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화약고로 불리던 서해 5도 지역에서 야간 어로활동이 55년 만에 재개된다. 어장은 여의도 면적의 84배 확장된다.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2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어로확장 및 서해 5도 조업규제 개선을 발표했다. 김영춘 장관은 “서해 5도 어장면적은 현재 1,614㎢에서 245㎢가 증가한 1,859㎢로 확장된다”며 “또한, 안전조업을 이유로 1964년 이후 55년 동안 금지되어왔던 야간조업이 일출 전과 일출 후 각 30분씩 허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 해양수산부는 4월 1일부로 서해 5도 어장을 확장하고 55년 만에 야간조업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자료제공-해양수산부] |
구체적으로 연평어장은 815㎢에서 905㎢ 늘어나며, B어장 동측 수역에 154.55㎢ 면적의 새로운 D어장을 신설한다는 내용이다. 이번에 확장된 총규모는 245㎢로 기존 어장면적에 약 15% 증가했으며, 여의도 면적(2.9㎢)의 약 84배이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어장확장은 1992년 280㎢ 확장 후 10차례 어장 확장 중 최대 규모”이며 “긴장의 바다였던 서해 5도가 4.27판문점 선언과 9월 평양공동선언, 9.19군사합의 등을 통해 평화의 바다로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서해 5도에서 1964년부터 금지된 야간조업도 일출 전 30분, 일몰 전 30분으로 총 1시간 허용된다. 하지만 지역 어민들은 1시간 야간조업 허용에 부족하다는 반응. 김영춘 장관은 “서해 접경지역에 여전히 존재하는 긴장상황과 해경, 어업지도선 등 경비자원의 부족 등의 문제로 서해 5도 어업인들의 요구를 모두 반영하지를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문제는 향후 남북평화의 지속적인 정착과 경비자원의 확충 등 서해 5도를 둘러싼 전반적인 여건이 개선될 경우 추가적으로 2단계, 3단계로 어장 확장과 조업시간 연장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어로 확장과 야간조업 허용은 4월 1일부터 적용된다. 해수부는 꽃게, 참홍어, 새우, 까나리 등 기존 4천t 어획량에서 10% 이상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이를 위해 ‘어선안전조업규정’을 3월 중 개정하고, 어장 개장 시기에 맞춰, 어장관리 및 조업지도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경비는 현재와 같이 해군과 해경이 입체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이번 개정과 관련, 김영춘 장관은 북측과 협의는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발표내용을) 통일부를 통해서 확인하고 사전 통보가 안 됐다고 그러면 사후에라도 통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서해 5도 어업인들이 남북 간의 평화 분위기 조성과 함께 오랜 숙원이었던 자유로운 어업 활동을 기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어장 확장과 조업시간 연장 등을 통해서 평화경제의 바닷길이 확대되는 것은 물론이고, 서해 5도를 비롯한 한반도 평화정착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첫댓글
참 반갑고 좋은 소식이군요.
저기도 아주 큰 어장이고
중국 쪽 접경 공해상에는
한 발씩 될 만큼 큰 대구도 많이 잡혀
우리 쪽 선단들도 조업한지 꽤 된답니다.
맛도 좋구요.
군 제대 후 잠깐
광어 잡이 배, 통발 배를 탄 적이 있지요.
제 고향 어청도에서요.
도서지역민들은 바다가 터전이니
대개 크고 작은 어선들도 있고
그때 동네 선후배들도 그래서
잠깐 선원생활도 했답니다.
배를 항해시킬 수도 있는데
산더미 같은 파도를 만나
죽을 고비도 넘겼었죠.
땅 속에서 일하는 광부들
바다에서 일하는 어부들이 힘들죠.
자칫 흙에 묻히고
파도에 휩쓸리니
땅 딛고
하루하루 일하는 사람들은 행복한 것이죠.^^
또 제가
군산 옥구 민주화운동협의회
군산 옥구 민족민주운동연합
전북 민족민주운동연합에서 활동가로 일할 당시
시기적으로 임수경 학생이
평양 청년학생축전에 참가한 후인데요.
서울에서 한 학생이 내려왔고
저희 사무실로 찾아와
군산에서 배를 타고
중국으로 가서 평양을 가려고
논의들을 했던 모양이더군요.
어선을 타는 문제
사나운 파도와 멀미와 담력의 문제
작업선들이 조업을 포기하고
국경 너머 중국까지 가는 문제 등
잘 설명해주고 낙망하지 않게 하여
올라가게 했던 일이 있었답니다.
통일운동의 의지는 있는데
구체적 실정과 상황을 간과한
학생들의 열의야 알지만
저 역시 덩달아
무책임하게 부추길 수는 없었던 일이
오늘따라 떠오르네요.
그때 학생이 우리 카페에 계신다면
한 번 만나 소주잔을 기울이고 싶습니다.
꼭 한 번 만나고 싶어 쓴 글이
너무 장황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