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명상을 통한 몸과 마음 치유
결론
차는 오랜 역사 동안 갖가지 병을 치료하는 약용으로 사용되다가 현대에는 기호식품으로 정착되었다. 차에서 카페인이 발견되고, 카테킨 연구가 시작되면서, 찻잎에서 여러 가지 약리기능과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유익한 기능성분에 대하여 과학자들의 연구가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차 명상을 통한 몸과 마음 치유 연구로, 첫째는 현대의 질병과 만성질환을 치유하는 차의 성분과 약리적 기능에 대한 연구 문헌을 조사·고찰하였다. 둘째는 명상이 불안과 우울, 분노 그리고 스트레스 등 정신 건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 그리고 차의 명상적 기능을 활용한 차명상에 대하여 고찰하고 연구하였다. 세 번째는 행다 명상 프로그램과 행 다 명상 실습에 도움이 되고자 알기 쉽게 도표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차의 주요 성분으로 카테킨(Catechin), 카페인(Caffeine), 테아닌(Theanine), 당류, 엽록소, 플라보노이드(Flavonoied)류 및 안토시안(Anthocyan)류뿐 아니라 비타민C, 비타민E 등 50여 가지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이 과학적으로 밝혀졌다.
차의 약리기능은 항암작용, 동맥경화와 혈압상승 억제작용, 심장병 예방효과, 항당뇨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뇌신경 기능의 조절 및 만성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현대 의학자들의 연구로 검증되어지고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또한, 차와 차생활은 질병의 예방과 치유에 도움이 되며,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대화가 단절된 세대 간에 소통의 기회는 물론 남녀노소가 한 공간에서 자연스럽게 화합되는 동안에 우울과 원망은 사라지고 상생공존의 자비심이 자리하게 되는 것이다. "차(茶)가 곧 선(禪)이고 다선일여(茶禪一如)"라 하였다. 그러므로 차생활이 갖고 있는 명상적 기능을 현대인들이 접근하기 쉬운 명상법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차 명상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주의를 기울여서 차를 우려내는 행다 과정에는 마음이 집중되어야 맛있는 차가 만들어지듯이 잠시 다른 생각이나 조금이라도 마음이 산란해지면 쓰고 떫은 맛의 차가 되기 때문에, 오직 행다에 마음을 집중하고 마음챙겨서 알아차리고 관찰하여야 한다. 나아가서는 알아차리고 관찰하는 그 본래의 성품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차의 행다 과정은 마음이 집중하게 되므로 주의를 기울여서 마음챙겨 알아차리고 관찰하는 훌륭한 명상이 되는 것이다.
마음의 집중은 불편한 생각과 번뇌,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게 한다. 마음챙겨 알아차리는 것은 화가 일어나는 순간 알아차리게 되므로 화로 인한 고통과 괴로움을 사라지게 한다. 또한 마음챙겨 알아차리고 관찰하는 것은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를 자각하여 지혜가 계발되는 명상 수행이라고 하였다. 행다 하는 지금 이 순간 몸과 마음의 변화를 마음챙겨 알아차려서 관찰하고 그 성품을 바라보는 것이 바로 명상수행의 궁극적 목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다 명상은 차인(茶人)들에게는 차를 마시면서 몸과 마음이 고요하고 편안해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마음챙겨 알아차리는 그 순간에 차의 색, 향, 미, 차의 기운을 알아차려 차의 그 성품을 바라보게 되므로 온전한 차를 분별하는 능력을 갖게 되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본 논문의 「Ⅴ.행다(行茶) 명상 연구」에서는 행다 명상의 유형으로 혼자서 명상하는 1인 행다 명상, 여러 사람이 함께하는 집단 행다 명상과 1인 행다 집단 차명상이 있다. 그리고 혼자서도 하고 여러 사람이 함께할 수 있는 연상 행다 명상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행다 명상의 진행단계는 명상 수행정도에 따라 기초단계, 일반단계, 숙련단계, 응용단계로 분류하였으며, 행다 명상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행다 명상의 순서와 동작연습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둘째는 진행 4단계 행다 명상 프로그램이다.
①기초단계(10회 과정): 행다명상 프로그램Ⅰ, 행다 명상 실습Ⅰ,
②일반단계(12회 과정): 행다명상 프로그램Ⅱ, 행다 명상 실습Ⅱ,
③숙련단계(12회 과정): 행다명상 프로그램Ⅲ, 행다 명상 실습Ⅲ,
④응용단계(12회 과정): 행다명상 프로그램Ⅳ, 행다 명상실습Ⅳ의 4단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표에는 각 단계별로 강의 개요, 회차별 이론과 실기, 준비물에 대한 행다 명상 프로그램과 행다 명상 실습에 대한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여 편리하게 활용하도록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행다 명상 프로그램 제시는 대중에게 차명상 프로그램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그 과정을 밝혀보았고, 행다 명상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활용 가능하도록 명시하였다.
선사들은 차와 명상이 다르지 않다고 논하였으며, 차를 마시며 나누는 일은 몸을 건강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고 하였다. 특히 차명상은 마음집중과 알아차림의 수행을 돕는 명상으로 이를 통하여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고 자비와 지혜가 함께하는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정서적 안정이 필요한 현대인들에게는 나눔과 쉼을 위해 차명상의 필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행다 명상이 사람들에게 몸과 마음의 치유에 도움이 되는 것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허준의 『동의보감』과 범해각안의 『다약설』에서와 같이 차의 약리작용은 여러 가지 질병과 질환을 예방하고 치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행다하는 지금 이 순간 마음을 집중하고, 주의를 기울여서 알아차리고 관찰하는 행다 명상을 통한 알아차림의 확립은 과거와 미래의 산란한 마음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마음을 치유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분노가 일어날 때 알아차림은 분노에 대한 무상(無常)과 무아(無我)를 자각(自覺)하고 통찰함으로 분노를 소멸시킨다.
불안이 생길 때 알아차림은 불안에 대한 무상, 고, 무아를 자각하고 통찰함으로 불안을 사라지게 한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알아차림은 스트레스에 대한 무상, 고, 무아를 자각하고 통찰함으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모든 사람들이 행다(行茶) 명상을 통하여 몸과 마음의 건강을 찾고, 앞으로 온전한 차와 함께하는 차생활에도 또 하나의 기회제공이 되고자 한다.
<차명상을 통한 몸과 마음 치유/ 유영재 능인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학과 문학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