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무슨 금광을 찾은 것처럼 설레발 했던 게 기억났다
결국 블록체인 연계한 코인빨
네임드만이 살아남는 미술계에서
탈중앙화로 모두가 확인할 수 있는 흔적들로 신인들도 얼마든지 작품활동 가능한 긍정적인 요소로
몇몇 대박 옥션 스타들로 러시를 일으킨
NFT
51% 의 공격 과 이중지불의 위험 등 부정적 요소들의 숙제가 남았다
앞으로 먹고사는 문제는
창작하거나 폐지줍거나
글쓰기만을 생각했는데, NFT .. 코인을 시작해야 하나 목하 고민중 ㅎ
블렉체인미디어 <코인데스크 CoinDesk>
NFT 월간 거래량은 2020년 12월 930만달러에서 2021년 3월 2억 2,600만달러로 약 26배 증가세
NFT 발매, 거래사이트 오픈시 OpenSea
크립토키티 CryptoKitties ERC-721 표준 기술로 탄생
Ethereum Request for Comment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대체할 수 없거나 고유한 토큰을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표준안
제프 쿤스 <토끼>, 데이비드 호크니 <예술가의 초상>, 비플 <매일 : 처음 5,000일>
스티브 잡스의 18세 때 수기로 작성한 입사 지원서 원본은 34만 3천달러, NFT는 2만 3천달러
다양한 NFT 거래 플랫폼 : 해외 – 오픈시 opensea, 레어러블 rarible, 슈퍼레어 superrare, 니프티게이트웨이 niftigateway, 파운데이션 foundation
국내 – 클립드롭스 klipdrops, 메타파이 metapie, 메타갤럭시아 metagalaxia, 에덴루프 edenloop, 마이템즈 mytems
NFT 거래가 어떤 체인을 통해 이루어지는가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이더리움 체인을 통해서 거래가 이루어진 NFT는 다른 코인의 체인에서는 거래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시간이 지나면 서로 다른 코인(체인)간의 호환서이 높아질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는 기술적인 문제와 NFT 시장 선점을 위한 플랫폼, 코인 간의 경쟁 등으로 인해 쉽지만은 않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NFT를 구매할 때는 그 NFT가 어떤 코인(체인)을 기반으로 하는지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또한 코인의 가치는 늘 달라지므로 가장 유리한 타이밍을 잡는 데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미국에서 밈을 NFT화해 약 7만 4,000달러에 팔려 화제가 된 사례, <곁눈질하는 클로이 Side Eyeing Chloe>
2021년 인구 대비 유튜버 수 순위 (출처 : 유튜브 관련 통계 자료 사이트, 플레이보드 playboard)
NFT를 발매하는 것을 민팅 Minting, 주조하다는 뜻의 민팅을 하기 위한 3가지 준비 사항
1. 자신의 디지털 창작물
2. 전자지갑 : NFT 민팅 시 필요한 가스비를 지불하고 판매될 경우 대금을 받기 위한 용도, 구입한 NFT를 보관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지갑이 존재하며 그에 따라 호환이 되는 암호화폐의 종류도 다릅니다. 따라서 자신이 작품을 민팅하는 플랫폼에 호환되는 지갑이 필요합니다
3. 가스비 : NFT 제작과 거래를 위해 블록체인 검증과 안정화에 드는 전력 비용. 플랫폼을 이용하는 수수료와는 다른 개념. 자신이 이용하는 플랫폼에 맞는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추급권 : 작품을 구매한 컬렉터가 재판매하여 생기는 이익금의 일정 비율 (10% 내외) 을 원작자에게 지급. NFT 발매 플랫폼에 따라 추급권을 설정할 수 없는 곳도 있다
저작권 유효기간 (원작자 사후 70년) 경과 권리가 만료된 상태에서는 NFT화 발매 가능하나, 70년이 지난 최초의 이미지를 리메이크하거나 수정한 새로운 이미지는 새로 저작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 사용하면 저작권 법에 위배될 수 있습니다
NBA 탑샷, MLB 챔피온스, F1 델타 타임, 특허기술 크립토킥스 CryptoKicks, LVMH 진품 확인을 위한 아우라 AURA, 브라이틀링 이더리움 시스템으로 정품 인증, 블록릿 게임즈 Blocklete Games, 대퍼 랩스 Dapper Labs, 로봇 캐시 Robotcache, 애저 히어로즈 Azure Heroes, 엑소더스1 Exodus1, 래비드 토큰스 Rabbid Tokens, 스트리트 파이터스 Street Fighters, 아타리 토큰 Atari token
51퍼센트 공격 : 표명된 사실을 거짓으로 만들기 위해서 과반수를 넘어선 51%를 설득하면 49%는 거짓을 사실로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상황
이중지불 : 시간 편차 없는 완전 똑 같은 시점에 맞춰 내가 선택한 NFT와 똑 같은 작품을 구입하면 각각 구입이 가능해져 어느 것이 진짜 원본인지 모르게 된다. 정보 생성 상 오류나 해킹 등으로 똑같은 정보의 표식이 생성되는 것