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약품 (004310) 한국얀센 뇌전증치료제 ‘토파맥스’ 국내 독점판매·유통 계약 체결 소식에 급등
▷동사는 언론을 통해 한국얀센의 항전간제(항경련제) ‘토파맥스’(토피라메이트)의 국내 독점 판매 및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한국얀센의 토파맥스는 1996년 미국 FDA 허가 이후 한국 식약처 허가를 받아 25년 이상 뇌전증 환자 치료에 처방돼 온 2세대 뇌전증 치료제로, 2005년 편두통 예방 적응증 추가 이후 편두통 예방을 위한 1차 약제로도 권고되고 있으며, 이번 계약에 따라 동사는 토파맥스정 및 토파맥스 스프링클 캡슐의 국내 유통 및 영업· 마케팅을 담당하게 되었음.
한전KPS (051600) 지난해 4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등에 강세
▷지난 10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22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3,985.22억원(전년동기대비 +4.99%), 영업이익 483.41억원(전년동기대비 +5,271.22%), 순이익 307.74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메리츠증권은 동사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다며, 이는 노무비 감소가 주요 원인이라고 언급.
삼양식품 (003230) 야키소바불닭볶음면, 日 돌풍 소식에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일본에서 지난달 25일 출시한 '야키소바불닭볶음면'의 초도 물량 20만개가 2주 만에 모두 판매됐다고 밝힘. '야키소바불닭볶음면'은 일본 현지 시장 맞춤형 제품으로, 현재 일본 할인점 돈키호테에서 판매하고 있고 이달 중 로손 등 편의점에도 입점 예정이라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출시 초반이지만 현지인뿐 아니라 일본을 찾은 한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쇼핑 필수 아이템'으로 언급될만큼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며, "일본을 시작으로 동남아 등 아시아 전역으로 야키소바불닭볶음면 판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힘.
서연이화 (200880) 지난해 실적 호조 등에 소폭 상승
▷지난 10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2.84조원(전년대비 +30.32%), 영업이익 1,456.16억원(전년대비 +120.73%), 순이익 547.26억원(전년대비 +83.99%).
▷아울러 향후 예상되는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 자동차부품 납품에 대비한 출자로, 북미 권역 사업확장과 고객사 생산계획에 원활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법인 설립을 목적으로 Seoyon E-hwa Manufacturing Savannah, Inc. 출자증권을 378.93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3-02-28) 공시.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8,430억원(+36.1%yoy), 영업이익은 560억원(+530.9%yoy)으로 2014년 분할 이후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시현했고, 지난해 실적도 연간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언급. 이는 현대차/기아의 믹스 개선 및 글로벌 점유율 상승에 따른 수혜와 전기차 판매 호조가 호실적의 원인이라고 분석. 이어 올해도 최대 영업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000원[유지]
솔트웨어/쌍용정보통신 메타버스 플랫폼 '본디(Bondee)' 흥행 소식 속 관련주로 부각되며 급등
▷언론에 따르면, 메타버스 플랫폼 '본디(Bondee)'가 최근 구글플레이 인기앱·애플스토어 무료앱 부문 1위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해 10월 출시한 '본디'는 싱가포르에 소재를 둔 스타트업 '메타드림'이 개발한 메타버스 앱으로, 약 4개월이 지난 최근 2030세대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알려짐.
▷'본디'는 아마존웹서비스와 협력 관계를 이어오고 있는 가운데, 아마존클라우드서비스에서 본디에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 데이터 안전을 보장하고 있다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파트너쉽 계약을 맺은 바 있는 솔트웨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클로잇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는 쌍용정보통신이 시장에서 부각.
[종목]: 솔트웨어, 쌍용정보통신
오픈엣지테크놀로지 (394280) AI 채택 기기 확대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성장과 함께 높은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망. 특히, 글로벌 AI(Artificial Intelligence)반도체 시장이 연평균(2020~2025)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동사는 높은 실적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 경쟁사 대비 높은 효율성을 확보하였으며, NPU IP는 경쟁사 대비 최대 3.4배 높은 소비전력 효율성과 2.4배 높은 면적 효율성을 확보하였고, 이러한 기술경쟁력 및 검증된 트랙 레코드를 기반으로 삼성전자, TSMC, SK 하이닉스, 현대차, 마이크론 등의 글로벌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함은 물론, 다양한 산업으로 고객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
▷또한, 팹리스 및 디자인하우스 업체로의 고객 확대 전략도 긍정적이며, 중장기 도약을 위해 최선단 공정의 지속 개발을 통해 AI 반도체 통합 IP 솔루션 시장의 선점 극대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힘.
디이엔티 (079810) LG에너지솔루션·GM 합작사 얼티엄셀즈 단일 최대 규모 장비 발주 소식 속 얼티엄셀즈로부터 2차전지 장비 수주 사실 부각에 강세
▷일부 언론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미국 제너럴모터스(GM) 합작사 얼티엄셀즈가 미국 미시간 배터리 3공장에 들어갈 장비를 늦어도 상반기 내 대규모 장비 구매 요청을 할 전망이라고 전해짐. 얼티엄셀즈 3공장은 내년 하반기 가동하며, LG에너지솔루션은 이 공장에서 고성능 전기차 60만대(50GWh)에 탑재할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알려짐. 업계는 1조원 후반대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LG에너지솔루션 장비 발주 규모 중 최대 규모라고 전해짐.
