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MF가 주최한 회합에 우리나라 대표를 보내려고 한다 칩시다.
IMF는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하고 우리나라는 최대한 양보를 얻어 내려 할 것입니다.
그래서 사대주의자가 아닌 민족주의자를 내 보내기로 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 사람이 그 회합에 참석하게 될 것입니다."
"The man will be participated in the conference."
"(그 사람의 자격은)이러한 것들을 말하는 자"
"The saying these things"
윗 문장과 아래 구문을 연결하면 어떻게 될까요?
"The man, the syaing these things, will be participated in the conference." 또는
"The man as the syaing these things will be participated in the conference." 가 되죠!
"이 것들을 말하는 자로서의 그 사람이 그 회합에 참석하게 될 것입니다."라는 뜻이 되죠!
여러 사람이 이런 저런 주장을 할 것이나,
우리 나라 국익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이런 것들을 말하는 자 중에 한 사람인
그 사람이 그 회합에 대한민국을 대변하는 자로 가게 될 것이다! 이런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것을 순수도시님처럼 만들어 봅시다.
"The man saying these things will be participated in the conference."
"이 것들을 말하는 그 사람이 그 회합에 참석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자격이나 출처 또는 신분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것들을 말하는 그 사람> <그 사람>을 특정하는 것 밖에 안됩니다.
회합에 참여할 사람의 신분이나 자격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 이 것들을 말하고 있는 바로 그 사람이라는 의미로
그 사람의 현재 상태를 설명하는 의미 밖에 없습니다.
제가 설명한 것은 <현재분사>의 <명사용법>이고,
순수도시가 설명한 것은 <현재분사>의 <형용사용법>입니다.
<현재분사>의 <명사용법>과 <형용사용법>에는 이렇게 의미가 달라져 버립니다.
2. 계11:7 말씀의 "무저갱에서 올라오는 짐승이 그들을 공격할 것이다." 이것으로 비교해 볼까요?
① 순수도시: The beast coming up from the Abyss will attack them.
② crystal sea: The beast, the coming up from the Abyss, will attack them. 또는
The beast as the coming up from the Abyss will attack them.
①의 의미는 무저갱에서 올라오는 그 짐승이 그들을 공격할 것이다! 라는 의미가 되고,
②의 의미는 무저갱에서 올라오는 자인 그 짐승이 그들을 공격할 것이다! 라는 의미가 됩니다.
①은 <현재분사>가 <형용사>로 사용이 된 것이고,
②는 <현재분사>가 <명사>로 사용이 된 것입니다.
①은 그 짐승이 그들을 공격할 때 무저갱에서 올라오는 것을 묘사하고,
②는 그 들을 공격한 그 짐승의 출처와 기원이 무저갱에서 올라온 자라는 것을 밝혀주고 있는 것입니다.
역시 <현재분사>가 <형용사>로 사용이 되는 것과 <명사>로 사용이 되는 것의 차이가 이렇게 의미상으로 큰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3. 그러면 요이1:7 말씀으로 해 볼까요?
"They do not acknoeledge Jesus Christ coming in the 사릌스."
<사릌스로 오시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출처나 기원이 아니라 "사릌스를 입고 오시고 있는 예수 그리스도를 그들은 모른다." 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직접적으로 수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역시 <현재분사>의 <형용사>용법과 <명사>적 용법 사이에는 의미상으로 큰 차이가 있는 것임이 확인이 되는 것입니다.
4. 결론입니다.
요이1:7에서 <에르코메논>은 <현재분사>로서 <형용사>로 사용이 되었고,
계11:7에서 <아나바이논>은 <현재분사>로서 <명사>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요이1:7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현재분사>가 직접 수식하는 반면,
계11:7에서는 <관사+현재분사>가 짐승과 동등되게 사용이 되어 두 증인을 공격하는 짐승의 출처와 기원이 무저갱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 됩니다.
이 처럼 형용사 용법과 명사적 용법이 의미가 차이가 나는데도 같다고 주장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입니다.
스테파노스 깨구락지가 <아나바이논>을 <형용사>로 주장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순수도시는 <형용사>라고 주장을 하지만 뜻은 명사적 용법과 같이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ㅎㅎㅎ
아닙니다.
<현재분사>가 요이1:7에서 처럼 <형용사>로 사용이 되어야 할 때가 있고,
계11:7에서 처럼 <명사>로 사용이 되어야 할 때가 있는 법입니다.
<현재분사>가 <형용사>로 사용이 될 때는 피수식어 다음에 바로 <현재분사>가 와서 피수식어를 수식하는 반면,
<현재분사>가 <명사>로 사용이 될 때는 (관사+명사)+(관사+현재분사) 형식으로 사용되어 (관사+명사)와 동등된 <명사>로 사용이 되는 것입니다.
@🚮세상의빛2 <현재분사>와 <관사+현재분사>가 같다고 하는 찐따!
동일 과거시제에서 <현재분사>는 <과거분사>와 같아진다는 찐따!
그런 찐따는 배워야 합니다.
@crystal sea 헬라어 형용사 용법이 영문법하고 같은 줄 아는
바
보
@🚮세상의빛2 ㅋㅋㅋ
앵무새가 되셨군~!^^
@crystal sea 헬라어 형용사 용법이 영문법하고 같은 줄 아는
바
보
@🚮세상의빛2 ㅋㅋㅋ
할 말 없나 보군요!^^
@crystal sea 헬라어 형용사 용법이 영문법하고 같은 줄 아는
바
보
네 귀가 먹어서
@crystal sea 이제 교회에서도 쓸모없는 인간이 되었군. 이단이 뭔 필요가 있나? 자기도 죽고 타인도 죽이는 것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