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https://cafe.daum.net/Tlwkftlqkftlldlqkf/8vJr/273266?svc=cafeapi
우리나라식 결혼이 더 우월하다 아님
너무 서구 프로포즈에 환상이 많길래 과연 좋기만 한걸까? 하고 깨뜨려보고자 씀
서구는 아직도 여성은 남성의 프로포즈를 기다리고 승낙하는 결혼을 해야한다
이 사상이 존나 강함
물론 정말 남성이 여성을 사랑해서 하는 프로포즈 많고
그렇게 프로포즈에 목메지 않은 여성들도 있어
그러나 분명한건 상당수의 여성들이 교제관계의 남성과 결혼을 하고 싶어도
남성이 프로포즈 해줘야 된다는 강박에 사로잡혀 애타게 기다리는 일이 많다는거야
실제 이런걸 풍자할 때 Waited, Waity라고도 표현해
대표적으로 영국 왕세손비 케이트 미들턴보고
이미 결혼 준비는 다 됐지만 왕세자가 프로포즈 할때까지 기다린 Waity Katie 라고 대놓고 언론에서 풍자함
케이트 미들턴의 경우 정말 프로포즈를 오래 기다렸고 바람피는 것도 참고 각종 문제도 인내하며 기다림
전국민 아니 전세계 사람들이 10여년간 케이트를 공식 "여자친구"로 불러왔고 비꼬고 조롱하는 반응도 있었어
대놓고 프로포즈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 케이트 엄마의 인터뷰가 언론에 실리기도 했고 언제까지 기다릴까 식으로 풍자도 하고..
오랜시간 왕자와 휴가도 같이 보내고 공식적으로 언론에 함께 나왔지만 케이트는 아무른 권한이 없는 그냥 여자친구일뿐이었음
그만큼 프로포즈를 아주 오랫동안 애타게 기다렸음에도 진짜 결혼은 윌리엄이 프로포즈를 한 이후에 진행됐음
물론 왕세손비라는 신분을 위해 참고 기다린게 크지! 또 조롱은 영국 사회의 신분제로 인한 것도 컸고
내가 말하고 싶은건 단지 그게 아니라
사실 서구권이라도 왕실같은 경우는 개인의 자유가 아니라 왕실의 허락도 받고 양가 조율도하며 결혼을 하는데도
오래 만났으니 슬슬 서로 짝이다 해서 결혼이 슬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거야 남자가 여자에게 프로포즈 하기 전까진
여성은 기다리고 먼저 요청하거나 요구하지 않는 존재
이거 되게 익숙한 클리셰잖아 그거의 결정판이 바로 프로포즈야
서구권 남자들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차일 위험을 각오하고 비싸게 프로포즈하고 여자를 위한다
반은 맞는말 그러나 맞은 틀린말임
여자는 그런 남자가 그 차일 위험을 감수하는 용기를 내야만 그를 받아들이지
내가 받아들이고 싶어도 그런걸 보여주지 않으면 선뜻 먼저 못받아들여
사실 이거 되게 익숙한 스토리거든?
잠자는 숲속의 공주같은 동화있잖아
왕자가 위험과 역경을 무릅쓰고 공주를 구해 청혼하는거
사실상 프로포즈란건 그런 역경을 이겨낸 남성을 위한 보상허가지
그런 시각에서 그들이 바치는 다이아 반지가 여성을 위한 단순한 예물일까?
