 이겨내는 곤충...
같은 종류의 농약을 쓰면
곤충은 결국 그 농약을 이겨내는
방법을 찿아내어 생존한다.
11. 입장의 포도나무
외국신부가 포도나무씨를 가지고
들어와 입장에서 심은 것이
지금의 입장포도가 되었다.
12. 사마귀의 사랑중...
_ 암컷이 수컷을 먹는 이유는
_ 새끼를 위한 영양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지만
_ 사랑행위중 다른 암컷에게
딴 짓을 못하게 하기위함도 있고
_ 머리에서 내리는 흥분상태의 멈춤을
못하게 머리부분을 먹어버리는
이유도 있다.
13. 오배자
_ 붉나무의 가지의 잎에 오배자면충이
낳아 놓은 알이 커서 생기는 생약으로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져 있다.
14. 주홍날개꽃매미
_ 1936년 일본인 이토가 발견하여 명명
_ 개체가 거의 발견 않되어 잊고 있어
추가 발견시 중국꽃매미로
그리고 한 동안은 꽃매미로
지금은 원 이름 찿아 주홍날개꽃매미로
_ 가죽혁대를 만들면 고급으로
인기가 있으며
_ 여성들의 하혈방지약재로도 쓰인다.
※ 곤충은 약재로도 많이 쓰이며
미래의 먹거리로도 연구되고
실제 먹거리로도 쓰이고 있다.
* 강의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