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行百絶 其六十八
在家僧(재가승) - 조수삼(趙秀三)
出家而有室(출가이유실) : 출가 했다 면서도 가정이 있으니
佛子生佛孫(불자생불손) : 불자가 불손을 낳은 셈일세.
閑丁獨何罪(한정독하죄) : 장정으로 태어난 게 유독 무슨 죄라고
鞭撻滿公門(편달만공문) : 채찍질하는 소리가 관청 뜨락에 가득해라.
첫댓글 오늘도 조수삼의 좋은 시 잘 감상하고 갑니다.감사 합니다.
잘 감상하고 갑니다.감사 합니다.
출가한 남자가 가정을 꾸려서 부인과 자식이 있으니부처님이 손자를 본 셈이 된다.남자로 태어난 것이 무슨 죄인지관청 뜨락에서 채찍질 당하는 소리가 들인다는 시입니다. 감사합니다.
잘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出家而有室 佛子生佛孫 閑丁獨何罪 鞭撻滿公門●○○●● ●●○●◎ ○●○●● ○●●○◎ [元字韻]삼가, 차운을..在家僧以後 재가승이 된 뒤로幾箇長兒孫 아들 손자 몇이나 키울꼬?小醒常存室 작은 깨달음이야 집에서도 있는 바지만何無大悟門 어찌 큰 깨달음의 문이 없으리오.(20250304隅川정웅)
감상 잘 했습니다.
고맙게 잘 감상했습니다.감사합니다.
감상 잘하였습니다.고맙습니다.
感謝합니다.
첫댓글 오늘도 조수삼의 좋은 시 잘 감상하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잘 감상하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출가한 남자가 가정을 꾸려서 부인과 자식이 있으니
부처님이 손자를 본 셈이 된다.
남자로 태어난 것이 무슨 죄인지
관청 뜨락에서 채찍질 당하는 소리가 들인다는 시입니다. 감사합니다.
잘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出家而有室 佛子生佛孫 閑丁獨何罪 鞭撻滿公門
●○○●● ●●○●◎ ○●○●● ○●●○◎ [元字韻]
삼가, 차운을..
在家僧以後 재가승이 된 뒤로
幾箇長兒孫 아들 손자 몇이나 키울꼬?
小醒常存室 작은 깨달음이야 집에서도 있는 바지만
何無大悟門 어찌 큰 깨달음의 문이 없으리오.
(20250304隅川정웅)
감상 잘 했습니다.
고맙게 잘 감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상 잘하였습니다.
고맙습니다.
感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