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문화(東洋文化)의 향기(香氣)<2>
향교(鄕校)의 기능과 역할
문묘(文廟/서울 종로구 성균관로) 성균관 대학과 같이 있음
1. 향교(鄕校)의 기능(機能)과 분포
향교(鄕校)는 고려(高麗)와 조선(朝鮮)시대에 있던 지방 교육기관을 말하는데 유교(儒敎) 교육과 선현(先賢)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2가지 역할을 했는데 오늘날의 중등교육 기관이라고 보면 된다.
서울에 있는 국립 고등교육기관이자 최고학부로 일컬어지는 것이 성균관(成均館)인데 공자(孔子)를 위시한 성현(聖賢)들을 모신 유교 사당(祠堂)인 문묘(文廟)와 성균관 대학(成均館大)도 창설되어 함께 있으며, 부속시설로는 태학(太學), 반궁(泮宮), 현관(賢關), 근궁(芹宮), 수선지지(首善之地) 등이 있다.
현재 전국에 있는 향교들을 살펴보면 경북(慶北) 39, 충남(忠南) 34, 경남(慶南) 28, 경기(京畿) 28, 전남(全南) 28, 전북(全北) 23, 충북(忠北) 18, 강원(江原) 17, 인천(仁川) 4, 대구(大邱)와 제주(濟州) 3, 서울, 부산(釜山), 울산(蔚山), 대전(大田), 세종(世宗) 각 2, 그리고 광주(光州) 1로 모두 합치면 총 236개 향교(鄕校)가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무신론자도 많고 서양에서 들어온 종교(天主敎, 改新敎 등)를 신봉(信奉)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오랜 전통인 유교(儒敎)가 모든 지역에 골고루 뿌리 내리고 있음을 증명한다.
2. 향교의 건물구조(構造)
향교는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는 대성전(大成殿)과 동무(東廡), 서무(西廡)가 있는데 이곳은 향교의 가장 높은 지역으로 제향공간(祭享空間)이다. 이 제향공간에서 계단을 내려오면 아래쪽에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그리고 명륜당(明倫堂)이 위치하는데 이곳은 유생(儒生)들이 기거하며 공부하던 강학공간(講學空間)으로,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는 가운데 정원(庭園)을 중심으로 동쪽의 동재(東齋)는 양반자제(額內校生)들이, 서재(西齋)는 평민(平民)이나 서민(庶民) 자제들(額外校生)이 기거하던 건물인데 쪽마루도, 부엌도 없다. 이 두 제향공간과 강학공간의 사이에는 담장(牆)이 있어 명륜당(明倫堂)에서는 대성전(大成殿)이 보이지 않도록 했으며 대성전으로 들어가려면 세 개의 문이 있는 내삼문(內三門)을 통과해야 한다.
이 문은 세 개의 문이 달려있어 삼문(三門)이라 부르고 그 문의 좌우로 회랑(回廊)이 둘러있어 전랑(殿廊/복도)이라 부른다.
강학공간(講學空間)인 명륜당(明倫堂)에서 외부로 나가는 문을 외삼문(外三門)이라 하는데 이 또한 담장과 회랑으로 이루어져 있고 세 개의 문이 달려있어 외삼문(外三門)이라 불리는 것이다.
외삼문을 나서면 향교로 들어가는 홍살문(紅箭門)이 있고 그 옆으로는 향교의 역사를 기록한 비석들이 늘어서 있는 구조다.
그 밖에 향교관리실(鄕校管理室), 문화관(文化館), 전통혼례 혹은 회혼례(回婚禮)를 올리는 공간, 제례에 쓰는 제수(祭需)를 보관하는 육고(肉庫), 주고(酒庫), 제기(祭器)를 보관하는 제기고(祭器庫)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