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타리(목책, 전기울타리 등)를 설치하면 좁은 지역이지만 울타리 안쪽으로는 멧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멧돼지가 싫어하는 기피제나 퇴치도구 등을 이용하여 특정지역에서 멧돼지의 접근을 막을 수도 있다.
멧돼지는 적응력이 뛰어나 포획압력(hunting stress)이 증가하게 되면 해당 지역에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사냥이나 포획틀을 이용하여 일시적이지만 멧돼지에게 위협을 주는 방법으로 특정지역에서 멧돼지의 피해를 방지 또는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멧돼지는 야생에서 일정한 활동영역을 가지고, 행동반경 안에서 자유로이 돌아다니는 동물이기 때문에 한 지역에서 몇 마리를 포획하거나, 퇴치기 또는 기피제를 이용하여 한시적인 관리를 하더라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른 지역에서 새로운 개체가 유입되어 들어온다.
암컷 어미의 가족군은 6~30마리 정도인데 약 2~40 Km2의 서식영역을 가지며, 이유 직후 여름철 암컷의 행동권은 2~5Km2로 제한되지만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행동권이 10~40Km2로 확대된다(Spitz and Janeau, 1990). 수컷은 약 50Km2의 행동권을 1~2일 동안 순회하는데 반하여 암컷은 새끼 양육기에는 전체 행동권의 일부분만 이용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멧돼지의 국지적 관리는 한시적일 수 밖에 없고,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는 광역단위의 계획을 통하여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농촌진흥청의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예방대책기술개발 보고서(2009) 에 따르면 GPS 추적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한 우리나라 멧돼지의 행동권을 약 1.594 Km2로 파악하고 있다, 시.군별 삼림면적과 서식밀도차이를 고려해서 포획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해당 시.군에 개체수가 300마리 이상 또는 서식밀도가 0.63마리/Km2이상일 경우에 한하여 멧돼지 개체군을 조절한다면 과도한 포획에 따른 지역적인 멧돼지 개체군의 멸종은 피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농촌진흥청(2009)의 연구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예방대책기술개발 보고서 중 농작물 피해예방을 위한 멧돼지의 적정밀도 기준설정 연구에 따르면 멧돼지의 적정 서식밀도는 100ha당 1.1마리다.
우리나라 시도별 멧돼지 밀도
* 지역별 서식밀도 조사결과(국립생물자원관) |
(단위 : 마리/100㏊) |
연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평균 |
'00 |
0.3 |
5.5 |
6.0 |
0.4 |
6.4 |
5.6 |
2.7 |
6.1 |
3.8 |
'05 |
2.3 |
3.4 |
4.0 |
0.5 |
2.7 |
2.1 |
3.2 |
8.3 |
3.7 |
'08 |
0.8 |
3.9 |
6.0 |
0.4 |
3.6 |
2.3 |
3.5 |
7.2 |
4.1 |
'09 |
0.5 |
4.4 |
4.0 |
2.0 |
4.9 |
3.0 |
1.9 |
8.5 |
3.7 |
'10 |
0.3 |
4.5 |
4.7 |
0.6 |
5.9 |
3.5 |
1.4 |
7.1 |
3.5 |
관리방법
기피제 :
농진청 산하기관인 식량과학원, 농업과학원에서 2006~2008년 까지 농가소득을 증대하고 자연생태계 유지와 농작물 보호를 병행할 수 있는, 야생유해동물 퇴치법개발을 목적으로 연구 수행(농촌진흥청. 2009)
-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피제, 기피식물, 유인물질(발정제) 들의 효과 검증
기피제 사용현황
구분 |
사용물질 |
기타 |
후각에 작용하는 것 |
나프타린, 농약입제(토양살충제), 크레졸+포르말린, 크레졸+물, 머리카락, 화장비누, 카바이트, 뒷거름, 호랑이똥 |
|
청각 |
호랑이 포효소리, 양동이, 드럼통, 폭죽소리 |
|
시각 |
석유등, 도깨비불 |
|
기타 |
현수막설치 |
|
기피식물 사용현황
더덕, 장생도라지, 들깨, 메리골드, 투구꽃(초오), 모시대, 천남성
기피제 효과 분석
구분 |
기피물질 |
결과 |
천연물질 |
마늘 |
마늘을 빻아서 먹이주위에 뿌려주었으나 효과 없음 |
머리카락 |
머리카락을 볶아서 먹이주변에 뿌려주었으나 즉시 접근
(효과 x) |
천연물질 |
Neem추출물 |
입제를 먹이에 뿌려줌 -냄새만 맡고 되돌아감
(효과 지속시간 2일) |
화학물질
(농약) |
싸이메트입제 |
입제를 먹이 주변에 뿌려도 효과없음 |
카보입제 |
입제를 먹이주변에 뿌려도 효과없음 |
나프타린 |
망자루에 넣어둠 - 냄새 맡고도 반응 없음 |
시판퇴치제 |
국내외 제품 |
먹이주변에 뿌려도 효과없음 |
비료 |
미량요소복합제 |
입제를 먹이주변에 뿌림 - 2 ~3 회 냄새 맡고 돌아감
(효과지속 1일) |
기타 |
호랑이똥 |
입제를 먹이주변에 뿌림 - 효과지속시간 4시간
(이후 밟고 지나감) |
|
|
|
Neem 추출물 : 동남아시아에서 자라는 Indica Azadirachta(Neem) 수피 추출물로 살충효과 있음.
이상에서 보듯이 Neem추출물(효과 2 ~ 3일)을 제외한 다른 여타의 기피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농촌진흥청. 2009)
농촌진흥청. 2009.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피해 예방 대책기술개발
Spitz F. and Janeau, G. 1990. Spatial Strategies : An attempt to classify daily movement of wild boar. Acta Theriologica, 35(b), 129-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