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장
善行, 無轍跡, 善言, 無瑕謫, 善數, 不用籌策, 善閉, 不關鍵而不可開, 善結, 無繩約而不可解. 是以聖人常善救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是謂襲明. 故善人, 不善人之師, 不善人, 善人之資. 不貴其師, 不愛其資, 雖智大迷. 是謂要妙.
(성인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잘 나아가는데, (따라서 비유컨대 일부러 일삼은) 수레바퀴 자국을 가지는 바가 없고, 잘 말하는데, (따라서) 흠결을 가지는 바가 없으며, 잘 셈하는데, (따라서) 산가지를 쓰지 않고, 잘 잠그는데, (따라서) 빗장을 쓰지 않지만, 열 수가 없으며, 잘 묶는데, (따라서) 새끼줄을 쓰지 않지만, 풀 수가 없다. 따라서 성인은 늘 그러하게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을 잘 구제하고, 따라서 (그러한) 사람을 내버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으며, (따라서 성인은) 늘 그러하게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잘 일삼지 못하는) 사물을 잘 구제하고, 따라서 (그러한) 사물을 내버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 이것이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 데 있어서, 성인이) 무겁게 여기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밝음이다. 따라서 (성인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대로) 잘 일삼는 사람이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의 스승이 되게 하고,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이 잘 일삼는 사람의 밑천이 되게 한다. (따라서) 그 스승이 되는 바를 귀하게 여기지 않고, 그 밑천이 되는 바를 가엽게 여기지 않으면, 비록 지혜롭다고 할지라도 크게 미혹되게 된다. 이것이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 데 있어서, 성인이) 근본으로 삼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어렴풋함이다.
轍跡, 瑕謫, 籌策. 關鍵, 繩約, 五者, 皆言有爲, 而有迹也. 無此, 則無爲, 而無迹矣.
수레바퀴자국轍跡, 흠결瑕謫, 산가지籌策. 빗장關鍵, 새끼줄繩約, 다섯 가지는 모두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를 일삼는 데 있어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有爲, (일부러 일삼은) 자취를 가지는 바가 있는 바를 비유한다. (따라서 다섯 가지) 이것을 가지는 바가 없다는 말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를 일삼는 데 있어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無爲, (일부러 일삼은) 자취를 가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聖人, 無爲. 常順自然. 而不見其迹. 故以此爲喩.
(사람과 사물을 일삼는 데 있어서) 성인은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無爲. (성인은) 늘 그러하게 (사람과 사물의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 性·命)를 따른다. 따라서 (성인은) 그러한 (유위有爲한) 자취를 드러내지 않는다. 따라서 (노자는 무위無爲한 성인의 모양과 모습) 이것으로써, (당시의 유위有爲한 세상 사람들을) 일깨운 것이다.
聖人, 之於人物, 見其不善. 則常誘, 而導之. 使不善者, 化, 而爲善. 有哀憫之心, 而無賤惡之意. 故善救, 而無所棄. 並包俱容. 而不見好惡之迹.
성인은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데, 그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대로) 잘 일삼지 못하는 바를 살핀다. 따라서 그 (잘 일삼지 못하는 바를) 가르치고, 그것을 이끈다. 잘 일삼지 못하는 바가 (잘 일삼는 바로) 달라지게 하고, 잘 일삼는 바를 일삼게 한다. (따라서 성인은 잘 일삼지 못하는 바를) 불쌍하게 여기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을 가지는 바는 있지만, 천하게 여기거나 추하게 여기는 뜻을 가지는 바가 없다. 따라서 (성인은 잘 일삼지 못하는 바를) 잘 구제하고, 내버리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 (요컨대, 성인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대로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과 사물을) 품는 바와 더불어 하고, 안는 바를 더불어 한다. 따라서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대로 잘 일삼는 사람과 사물,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과 사물을 일부러 일삼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자취를 드러내지 않는다.
襲明, 重明也. 明而又明. 猶言大明也. 林氏曰, 襲者, 藏也. 聖人, 未嘗有棄人棄物之心. 和光同塵. 而與之爲一. 故曰襲明. 亦通.