아닐걸? 남성의 희생과 역경 고난 그리고 보상의 상징이지 계약서 같은거
"이 남자가 이렇게 고생해서 아름다운 대가를 바치니 당신을, 여성을 주십시오"
또한 자본주의가 이런 메세지를 계속 강조해서 주입하고 있어
"남들 다 하는 다이아 반지로 우아하고 아름답게 프로포즈 받지 못하면 안된다"
"저 남성에게 사랑 받는 다는 증거는 아름다운 프로포즈와 비싼 다이아 반지다"
"그걸 받지 못하면 나는 사랑 받지 못하고 가치 없는 여성이다"
내가 오버떠는게 아니라 실제로 드비어스라는 유명 다이아 광고회사에서 주입한 내용임
2~3달치 급여를 모아 다이아 반지 사서 청혼하기, 진실된 사랑은 다이아반지, 영원함 이거 다 드비어스에서 만듬
(이 관련은 넷플릭스 다큐 101 다이아몬드에 자세히 나옴)
여성의 가치를 남성의 부의 척도로 이루어낸 다이아몬드의 크기와 프로포즈의 화려함으로 재는듯한 시선은
로맨스의 한 구석이기도 하지만 사실 가부장적 면모가 엄청나게 많은 부분이지 그걸 부채질하는게 자본주의고
남성이 여성과 결혼하기 위해 기다리는 여성에게 값비싼 다이아몬드 반지를 무리해서 구입하고
그것으로 자신의 재력과 능력을 과시하는거하고 그 여성을 얻어낼 수 있는 자격을 갖추었다 완전 가부장적인거 맞아 ㅋㅋ
아니 여자가먼저키스하면 잡혀가는건가??
에서 여자가 먼저 키스는 OK지만
여자가 먼저 결혼이야기를 꺼내면 프로포즈를 꺼내면 잡혀가는건가?
하면 일부는 YES 본인이 먼저 더 결혼하고 싶어도 먼저 결혼이야기나 프로포즈 이야기 꺼내지 못하는 여자들이 많아
그걸 공식적으로 이상하다고 하진 않지만 아직도 사회적 편견이 강해 암묵적인 사회적 룰임
실제로 서구권 여성들 고민상담중 하나가 나는 깊은관계라 생각하고 결혼을 그리는데 남자쪽에서 반응 없습니다 이거야
미드나 영화에서도 간간히 그가 내게 프로포즈 안하면 어떡하지 하고 애타게 프로포즈를 기다리는 클리셰가 많이 나와
걍 결혼하고 싶으면 서로 결혼이야기 자연스럽게 하면 되지..이런 사고방식이 아님 보통은 프로포즈 안받으면 확신이 없음
저런 밈들도 상당히 많고 서구권 네이트판 같은데 단골 소재가 바로 오랜 연인인데, 확신을 안준다 프로포즈를 안한다 이거임
(물론 최근엔 많이 바뀌긴 했지만 보편적 관점에선 아직도 좀 심한 고민 같음)
월드와이드히트곡 비욘세 싱글레이디에서도 이 구절이 나옴
Cried my tears, three good years
난 3년간 울만큼 울었다구
Ya can't be mad at me
넌 나한테 화낼 수 없어
if you liked it then you should have put a ring on it
니가 좋았다면 반지를 걸어줬어야지
여기서 반지를 걸어줬어야 한다는건 단지 나에게 선물을 줬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님
나에게 확신을 보여주고 프로포즈 혹은 그에 준하게 잘해줬어야 한다는 의미
그래서 나는 나에게 반지를 끼워주지 않는 너를 더이상 기다리지 않고 떠난다 넌 잡을 권리 없다 이 말임
마냥 기다리는게 아니라 떠난다는 의미에서 구세대적 여성관보단 신선한 가사였기때문에 더 호응받음
그 매개체가 바로 반지였고 그만큼 서구권에서 남자가 여자에게 반지 끼워준다 의미가 상당히 강함
전세계 어디나 가부장제가 만연했고 여성이 기다린다는 성 역할이 있었지만
일부 서구권의 경우 여성이 프로포즈 할 수 있는 날을 아예 정해주고 그 외에는 불법화 시켰던 전통이 있음
아일랜드에서 4년에 딱 1번 윤년 ^^..에 2월 29일에만 할 수 있는 교회의 지정일이 있었고
이 유사한 전통이 유럽 많은 나라에 퍼졌대 특히 가톨릭 국가들
(이것도 구혼자들, 연인이 하도 프로포즈 안하니까 기다리다 지친 여성을 위해 성 패트릭이 하루를 지정해준거에서 유래함)
관련 뉴스
