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이 되는 건 천민이 되는 것이다.
보부아르의 일침 / 허연 기자
시몬 드 보부아르 (1908~1986)
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MjAxODAxMjZfNjkg%2FMDAxNTE2O TM2ODAxNjY5.VhnIGEGOOMGtTrQ0e4aDKOuaDpwmm1Gv4yYs6kZRxXQg.BJ2UeL hiDqKKtg8f_tJK79Ylq94FJo38t9SvyRV59Skg.JPEG.nmnonmn%2F%25BD%25C3%25B8%25F3_%25B5%25E5_%25BA%25B8%25BA%25CE%25BE%25C6%25B8%25A3.jpg&type=a340
"첨단 소비사회는 노인들을 천민계급으로 만든다"
50년 전 노인문제 꿰뚫어 본 프랑스의 대표적인 지성
요양원을 운영하는 선배에게 이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여기 들어오면 다 똑같아. 제아무리 돈 많고 권력을 누린 사람도, 시대의 석학도 필요 없어. 들어오는 순간 다 노인일 뿐이야."
프랑스 지성 시몬 드 보부아르는
'노인의 지위'는 노인 자신이 정복하고 취득해 가는 것이 아니라 주어지는 것이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실제로 노인들의 운명은 사회집단의 필요와 이해관계에 따라 규정돼 왔다. 한국만 봐도 고려장이 존재하던 시대도 있었고, 죽기 직전까지 노인이 공경을 받았던 시대도 있었다.
그렇다면 첨단 소비사회에서 노인 지위는 어떨까.
보부아르는 이렇게 썼다.
"팽창과 풍요의 여러 신화 뒤에 몸을 숨기는 소비사회는
노인들을 천민계급으로 취급한다."
늙는 것은 곧 천민이 되는 것이라는 보부아르의 말과 요즘 요양원의 세태는 뭔가 통하는 게 있다.
마음이 편치 않지만 사실이다.
젊은이들의 눈총을 받으며 무인 결제 화면 앞에서 쩔쩔매는 노인을 보면 노인을 위한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생명력과 섹시함, 그리고 디지털 친화력이 우선시 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들이 설 자리는 없다.
보부아르는 이런 말도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 사회는 노년기에 접어든 사람들을 분명한 연령 계층으로 보지 않는다.
어느 정도 나이가 지나면 그저 노인이다. 60세든, 70세든, 100세든 노인일 뿐이다."
맞는 말이다. 예를 들어 20대와 30대는 모든 면에서 구별된다. 패션, 소비 성향, 정신, 경험 등이 다르다. 그러나 그렇게 구별되던 이들이 60대를 넘어서면 구분에서 제외된다. 그냥 노인일 뿐이다.
현대사회에서 젊은이들이 노인을 보는 눈은 이율배반적이다.
자신들은 끊임없이 감정이나 욕망을 표시하면서도 노인들이 그것을 표시하면 불쾌한 눈으로 본다.
노인들을 인간의 범주 밖으로 보는 것이다.
자신들은 개방적이면서 유독 노인들에게는 도덕을 요구한다.
젊은이들의 눈에 들려면 노인들은 모두 득도한 성자가 돼야 한다.
(어구구 ᆢ참말로 잉!)
화를 내면 안 되고, 물건에 욕심을 가져서도 안 되며, 이성에 대한 관심을 표시해서도 안 된다.
이것을 어기면 젊은이들이 주인인 세상에서 그나마 남은 시간을 빈축 속에 살아야 한다.
이 같은 기형적 시각에 대한 보부아르의 문제 제기는 과격하다.
"한 인간이 인생의 마지막 15년 또는 20년을
인수를 거절당한 불량품(?)으로 살아야 한다는 사실은 서양 문명의 실패를 보여주는 증거다."
보부아르는 '노년' 이라는 책을 1970년대에 썼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지금 보부아르가 지적한 문제는 더욱 엄혹하게 우리 앞에 와 있다.
슬기로운 노년을 사는 법을 알려준다는 설이 여기저기 나돌지만
모두 '희망고문'에 더 가깝다.
'노년의 역할'을 노인 자신이 아닌 사회와 타인이 결정하기 때문에 노인이 쓸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고령화는 호모 사피엔스 진화에 새로운 위기가 될 것이다.
인류가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하다.
*** 쩝쩝 ᆢ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