습명襲明은 (성인은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 데 있이서, 무위無爲를) 무겁게 여긴다는 뜻이다. (성인은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를) 밝히고, 밝힌다는 뜻이다. (성인은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 데 있어서, 무위無爲가) 크게 밝다는 뜻이다. (따라서 송宋나라 유학자) 임희일(林希逸, 1193~1271)은 일컬었다. “습襲은 (성인은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를) 감춘다는 말이다. (따라서) 성인은 일찍이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대로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을 내버리거나, (그러한) 사물을 내버리는 마음을 가져 본 적이 없다. (따라서 성인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자신의) 빛남과 (더불어) 어우러지지만, (세상 사람들의 일부러 일삼아) 티끌된 바(塵; 有爲)와 (더불어) 같이 한다. (성인은 세상 사람들의 일부러 일삼아 티끌된 바塵·有爲) 그것과 더불어 (같이) 하는데, (따라서 성인은 그것이 무위無爲와 더불어) 하나되는 바를 일삼는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성인은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 데 있어서, 유위有爲가) 밝은 바를 감춘다.” 또한, (임희일의 뜻이 노자의 뜻과 더불어) 어우러진다.
資, 資. 而爲善也. 聖人, 善救人, 則不善人是, 聖人, 所資, 而爲善者也.
자資는 밑천이다.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대로) 잘 일삼는 바를 일삼게 하는 바로서. 성인은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대로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을 잘 구제한다.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이 성인 (자신)의 밑천이 되게 하고, 잘 일삼는 바를 일삼게 하는 바가 되게 함으로써.
愛, 惜也. 不愛其資, 言不惜其所資也.
애愛는 가엽게 여긴다는 말이다. 불애기자不愛其資는 그 (일삼음의) 밑천이 되는 바(資; 有爲)를 가엽게 여긴다는 말이다.
人, 但知不貴其師之, 爲大迷, 而不知不愛其資之, 爲不可. 苟不愛其資, 則雖賢智之人, 亦同歸於大迷. 通乎此者, 可謂能得要妙之道.
(그러나) 세상 사람들은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일이 크게 미혹되는 바를 일삼는다는 것은 알아차리지만, 그 밑천을 가엽게 여기지 않는 일이 일삼아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진실로, 그 밑천을 가엽게 여기지 않는다면, 비록 뛰어나고 지혜로운 사람일지라도, 또한 크게 미혹되는 바와 (더불어) 같이 하게 되고, 그것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점과 (더불어) 어우러지는 사람은 (사람과 사물에게 나아가는 데 있어서, 성인이) 근본으로 삼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도(道; 自然)를 얻을 수 있다.
此, 引不貴師, 以明不愛資, 之, 非. 結無棄人無棄物之意.
이 문단은 일컫고, 밝히고, 맺는다.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일, (그) 밑천을 가엽게 여기지 않는 일, 그것은 (모두) 옳지 않은 일이다. (왜냐하면, 본래 저절로 그러한 바自然·性·命대로 잘 일삼지 못하는) 사람일지라도 내버려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하고, (잘 일삼지 못하는) 사물일지라도 내버려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孟子曰, 中也, 養不中. 才也, 養不才. 如中也, 棄不中, 才也, 棄不才, 則賢不肖之, 相去, 其間, 不能以寸. 老子之意, 盖猶此也.
『맹자孟子』는 (「이루하離婁下」에서) 일컬었다. “(지혜로움의) 가운데 자리하는 사람은 (그러한) 가운데 자리하지 못하는 사람을 길러야 한다.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은 (그러한) 재능을 가지지 못한 사람을 길러야 한다. 만약, (지혜로움의) 가운데 자리하는 사람이 (그러한) 가운데 자리하지 못하는 사람을 내버리고,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이 (그러한) 재능을 가지지 못한 사람을 내버린다면, (지혜로움의 가운데 자리하고 재능이) 뛰어난 사람과 그러한 가운데 자리하지 못하고 그러한 재능을 가지지 못한 사람이 서로 멀리 떨어지게 되고, 그 사이가 좁혀질 수 없게 된다.” 노자의 뜻이 이와 같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