종교의 영향이 뿌리깊게 강한게 서구권이라 오래오래 이어져 와서 아직까지 의식에 영향을 끼치기도 할거야
우리나라 식이랑은 미묘하게 좀 다르지
우리나라식 결혼도 상당히 가부장적인데 저기식 프로포즈 방식과 결혼도 정말 남성위주 가부장적임
이런걸 분석한 논문 칼럼도 구글링하니까 나오더라
https://truthfal.com/2020/03/05/leap-day-why-the-proposal-tradition-is-a-patriarchal-trend/
왜 전통적 프로포즈가 가부장제적인지에 대한 영어 칼럼
그렇게 프로포즈 받은 신부들을 거창하게 모두 가부장제의 노예라고 폄하하는게 아니라
서구권 프로포즈가 아무리 화려하고 커다란 다이아, 3개의 반지가 반짝반짝하고 아름다워도
진짜 여성의 주체적인 선택과 또 페미니즘적 가치관과는 거리가 상당히 먼 관습이라는 거야
물론 그게 전통과 관습이니까 이어져 내려오는 것도 있지만,
진짜 반짝반짝 빛나는 여성의 선택은 내가 하고 싶을때 기다리지 않고 거리낌없이 청혼할 수 있다는거겠지
객관적으로 서구권이 여성인권이 높은 점이 많지만
모든 점에 높다고 볼 수 없고 분명 빻은 부분이나 포장된 부분이 있다는거
환상적으로 그려지는 프로포즈는 사실 보수적인 여성관을 답습하는 수단이기도 하다는거
너무 긍정적으로 예쁘게만 그려지길래 한번 찬물 끼얹는 글 쓰고 싶었어
이 글은 우리나라식이 더 우월하다 아니고
서구식 프로포즈를 마치 더 우월하고 더 환상적이고
"여성을 위한 여성의 권리인"것으로 포장하는 글들이 너무 많아서 쓴거야
우리나라나 서구권이나 방식과 역사가 달라서 혼인으로 가는 과정이 다른데
그 맥락을 무시하고 무조건 반짝인다고 좋게만 포장하는거 많이 봐서
복사 풀어놨어요 자유롭게 퍼가도 됨 출처만 써줘
첫댓글 글 좋다 불편했는데
맞아 어쨋건 여혐이긴함 예쁘게 포장된 실질적으론 예쁜것도 아니고 걍 자본주의 + 백래시 한남 낫다는거 아니고 양남도 똑같은데 올려치지 말자 ㄹㅇ... 애초에 페미니스트 왜생겼게요 여혐 개오지니까 생겼쥬
'여성의 가치를 남성의 부의 척도로 이루어낸 다이아몬드의 크기' 이 말에 엄청 공감해..
나도 저 넷플 다큐보고 와 진짜 상술 장난 아니다라고 생각했었어 나도 프로포즈 문화에 대해서는 항상 머리속에 퀘스쳔마크가 있었는데 여시 글 읽어보니 문화적으로 이런게 계속 답습되는것이 결코 좋은게아닌거같다는 생각이 들어 글 잘 읽었어 고마워
문화권을 떠나서 결혼과 가부장제는 여성을 착취하고 인질로 만드는게 맞는 듯
맞아 이게 참.. 가성비 데이트, 반반 결혼문화에 반기를 들려면 남자한테 프로포즈&반지는 요구하게되고. 서로 상충되는 게 있기는 한듯
와 다이아 남자 두세달치 월급 이 밈을 다이아몬드 회사가 만든거라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하 걍 다 놀아나고 있는거같아 ... 진짜 뭐 받아야한다 뭐정도는 해아한다 이런거 다 없이 자기들 사정 되는대로 하고싶은대로 하면 되지 자꾸 주변에서도 이정도는 받아야한다 뭐해야한다 훈수두니까 산으로 가는거같아
마자.. 그리구 프로포즈 하기 전에 신부될 사람 아빠한테 허락도 받는게 관례... (물론 허락 안 받고 둘이서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 내가 아빠 소유물은 아니자나요?^.^
근데 결혼하는사람들보면 여자가 답포로포즈 선프로포즈하는 기괴한 한국식문화도 이상해
결혼하면 모든 카테고리에서 여자가 불ㄹㅣ하고 희생하는것들이 더 많은데, 심지어 선물에 명품에 싸들고 결혼하자고 한다는거..너무 기괴해 글고 생각보다 이런경우도 많아
다이아 프로포즈링 다 허상이다 진짜 ㅋㅋ
근데 페미니즘에서 결혼은 정서상 부합하지 않고 할거라면 다이아 못받는 결혼 받는 결혼 이렇게 나뉘는거 아냐?
