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공군 B-52 폭격기의 멋진 모습들 - part 1
□ 개발배경
ㅇ 미국은 제2차 대전이후 재래식 폭탄, 순항 미사일, 전략 핵폭탄 등을 탑재하고 대륙간을 고공 침투하여 폭격하는 것이 전력 운용상 효율성이 있고 평시 전략적 억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판단 하였다.
ㅇ 미국은 연구개발에 착수하여 1948년 7월에 발주하여 1952년 4월에 거대한 B-52 1호기의
시험비행에 성공하였고 1954년 평가시험용 B-52A형 3대가 생산되었다.
□ 주요제원 및 성능
전 장 160ft
기 폭 185ft
기 고 40ft 8inch
최대이륙중량 488,000lbs
추 력 B-52G : 13,750lbs × 8, B-52H : 17,000Ibs × 8
최대비행거리 G : 12,070km(7,500miles), H : 16,093km(10,000miles)
순항속도 Mach 0.77
최대상승고도 55,000ft
최대수평속도 Mach 0.90
승무원 6명(조종사, 부조종사, 항법사, 레이더항법사, 전자전 장교, 화력통제체계 장교)
□ 특성 및 성능개량
ㅇ B-52의 날개는 고익 단엽기이며 8개의 젯트 엔진이 2개씩 4개 포드에 장착되어 있다. B-52에는 전자광학 관측장비(EVS: Electro-Optical Viewing System)인 AN/ASQ-151이 저고도 침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장착되었고, 적외선 전방탐지장치(FLIR: Forward Looking Infra-Red)인 AAQ-6나 고감도 TV카메라인 AVQ-22가 장착되었다. ECM장비로는 AN/ALQ-117 또는 진보된 AN/ALQ-155가 장착되고, 레이더 경보수신기(RWR: Radar Warning Receiver)는 ALR-46이 장착되었으며, 저고도 침투임무 중 항법과 무장투하 능력 향상을 위한 공격용 전자 장비(OAS : Offensive Avionics System) 등이 장착, 운영되고 있다.
ㅇ 1954년 실용 시험용의 B-52A형 3대가 완성되었으며 곧 이어 양산형의 B-52가 생산되어 1955년 부터 미공군에서 취역을 개시하였다.
ㅇ 그후 B-52는 변모하는 작전환경에 맞게 성능향상을 시도하여 B-52 C, D, E, F와 같은 개량형의 생산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F형까지는 모두 10메가톤급 또는 24메가톤급의 수소폭탄 4발을 탑재하는 폭격기형이다.
ㅇ 1958∼1960년에 생산된 B-52G형에 이르러서는 대대적인 성능개량이 시도되었는데, 그 내용은 날개 및 내부날개 연료탱크의 재설계와 수직안정판(Tail Fin)의 축소, 후방 기총수의 전방 이동, 그리고 공대지 하운드 도그(Hound Dog) 미사일과 단거리 공격미사일(SRAM: Short Range Attack Missile)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이었다.
ㅇ B-52H는 B-52를 대체하기 위한 B-70 프로젝트가 취소됨으로써 1961년 소개된 B-52의 마지막 개량형이며, Pratt & Whitney사의 TF33터보팬 엔진을 장착함에 따라 연료소모를 감소 시키면서도 더 큰 추력을 얻게 되었다. 또한 저고도 비행에 무리가 없도록 구조적인 변경을 실시 하고 0.5inch 후방기총을 20mm 개틀링식 기관총(Gatling Gun)으로 교체하였으며, 1962년까지 총 102대의 B-52H형을 생산함으로써 B-52시리즈의 생산은 모두 종료되었다.
□ 운용개념
ㅇ 전략무기 투발능력을 보유하므로 전략적 전쟁억제 역할을 수행
ㅇ 대륙간 고고도 침투 비행 및 폭격 임무 수행
□ 주요 탑재장비
ㅇ 무 장
- 0.5inch 기관총(G형, 꼬리부분) × 4
- 20mm 발칸포(H형 꼬리부분) × 1
- SRAM, 핵폭탄(내부) × 8
- AGM-86 BALCM(외부) × 12
- Harpoon(G형) × 8~12
□ 운용국가 및 실전사례
ㅇ B-52는 1955년부터 미공군에서만 운용되었다. B-52 A, B, C형을 합해 88대, B-52D형 170대, E형 100대 및 F형 89대를 생산하였는데, 이상의 B-52 항공기는 모두 퇴역한 상태이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B-52 G형은 193대, H형은 102대가 생산됨으로써 B-52의 총생산 대수는 742대에 이른다.
ㅇ B-52는 베트남전과 걸프전에 참가하였는데, 특히 베트남전에서의 융단폭격은 유명하다. 베트남전에서 B-52의 출격횟수는 총 124,500회로서 3,735,000톤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폭탄을 투하하였다. 또한 최근의 걸프전에서 B-52는 재래식 폭격기로서의 우수한 성능을 다시 한번 입증 하게 되었다.
ㅇ 걸프전에서 B-52 편대는 총 1,624회의 임무 출격을 통해 25,700톤에 달하는 72,000발의 무장을 쿠웨이트내의 지역표적, 이라크의 비행장, 산업시설, 병력 집결지 및 각종 저장시설에 투하 하였는데, 취역한지 3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B-52의 임무가능률은 평시보다 2% 높은 85% 이상이었다. B-52 편대는 걸프전에서 미국이 투하한 폭탄의 29%, 그리고 다국적군의 38%에 달하는 무장을 투하하였다. 그동안 꾸준히 진행해 온 개조작업의 덕택으로 B-52는 여전히 효과적인 폭격기로 남아있다.
출처-비겐님의 블로그
첫댓글 완전 괴물이네.....
특히 무반공 일때는...
날개가 너무 길어서 부러질거같아보임(위태위태)
메가톤급 핵폭탄8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