▷이 같은 소식 속 얼티엄셀즈로부터 2차전지 장비를 수주한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나노신소재 (121600) 올해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강세
▷유안타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 1,276억원(전년대비 +53%), 영업이익 277억원(전년대비 +55%)으로 큰 폭의 외형 및 이익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올해에는 양극 도전재인 MWCNT 농도 증가, 실리콘 음극재 차종 본격 확대로 인한 SWCNT 수요 증가가 기대되며 동사의 경우 SWCNT 분산재 독점기업이기 때문에 실리콘 음극재 차종 확대로 인한 성장을 독식할 것으로 전망.
▷올해 실리콘 음극재 차종 본격 확대 수혜 뿐 아니라 건식 도전재에 대한 미래 성장동력까지 확보해 투자 매력도가 높은 소재기업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09,000원 -> 143,000원[상향]
원텍 (336570) 올해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강세
▷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매출액 1,180억원(전년대비 +45%), 영업이익 422억원(전년대비 +5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지난해 10월 올리지오 FDA 승인으로 올해는 해외에서 올리지오 장비 판매가 본격화되는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 올해 동사의 올리지오 판매대수 목표는 1,000대로 추정되며, 수익 예상 모델에는 800대를 가정했으나 올해 1월 약 130대 이상을 판매한 것으로 파악되어 추가적인 매출 성장 기대감을 높여도 될 시점이라고 밝힘.
▷지난해 4분기 실적은 242억원(전년동기대비 +54%), 영업이익 98억원(전년동기대비 +101%)을 기록해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했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000원[유지]
이스트소프트 (047560) 50억원 규모 교환사채 발행 속 AI 신사업 확장 소식 등에 상승
▷지난 10일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신한-JW 메자닌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 대상 50.00억원 규모의 사모 교환사채권 발행 결정(교환가액:14,500원, 교환청구일:2023-02-15 ~ 2028-01-14) 공시. 한편, 보통주 344,827주(50.00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처분예정일:2023-02-14) 공시. 처분목적은 자기주식을 교환대상으로 하는 교환사채 발행임.
▷동사는 언론을 통해 50억원 규모의 교환사채를 발행하고, AI 신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힘. 이번 발행자금을 통해 AI 버추얼 휴먼, 아이웨어 가상피팅 커머스 등 AI 신사업의 본격적인 시장 진출 및 사업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설명. 특히, AI 버추얼 휴먼은 지난해 12월 8K까지 구현해 내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AI 버추얼 휴먼 전용 스튜디오를 구축하며 교육, 뉴스,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로 빠르게 사업을 전개중이라고 밝힘.
제룡전기 (033100) AI 시대 전력 수요 급증 수혜 분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리서치알음은 동사에 대해 AI(인공지능) 시대 전력 인프라 투자가 필수인만큼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분석한 것으로 전해짐. 최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각국의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며, 실제 AI는 빅데이터, 기계학습, 딥러닝 등 다양한 컴퓨팅 기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해 많은 양의 전력이 필요하다고 설명.
▷이어 미국은 2021년 11월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에 관한 법령’ 시행으로 10년간 1조 달러 이상의 예산을 전력 인프라에 투자하고 있으며, 2019년 화웨이 수입제재로 중국산 전자장비 및 부품 수입이 줄면서 동사의 미국향 매출이 급속히 늘고 있기 때문에 동사에 주목해 야 한다고 밝힘. 아울러 올해 동사의 영업실적은 매출액 1,265억원(+46.9%, YoY), 영업이익 272억원(+70.2%,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알엔투테크놀로지 (148250) 5G 통신장비 투자 증가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4분기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5분기 연속 적자에서 벗어나 흑자전환했다고 밝힘. 특히, 코로나19 엔데믹과 반도체 수급 상황이 개선되면서 5G 통신장비 투자가 증가해 글로벌 메이저 통신장비 기업을 통해 매출 성장세를 견고히 이어가고 있으며, 대만 RF필터 기업들의 반도체 수급 문제가 점차 좋아지며 원천기술인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 (LTCC) 소재 매출도 4분기에 회복세에 있다고 설명.
▷이어 5G 통신장비 투자 증가로 매출이 증가했다며, LTCC소재, 통신장비 부품(MLC, MCP)에 이어 배터리 보호소자를 통한 매출 다변화로 올해는 실적도 성장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밝힘.
▷한편, 지난 10일 장 마감 후 22년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37.41억원(전년대비 -5.84%), 영업이익 0.32억원(전년대비 -98.22%), 순이익 35.56억원(전년대비 +127.03%). 보통주 1주당 30원(시가배당율0.3%)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