정서상 부합하지 않긴 하지만 난 타협정도로 보는거고 리버럴도 결혼 자체가 페미니즘과 관련없다 라는 입장이 아니라 타협을 하는거라고보는데 페미니즘은 결혼을 절대적으로 안한다! 이게 아니라ㅠ 쨋든 결혼자체,프로포즈 자체의미가 여혐이란건 인정할수 밖에 없는 사실이고 페미여도 결혼 할수있다고 생각해~ 어차피 결혼자체의 의미가 현대 사회에서 특히 한국에선 여혐의 종착지라고 생각하는데 그럴거면~ 차피 결혼을 할 거라면~ 다이아반지가 여혐적인 의미니 재고해봐라가 아닌 차피 할 결혼이면 프로포즈 다이아반지 받는 결혼을 해라 이거여 난
페미니즘에서 결혼이 부합하지 않는건 래디컬계열이지 리버럴은 바꿔가면서 결혼하잖아 여성의 성 아이에게 물려주기 신랑신부 동시입장 이런게 리버럴한 페미니즘 관점 페미니즘이 전부 다 결혼을 절대안하고 이러진않아 ㅋㅋ 어쨌든 여성에게 좋은거고 이런식으로 포장된 다이아반지 프로포즈는 저런 의미란거
애초에 결혼문화 자체가 가부장적인 문화니까 ㅋㅋ 서양식 여혐과 한남식 여혐 그 차이라고 생각함 여자는 왕자를 기다리는 꽃이라는 대상화되고 수동화된 존재에서 서양식 프로포즈가 나왔다면 (girls don`t need PRINCE 라는 표현도 이 맥락에서 나왔다고 생각) 우리나라는...^^ 진짜 가지가지한다는 생각밖에 안들긴함 서양은 거절할 수 있는 선택지라도 있지 걍 여기나 저기나 다른식으로 여혐할 뿐임 이거보고 우리나라가 더 낫네 이러는 사람은 없겠지? ㅋㅋㅋ
좋은 글 잘 읽었어
다만, 외국에서는 이게 띵 할수도 있겠지만 애초에 다이아자체도 '부'로 나눠서 받는 한국에서의 이런글은 한남들 핑계거리로 쓰일뿐이라서 너무 슬픔
애초에 주지도 않을거면서
" 너 페미니스트라며! 이런건 페미니즘이 아니지않아? " 하는거지
좋은글이다.. 띵하네
글 잘 읽었어 ㅠㅜ 뭔가 불편했었는데 왜 불편했는지 알았다!!
전적으로 동의해. 남자한테 다이아 반지+프로포즈 받아야 사랑받는 여성 공식 존나 위험해. 관계의 시작과 주도권이 남성의 의사라는걸 자랑스러워하는게 코르셋이고 여혐이지
양남도 빻았지만 한남은 좆빻은듯
애초에 이논리면 결혼을 안하는게 맞음.. 그나마 가부장제판으로 뛰어들거면 이러나저러나 제대로 보상이랑 대우나 받자 이런개념으로 말하는거라고 생각했음
프로포즈는 남성권위적 행위인데 그것조차 아름답고 멋있고 로맨틱한 사랑으로 묘사하니까 서양식 여혐은 빠져나오기 힘들다는 거임
현재 한국남성은 착취 안 하는 걸 감사하게 여겨라는 마인드이니, 같은 가부장이면 서양식이 좋다는 사람이 생기는 거임
각 나라의 전래동화가 실제 그 나라의 가치관을 담는것같아 여성에 대한 태도가 동서양 다르지만 주체적인 존재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은 똑같다ㅜㅜㅜㅜㅜㅜㅜㅜ
한국과는 다른 의미로 여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